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4 600

Cited 0 times in

Immunization and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 a meta-analysis

Authors
 최정희 
Issue Date
2008
Description
Dept. of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석사
Abstract
[한글]예방접종과 영아급사증후군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1979년 Hutcheson이 디티피 백신을 접종 받고 24시간 이내에 영아급사 증후군으로 사망한 4명을 보고한 후 디티피 백신 접종에 의한 영아 돌연사 증후군 발생 가능성이 대두되었다. 그리고 예방접종과 영아급사 증후군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역학적 연구 결과를 병합하려는 시도는 현재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발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메타 분석을 통하여 예방접종과 영아급사증후군 위험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가설 검정력을 강화함과 예방접종이 영아급사증훈군의 위험요인인지 밝히고, 동시에 예방접종의 안정성을 밝히려는 것이다.

PUPMED, MEDLINE, GOOGLE SCHOLAR, EMBASE, SCOPUS, 한국학술정보원 데이터베이스와 이를 통해 찾은 자료의 참고 문헌을 조사하여 총 열 네 편의 관찰 연구를 확인하였다. 각 연구에서 예방접종과 영아급사증후군 사이의 승산비를 병합하였으며, 통합 효과 크기는 동질성 검정 결과에 따라 고정 효과 모형 혹은 확률 효과 모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각 연구 사이의 이질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메타 회귀 분석 및 층화 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의 확고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영향력 분석을 실시하였다.

예방접종과 영아급사증후군의 관계에 대한 통합승산비는 0.48, 95% 신뢰구간은 0.54-0.65으로 예방접종과 영아 돌연사 증후군 사이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가 존재하였다. 특히 디티피와 폴리오 또는 폴리오를 예방접종한 여섯개의 연구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보호 효과가 확인되었다(통합승산비 0.60, 95% 신뢰구간 0.41-0.88).

결론적으로 예방접종은 영아급사증후군에 대해 보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예방접종의 종류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영아 돌연사가 많이 발생하는 2~5개월 접종 스케줄에 의해 논란이 되어왔던, 디티피와 폴리오 또는 폴리오 예방접종이 영아급사 증후군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은 아니다라고 확인 되었다. 그러나 관찰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의 방법론적 한계와 이 연구에서의 출판 편견의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결과는 조심스럽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Beginning with the reports of Hutcheson in 1979, a cluster of four cases of sudden infant death syndrome(SIDS) occurred among infants who had received within the previous 24h and injection of DTP, concern was raised that a recent history of DTP immunization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sudden infant death syndrome(SIDS). And, until now there are a lot of studies to quantitatively summarize the results of epidemiological researches on immunization and risk of SID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mmunizations are risk factor for SIDS at the same time and safet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rough meta-analysis, to strengthen the statistical power of a hypothesis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mmunization and SIDS.

Fourteen observational studies were identified using PUPMED, MEDLINE, GOOGLE SCHOLAR, EMBASE, SCOPUS, RISS and a manual search. Summary odds ratios (ORs) for immunization and SIDS were calculated based on fixed and random effect models. The meta-regression analysis and stratified analyses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eterogeneity across the studies. Influence analysis was done to test robustness of the analysis.

The combined odds ratio indicates a reduced risk of SIDS with immunization(summary OR=0.48, 95% confidence interval(CI)=0.54-0.65). Notably, subgroup analysis with six studies which reported DTP or DTP with poliomyelitis immunization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 (summary OR=0.60, 95% CI=0.41-0.88).

Immunization appears to play a protective role in the occur of SIDS. The result also implies that no increase between immunization and risk of SIDS, focusing in high incidence of SIDS which most frequently occurs in infants between two and five months of age , a period when many immunization are given. The result of this study, however, might be carefully interpreted. Considering the limited method of meta analysis and the possibility of diverse biases.
Files in This Item:
TA0060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66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