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7 886

Cited 0 times in

마비말장애 환자의 파열음 산출의 음향학적 분석

Other Titles
 Acoustic anlaysis of Korean stops in patients with dysarthrias 
Authors
 김현승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마비말장애의 명료도 측정은 음향학적인 접근을 통하여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명료한 말을 보여주는 음향학적 요소는 조음 속도의 감소, 휴지 길이의 증가, 기본 주파수의 증가, 모음 공간 영역의 증가, 파열음의 파열 생략의 감소 등으로 밝혀진 바 있다. 이중 파열음 요소를 이용한 명료도 측정은 파열음이 우리나라 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파열음의 성대 진동 개시시간(VOT) (혹은 기식구간)이 후두 층위와 후두 위 층위의 상호작용을 한꺼번에 보여주는 좋은 지표이기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다루고 있다. 더욱이, 우리말의 파열음은 평음/경음/격음의 3중 대립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열음 구간의 세부 구간인 기식구간과 폐쇄구간 길이를 이용하여 3중 대립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국내 마비말장애 파열음 연구는 특정 유형의 환자군이나 특정 파열음에 국한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유형의 마비말장애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의 9가지 파열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의 기식구간, 폐쇄구간 및 폐쇄구간 비율을 분석하였다. 각 대상군은 각 파열음을 /ㅏ_C파열음_ㅏ/ 환경에서 3번씩 반복하여 산출하였으며, 수집된 어음 자료는 Multi-Speech(model 3700)와 Praat 프로그램을 통해 음향학적으로 분석되었다. 측정된 각 파열음의 폐쇄구간과 기식구간 길이 및 폐쇄구간 비율을 비모수 맨 휘트니 검정과 반복 측정 분산분석 검정을 통하여 검정하였다.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1) 모든 파열음에서 환자군의 파열음 폐쇄구간이 정상군에 비해 길었으며; 2) 환자군의 기식구간은 정상군과 거의 차이가 없었고; 3) 환자군은 일부 파열음의 폐쇄구간 비율이 정상군에 비해 길게 나타났고, 정상군은 모든 조음 방법에서 조음 위치가 뒤로 이동할수록 폐쇄구간 비율이 감소하였으나, 환자군은 그러한 경향성을 따르지 않았다. 4) 정상군은 모든 조음 위치에서 조음 방법에 따른 폐쇄구간 길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환자군은 치조음의 삼지적 상관속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5) 정상 및 환자군 모두 모든 조음 위치에서 삼지적 상관속에 따른 기식구간 길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6) 정상군은 경음, 격음에서 조음 위치에 따른 폐쇄구간 길이 차이를 유의미하게 보였으나, 환자군은 조음 위치에 따른 폐쇄구간 길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 정상군은 모든 조음 방법에서 조음 위치에 따른 기식구간 길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 수 있었으나 환자군은 경음에서만 조음 위치에 따른 기식구간 길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본 연구를 통하여 각 파열음 산출 시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더 긴 폐쇄구간과 기식구간 길이를 보이지만 기식구간 길이에서는 그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환자군은 조음 방법에 따라 치조음의 폐쇄구간과 기식구간의 변별적인 산출이 가능하다는 것과 조음 위치에 따라서는 경음의 기식구간을 제외하고는 변별적인 폐쇄구간 및 기식구간 산출이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폐쇄구간 비율이 조음 위치 및 방법별 측면을 모두 보여주는 좋은 지표가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생리학적인 측면과 관련하여 환자군은 기식성보다는 긴장성에 어려움을 가지며, 후두 층위와 후두 위 층위 간의 협응에 어려움이 있고, 혀 끝 움직임이 다른 조음기관의 움직임보다 용이하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우리말의 9가지 파열음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 유형 구분 없이 마비말장애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논의한 점에서 임상적인 의의를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Acoustic approach has been used to evaluate intelligibility in dysarthria in a more objective manner. Reduced articulatory rate, increased pause rate, increased vowel space area, reduced stop burst omission are well-known characteristics of clear speech. Especially stops are good measures as they indicate the intelligibility of speech, have a high frequency in Korean and reflect the coordination of laryngeal and supra-laryngeal level mechanisms. Korean stops have triplets of phonologically distinct, homorganic plosives at three different places of articulation: bilabial, alveolar and velar. A three-way distinction of both manner and place of articulation differentiates the nine plosives. At each place level, one manner is distinct from the other two by two acoustic characteristics: closure duration and aspiration duration. This study was done on 8 dysarthria patients (mean age 41.7 years) and 8 age- and gender-matched normal adults (mean age 40.9 years). Subjects produced 9 Korean stops, /p, p*, ph, t, t*, th, k, k*, kh/ in VCV circumstances, 3 times for each stop. The preceding and descending vowel was /a/ in all cases. All speech samples were recorded in a digital recorder and closure duration, aspiration duration and closure duration rate were acoustically analyzed by Multi-Speech model 3700 and Praat. All analyz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non-parametric Mann-Whitney measure and repeated measures of ANOVA.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losure duration of all stops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dysarthria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2) The aspiration duration of all stops except /aka/ was longer in the dysarthria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3) The ratio of closure duration to closure-aspiration combined du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 group than in the normal control group; (4) The control group could produce closure and aspiration durations distinctively according to the manner, aspirated, tense and lax at each place. However, the dysarthria group could produce closure durations distinctively according to the manner at only one place level, alveolar. On the other hand, the patient group was able to produce aspiration duration distinctively according to the manner at all place levels; and (5) The control group could produce closure and aspiration duration distinctively according to the place, bilabial, alveolar and velar at two kinds of manners, tense and aspirated manners. However, the dysarthria group was not able to produce significantly distinctive closure duration according to the place at any manner. In addition, the patient group could produce aspiration duration distinctively according to the places at only the tense manner.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ysarthria group had difficulty in coordination between laryngeal and supra-laryngeal mechanisms and that it was better in aspiration than in tense aspects. The study findings presented here are expected to have clinical significance because this study targeted all 9 Korean stops and all dysarthria groups.
Files in This Item:
TA0063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68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