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0 1160

Cited 0 times in

대학생의 영성, 감성, 우울과의 상관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rrel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spirituality, emotion, and depression 
Authors
 장은주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지역사회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이 연구는 우울관련요인을 파악하고 우울에 미치는 변수로써 우울과 영성과 감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기 위한 상관관계 연구이다. 영성, 감성, 우울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중재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연구도구로써 우울 측정 도구로는 미국 정신 보건연구원(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NIMH)에 의해 1971년에 개발된 자기보고형(self-report) 우울척도로 신승철 등(1991)에 의해 번안한 CES-D(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이며, 영성 측정 도구로는 Paloutzion 과 Eillison(1982)이 개발한 영적안녕 척도를 최상순(1990)이 번안한 것으로 사용하였고, 감성 측정 도구로는 Goleman(1995)의 EQ검사를 기초로 장대익(2002)이 제작한 ‘정서지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이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소재 K대 1,2,3,4학년 재학생들로 576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5월 29일부터 2006년 6월 9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자료의 처리와 분석은 SPSS Windows 13.0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은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하였고, 인구통계 변인별 반응의 차이와 대상자의 우울, 영성, 감성 정도는 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였고, 우울, 영성, 감성간의 관계는 Pearson's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영성 지수가 높을수록 우울 지수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26, p<.001), 실존적 영적 안녕과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56,p<.05).둘째, 감성과 우울이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감성지수가 높을수록 우울이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34, p<.05). 하위변수 간에도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감성은 우울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우울에 미치는 영성과 감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31, p<.05). 영성과 감성지수가 높을수록 우울이 유의미하게 낮아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영성과 감성지수가 높을수록 우울지수가 낮아지는 것으로 영성과 감성과 우울은 서로간의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 완화를 위해 영성과 감성을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의 개발과 독자적인 간호중재로 임상실무에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앞으로의 연구하는 일은 상당한 의미 있는 연구라고 사료된다.

[영문]Purpose: This is a correlation study to identify factors in depression and determine how depression is correlated with spirituality and emotion as variables affecting depression.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correlation among spirituality, emotion, and depression to present basic data for an intervention scheme to help college students improve their mental health.Methods: Depression was measured by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translated by Shin and others (1991), which was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developed by the U.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NIMH) in 1971; spirituality was measured by Choe's (1990) translation of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developed by Paloutzion and Eillison (1982); and emotion was measured by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manufactured by Jang (2002) on the basis of Goleman's (1995) EQ Test.576 students of K University in Seoul, regardless of school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implemented by a survey from May 29 through June 9, 2006; and an SPSS Windows 13.0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demographics, along with t-test and ANOVA for the degree of respondents' depression, spirituality, and emotion and differences in responses by demographic variable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for correlation among depression, spirituality, and emotion.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Results: The higher spirituality, the lower depression (r=-.26, p<.001); depression had relatively stronger correlation with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r=-.56,p<.05).Second, emotion was correlated with depression: the higher emotion, the significantly lower depression (r=-.34, p<.05). There was relatively high correlation among sub-variables: emotion had negative effects on depression.Thir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motion and spirituality affecting depression (r=.31, p<.05). The higher spirituality and emotion, the significantly lower depression,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Conclusion: To put the results together, there is strong correlation among spirituality, emotion, and depression: the higher spirituality and emotion, the lower depres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spirituality and emotion to relieve depression and use it actively in a clinical practice as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which will be very significant.
Files in This Item:
TA0058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63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