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1 687

Cited 0 times in

초등저학년아동의 학년에 따른 이야기 산출 능력 분석

Other Titles
 Narrative production abilities analysis of the school age children in grade 
Authors
 신수진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아동들은 낱말을 조합하고 문법형태소를 습득하기 시작하면서 복잡한 구문구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요소들이 한데 어우러져 만들어지는 것이 이야기이다. 아동이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대부분의 교실 수업이나 교재들이 이야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야기는 학령기 언어발달의 주요 장르가 된다. 유아기부터 시작한 이야기는 학령기를 거치는 동안 점진적으로 발전한다. 따라서 이야기는 담화 수준의 언어를 사용하는 학령기 아동들의 언어능력을 살펴볼 수 있는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언어장애아동의 이야기 발달 수준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준거(criteria)로써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정상아동들이 산출한 이야기를 통하여 학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았다.연구 대상은 서울시 강서구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1학년, 2학년 및 3학년으로서 각 집단별 20명씩 60명이었다. 아동들은 글 없는 그림책 “Frog, Where are you?"를 보면서 이야기를 산출하였다. 연구자는 이들이 산출한 이야기의 내용 및 구문을 분석하였다. 이야기의 내용을 분석하는 도구로써 이야기문법(story grammar)을 사용하였고, 이야기의 구문을 분석하는 도구로써 형태소로 본 평균절길이(MLCm)와 문법오류(grammatical error) 점수를 사용하였다. 그리하여 이야기문법, 형태소로 본 평균절길이(MLCm), 문법오류 점수가 각 학년집단에 따른 차이를 말해줄 수 있는가 알아보았다.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이야기문법 총점이 학년집단에 따라 높게 나타나, 이야기문법 총점에 의거한 이야기 산출 능력이 학년에 따라 증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야기문법 하위 범주별 점수의 경우, 계기사건, 내적반응, 시도 및 결과는 학년집단에 따라 높아졌으나 배경은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각 하위 범주별 점수가 학년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시도와 내적반응을 더 많이 사용하는 추세를 보였다.둘째, 형태소로 본 평균절길이(MLCm)는 1학년과 3학년 집단간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야기의 평균절길이(MLCm)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길어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셋째, 문법오류 총점이 학년집단에 따라 감소하여, 문법오류 총점에 의거한 이야기 산출 능력이 학년에 따라 증진됨을 알 수 있었다. 오류유형으로써 조사 또는 어미의 실수, 중요 논항의 생략, 자가수정을 사용하였다. 자가수정은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조사 또는 어미의 실수, 중요 논항의 생략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감소함으로써 두 유형에 의거한 이야기 구문 발달을 예측해 볼 수 있었다.본 연구 결과는 정상 발달하는 학령기 아동의 경우 학년이 올람감에 따라 이야기문법 총점이 증가하고, 평균절길이(MLCm)가 길어지며, 문법오류가 감소함을 보여줌으로써 이야기 산출 능력이 발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령기 아동의 이야기 산출 능력을 측정해 볼 수 있는 척도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참고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영문]Usually children mix words and use complex syntax when they begin to learn morphemes and these factors are first harmonized in narratives. Upon enter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cognize that a narrative is a main genre, because most class texts consist of narratives. The narrative ability develops gradually from infancy throughout the school age and can be a useful marker to examine the language ability of school age children using the language of discourse level. In addition, it can form part of a comparable criteria for measuring the narrative competence of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In this study therefore, I examined the development in narrative production abilities with increasing grade of school age children.I collected data from 60 elementary school children (Grades 1 to 3) in Gangseo-gu, Seoul. The children produced a narrative picture storybook "Frog, Where are you?", with no words. I analyzed the content and syntax of the produced narratives. I used story grammars as the analysis material for the content and used the mean length of C-units by morphemes(MLCm) and grammatical error score as the analysis material for the syntax. I then examined whether story grammars and MLCm and grammatical error score can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s in grade groups.The results were as follows.1. Story grammar total score was higher as groups. Thus, narrative production ability by story grammar total score was increased as groups. The scores in story grammar categories, initiating event, internal response, attempt, and consequence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but setting was not influenced by grade. The score in story grammar categori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same, but the attempt and internal response tended to be used more than the others with increasing grade.2. MLCm was increased significantly between grades 1 and 3, whereas the MLCm was significantly lengthened with increasing grade.3. grammatical error total score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Thus, narrative production ability by grammatical error total score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I used misuse of a postposition or ending, omission of main contents, and self correction as indicators of error patterns. The self correction was not influenced by grade. Misuse of a postposition or ending, and omission of main content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grade. Therefore, I determined that the narrative syntactic development was based on two patterns.The story grammar total sco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grade for normal school age children. MLCm was increased and grammatical error total score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This analysis confirmed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production abilities and the accuracy of a significant predictor of narrative production ability of school age children.
Files in This Item:
TA0060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66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