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2 575

Cited 0 times in

실업계 여고생의 흡연과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 방식

Other Titles
 (A) study on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smoking, stress level and their ways of coping 
Authors
 허혜숙 
Issue Date
2006
Description
간호학교육전공/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흡연이 신체적 건강 및 정신적 건강에 유해함에도 불구하고, 특히 실업계 여고생들의 흡연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실업계 여고생의 흡연학생과 비흡연 학생간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두 집단간에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방법으로 이루어졌다.연구 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흡연 관련 특성 16문항과 스트레스 수준 측정 44문항, 대처 방식 4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5년 9월 15일부터 9월 27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일개 실업계 여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6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수집된 자료는 SPSS1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및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실업계 여고생들의 흡연율은 32.5%로 나타났으며, 하루 흡연량은 6~10개피가 가장 많았다. 담배 시작 동기로는 호기심이 4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서가 26.9%로 나타났다. 최초 흡연 시기로는 중학교 2학년 때가 27.9%로 가장 많이 응답했으며, 초등학교 때 시작한 학생도 무려 10.2%를 차지하였다. 또한 흡연 학생의 79.7%가 금연의지를 가지고 있었으며, 흡연 유무에 따른 생활관련 특성에서 학교생활의 만족도, 학교성적, 부모와의 관계 등 흡연 학생이 비흡연 학생보다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하위권인 경우 더 많았다. 흡연 학생이 한달 용돈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건강에 대한 지각정도도 건강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부모의 흡연여부와 음주사용은 학생의 흡연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둘째, 흡연 학생과 비흡연 학생간의 스트레스 수준을 비교한 결과 5점 만점에 흡연 학생이 평균 2.97로 비흡연 학생 평균 2.55에 비해 더 높게 나왔으며, 하위영역별 학교생활, 가정생활, 대인관계, 자아영역에서도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흡연 학생이 비흡연 학생에 비하여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을 보여주었다.셋째, 흡연 학생과 비흡연 학생 간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비교한 결과 4점 만점에 정서 중심적 대처 방식에서는 흡연 학생이 평균 2.31, 비흡연 학생이 평균 2.11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문제 중심적 대처 방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흡연 학생이 비흡연 학생에 비하여 소극적 대처방식인 정서 중심적 대처 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상의 결과로 몇 가지를 제언하면 흡연 시작 시기가 낮아짐에 따라 초등학교 저학년 때부터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흡연 예방 교육이 필요하다. 실업계 여고생이 갖는 스트레스 증에 가정생활 스트레스가 가장 많이 느끼고 유무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 비교도 가정생활 스트레스에서 흡연 학생 2.95, 비흡연 학생 2.44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금연 관리 프로그램이 가정의 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실업계와 인문계 여고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 방식을 비교할 수 있는 연구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정화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시급히 이루어져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Despite adverse physical and mental effects of smoking, the number of high school girls who smoke increases. In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aimed to survey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smoking and non-smoking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and thereupon, determine the differences of stress level and ways of coping between two groups.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with 16 items about demographic variables and smoking characteristics, 44 items for measurement of stress level and the same number of items about ways of coping.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from September 15 through 27, 2005, sampling 606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in Seoul.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10.0 for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test and T-test.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32.5% of the sample students were smoking with their daily average of 6-19 cigarettes. 41.6% of students were motivated by a curiosity to smoke and 26.9% of them were smoking to be relieved of stress. 27.9% of the girls began to smoke when they were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and 10.2% of them started smoking even when they were elementary girls. 79.7% of the girl students were willing to stop smoking. On the other hand, smoking girls were less satisfied with school life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recording lower school performances than non-smoking girls. They were also spending more pocket money every month, and perceiving that they were not health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smoking hab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parents'' smoking and drinking habits.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tress level between smoking and non-smoking girls, it was found that the former group scored 2.97 on a 5-point stress level scale, significantly higher than 2.55 scored by the latter group at P<.001. At this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scores differed between two groups in such sub-areas as school life, home life, human relationship and self-esteem. Such findings suggest that smoking students are more stressed than non-smoking ones.Third, it was found that smoking students'' ways to cope with their stress scored 2.31 on a 4-point scale, which was significantly (p<.001) different from 2.11 scored by non-smoking students, but terms of problem-centered ways of coping,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Such findings imply that the former group use emotional-centered or passive ways of coping more than the latter group.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ut forwards;As girls tend to start smoking earlier,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m on prevention of smoking in a sustained and systematic way when they are in lower elementary grades. As found from this study,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seem to be stressed most for their family life, while they tend to keep smoking due to the stress from their family life; smoking girls'' stress level (2.9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smoking girls'' (2.44) at p<.001).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associate a ''stop-smoking'' management program with a family relationship program. Als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compare stress-coping measures between commercial and grammar high school girls. Lastly, it is deemed urgent to develop and operate some effective stress management programs for high school girls.
Files in This Item:
TA0067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72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