450 517

Cited 0 times in

문해능력에 따른 정상 노년층 자발화의 구문적 특성

Other Titles
 Literacy-related syntactic characteristics in spontaneous speech of normal aging 
Authors
 이미숙 
Issue Date
2005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문해(literacy)는 소속된 사회의 문화를 이해하고, 정치, 경제, 사회, 직업 생활 등에 적응하는 데 불편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의사소통 능력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문해능력은 학력이 높을수록 향상되지만, 이들이 반드시 비례 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다. 화자의 구어능력은 문해능력으로부터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데, 특히 구문적 측면의 경우 대부분 학령기와 성인기의 발달을 통해 더욱 정교화되므로 문해능력의 영향을 크게 받는 영역에 해당된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해능력에 따라 정상 노년층 자발화의 구문적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60-80대 정상 노인 60명이었으며, 이들을 문해능력에 따라 순문맹과 반문맹, 문해(초등졸)의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단일그림 및 연결그림 설명 과제를 통해 각 집단으로부터 자발화를 수집한 후, 활용어미의 다양도(종결어미 및 비종결어미 유형수), 문장내 구조(최소종결단위당 종속절수 및 안긴절수), 그리고 문장내 산출성(최소종결단위당 단어수 및 절당 단어수)을 포함한 구문 구조의 복잡성 지표가 각 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활용어미의 다양도는 두 과제 모두에서 문해능력이 높아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비종결어미 유형수는 연결그림 과제에서 세 집단 모두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둘째, 문장내 구조도 두 과제 모두에서 문해능력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이 중 최소종결단위당 안긴절수는 단일그림 과제에서 세 집단 간을 구별해 주는 유용한 지표인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문장내 산출성 역시 두 과제 모두에서 문해능력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과제의 종류와 관계없이 최소종결단위당 단어수 및 절당 단어수는 세 집단 간을 구별해 주는 유용한 지표로 나타났다.넷째, 최소종결단위당 단어수가 두 과제 모두에서 집단 간 판별에 기여하는 지표에 해당되었다.결론적으로, 순문맹, 반문맹, 그리고 문해 노년층의 자발화를 평가할 때 구문 구조의 복잡성 지표를 준거로 삼을 수 있으며, 실제 임상에서 신경 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시에 학력뿐만 아니라 문해능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Literacy is defined as the communication ability which allows us to have n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our own culture, and in adapting to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occupational lives. In general, there is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literacy and educational level, but the correlation is not perfect. Literacy considerably influences the ability of spoken language, possibly because syntax, one of subtypes of the spoken language, is being developed gradually during schooling and adulthood.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literacy-related syntactic characteristics in spontaneous speech of normal aging.In this study, 60 healthy elderly aged from 60 to 84 years residing in Seoul and the Kyungki area were divided by literacy into three groups: illiterate, semiliterate, and literate(6 years of schooling) groups. The tasks were to describe single picture and picture sequence cards. The subject''''''''s spontaneous speech was collected to analyze the indices of complexity of syntactic structure such as the number of different conjugational endings(number of different final endings, number of different nonfinal endings), sentence structure(number of subordinate clauses, number of embedded clauses per terminable unit), and word production in sentence(number of words per terminable unit, number of words per cla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The number of different conjugational endings increased significantly depending upon literacy in the two picture task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different nonfinal ending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picture sequence task.2. The sentence structur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literacy, and the number of embedded clauses per terminable unit discriminated among three groups in the single picture task.3. The word production in sentenc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literacy. The number of words per terminable unit and the number of words per clause drew a clear lin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two picture tasks.4. The number of words per terminable unit discriminated clearly one group from another in the two picture tasks.In conclusion, when we evaluate the spontaneous speech of normal or abnormal aging including illiterate, semiliterate and literate groups, we need to consider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omplexity of syntactic structure. Furthermore, upon evaluating or treating neurogenic language disorders such as aphasia, we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literacy in addition to educational level.
Files in This Item:
TA0076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81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