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1936

Cited 0 times in

생활사건과 관련된 스트레스량 측정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평숙-
dc.date.accessioned2015-12-24T09:27:11Z-
dc.date.available2015-12-24T09:27:11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785-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영문] [한글] 본 연구는 생활사건과 관련된 스트레스량을 수량화하여 질병 발생을 예측, 설명 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이와 같은 목적하에서 첫째, 한국인의 생활에서 일어난 생활사건 항목을 수집하였고, 둘째, 각 생활사건 발생시 적응행동에 요구되는 스트레스량을 측정하였고 이 측정간이 사 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하였다. 셋째, 븐 도구의 질병발생 예측력 을 검정하기 위하여 생활스트레스와 건강상태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도구개발을 위한 첫 단계로 생활사건 항목 구성을 위한 예비조사를 1983년 6월 부터 9 월까지 3개월간 병원 및 의무실 이용자인 성인 1,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는 개방질문으로 구성된 질문지와 구문화된 면담법을 통해 건강문제 발생전에 경험했던 중요한 생활사건을 수집한 후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98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둘째 단계는 1차 예비조사에서 수집된 98개 사건에 대한 스트레스량 측정을 위한 질문 지와 본 도구의 예측력을 검정하지 위한 건강상태조사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1983년 12월 부터 1984년 2월까지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집단을 대상으로 성별과 연 령별로 체계적 층화무선 표집을 이용하여 1,500명을 표출하였으나 실제 자료분석에 사용 된 표본수는 1,075명 (71.7%)이었다. 자료분석온 98개 생활사건 항목의 구성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시도하였고 생활사건의 스트레스량 측정과 사회인구학적 특성간의 차이는 t검정, 변량분석, Pearson 단순상관 등으로 검정하였고, 생활스트레스량과 건강상태와의 관계는 Pearson단순상관, 부분상관, χ**2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건강상태애 영향을 미치는 주 요인은 단계적 중다 희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98개 생활사건 항목을 요인 분석한 결과 요인 1 (경제 및 직업), 요인 2 (친교 및 취미), 요인 3 (성공 및 성취), 요인 4 (시험 및 학교), 요인 5 (부부 및 결혼생활) 요인 6 (죽음), 요인 7 (자녀), 요인 8 (자녀 및 부모의 결혼생활), 요인 9 (위법행위), 요인 10 (주거환경), 요인, ll (임신 및 생식기), 요인 12 (가족간의 불화), 요인 13 (취업 및 퇴직), 요인 14 (종교생활), 요인 15 (이성교제), 요인 16 (건강문제)의 16개 요인으 로 분류할 수 있었다. 2. 98개 생활사건에 대한 스트레스량 측정결과 평균스트레스량의 범위는 최고 배우자의 죽음인 91.5에서 부터 최저 취미 및 클럽활동의 가입인 20.29로 나타났다. 3. 98개 생활사건애 부여한 스트레스량은 사회인구학적 특성(성별, 연령, 결혼상태, 직 업의 유형, 사회경제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건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는 95개 문항중 24개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98개 생활사건의 평균 스트레 스량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집단간의 상관관계 즉 일치도는 매우 높았다.(γ=.96∼.99). 4. 생활스트레스량파 건강상태와의 관계는 긍정적 관계가 있을것이다 라는 가설을 검정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 γ=.2944(P<.001)를 나타내어 가설 1은 지지 되었다. 생활스트레스를 긍정적 스트레스와 부정적 스트레스로 분류하여 건강상태와의 상 관관계를 다시 검정한 결과 긍정적 스트레스, 부정적 스트레스 모두 건강상태와 유의한 상관관계 나타냈으나 부정적 스트레스가 긍정적 스트레스 보다 더욱 높은 상관관계의 계 수를 나타냈다. 생활스트레스와 건강상태와의 상관관계를 재확인하기 위하여 사회 경제상태, 성별, 연 령, 결혼상태의 재 변수를 모두 통제한후 생활스트레스와 건강상태와의 부분상관관계를 검정한 결과 생활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와는 계속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5 .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수인 생활스트레스, 성별, 연령, 결혼상태, 사회경 제상태가 건강상태를 어느정도 예측할 수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하여 단계적 중다희귀 분 석결과 전체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 요인은 생활스트레스가 첫번째 요인이었고, 그 다음은 성별, 사회경제상태, 결혼상태, 연령등의 순위였으며 모두 첨가되면 17.5%의 설명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6. 생활스트레스량과 질병발생과의 관계를 검정하긴 위하여 생활스트레스량을 상. 중, 하등 3집단으로 분류하여 질병발생 경험 유무와의 관계를 검정한 결과 12개 질병 영역중 기타 영역을 제외한 11개 질병 영역 모두에서 스트레스량이 높은 집단 일수록 질병발생의 경험수가 높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가설 2는 지지 되었다. 7. 추가분석 (1)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긍정적 스트레스와 부정적 스트레스로 분류 한후 사회 경제 상태를 첨가하여 단계적 중다희귀 분석결과 전체 건강상 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은 부정적 스트레스가 첫번째 요인이었다. 신체적 건강과 정신 건강을 분류하였을 때는 설명 변인의 비율에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부정적 스트레스는 긍 정적 스트레스에 비해 설명할 수 있는 비율이 더 높았다. (2)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스트레스의 주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결 과에 기초를 두어 단계적 중다희귀분석결과 전체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첫번째 요인 은 경제 및 직업과 관련된 요인 (요인 1)이었고, 그 다음은 건강문제 (요인 11), 가족간 의 갈등(요인 12), 시험 및 학교 (요인 4) 사회경제상태, 친교 및 취미 (요인 2), 위법행 위 (요인 9), 자녀 (요인 7), 부부 및 결혼생활(요인 5), 죽음(요인 6), 이성교제 (요인 14), 취업 및 퇴직 (요인 13), 성공 및 성취 (요인 3), 부모(요인 8)등치 순위였으며, 모 두 첨가되면 11.8%의 설명이 가능하였다.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을 분류하여 각각 검정한 결과 설명 변인의 순위와 예측력은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정신건강보다 신체적 건강을 예측하고 설명할 수 있는 비율이 더 높았다 .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는 생활사건의 스트레스량 측 정도구로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으며 질병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이 확인 되었다. A Methodological Research on the Measurement of Stress related to Life Events Lee, Pyoung Sook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m, Euisook, D.N.Sc. In an attempt to quantify stress related to life events and to identify it's predictability of disease onset, a methodological approach was designed and carried out. First, a study to identify stressful life events of Korean adults was carried out between June and September 1983. At that time 1,200 adult currently ill were questioned, and 98 siginificant life events were identified. Second, to quantify the amount of stress related to the life events,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ree months beginning in December 1983. 1,075 Korean adults residing in Seoul, Korea were surveyed, and the amount of stress related to each life event was quantified in terms of the relative amount of adaptation required to cope with each event using an arbitrary standard. A modified Cornell Medical Index was used to determine their state of health, at the same time they were surveyed by a health problem inventory. Rea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Life events were classified into 16 factors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economy and work, sociability and recreation, achievement and success, examination and schooling, marital life, death, affairs of children, marital affairs of parents and of chilren, legal torts, residential environment, pregnancy and reproduction, family conflicts, employment and retirement, religiours life, love affairs and health problems. 2. 'Death of spouse' revealed to be the most stressful life event (x91.50) and 'beginning a hobby and/or joining a social and interest club' the least (x 20.29). 3.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ss stress score between groups classified by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sex,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socio-economic status were revealed. However, average stress score revealed a high consensus among the groups classified by variables such as sex, age, marital status and socio-economic status by Pearson's Correlation. 4.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related to both positive and negative life events and the state of health was revealed; negative life events to be higher. Further test after controlling socio-economic status, sex, age, marital status disclosed high correlation between state of health and life stress by using Partial Correlation. 5. Life stress revealed to be the main influential factor to the state of health followed by sex as the second, socioeconomic status, marital status, and age successively by using Stepwise Multitle Regression. A total inclusion of these factors revealed a 17.5% prediction for the state of health. 6. Through health problem inventory, 12 problem areas including 'unclassified' were identified.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high, moderate and mil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tress experienced. Highly significant assosiation between the amount of stress and onset of disease was revealed in 11 health problem areas by X**2 -test. 7. Additional analysis of stress related to life events by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stress related to negative life events to be higher in predictability than that of positive lire event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mong stress factors was revealed to be 'economy and work'. Predictability of each stress factor on the state of physical health revealed higher than that of mental health. To conclude, the Life Stress Scal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rough this study was proved to be a reliable and valiant instrument in measuring the amount of stress related to the life events and to identify predictability of the state of health.-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생활사건과 관련된 스트레스량 측정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634-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Pyoung Sook-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