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7 682

Cited 0 times in

음운 환경과 검사어 길이가 정상 성인의 비음치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honetic Context and Stimulus Length on the Nasalance Score in Normal Adults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00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비음치(nasalance score)란 비음측정기(Nasometer)를 이용하여 비성의 정도를 측정한 값이다. 비음치는 객관적일 뿐만 아니라 청각적 판단에 의한 비음도(nasality)와 상관 관계가 높아서, 공명장애 진단의 보조 자료로 흔히 이용된다. 그러나 비음치는 검사어에 포함된 공명음의 비성 정도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공명

장애 진단에 있어서 검사어의 특성과 비음치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0명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음운 환경이나 검사어 길이가 비음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안정된 비음치를 얻기 위한 음운 환경과 검사어 길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한편 비음치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음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음운은 비음이었다. 비음 문장이 구강음 문장보다 비음치가 높았다.

2. 비음치는 모음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우/ 문장, /아/ 문장, /이/ 문장 순서로 비음치가 높았다.

3. 비음치는 구강 자음의 조음 위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양순자음이나 전설자음 문장보다 후설자음 문장에서 비음치가 높았다. 그러나 구강 자음의 조음 방법은 비음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비음치는 검사어의 길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검사어 길이가 짧을수록 비음치가 높았다.

5. 비음치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음운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음치를 보인 /이/ 모음, 비음, 후설자음 문장이 다른 문장들에 비해 신뢰도가 더 높았다. 그리고 비음치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검사어 길이가 길수록 높았다.

6. 비음치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남성보다 여성이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문장은 비음 문장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비음치를 해석할 때, 검사어에 포함된 비음 비율 이외에 검사어가 어떤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와 후설모음의 비율을 고려하여야 하며, 검사어 길이에 따른 영향도 감안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신뢰도가 높은 검사어를 만들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비음치를 보인 음운으로 구성된, 너무 짧지 않은 문장으로 고안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The nasalance score is the degree of nasality measured by Nasometer. The nasalance score is often used as a supplementary data for a resonance disorder assessment, because it is not only objective but also correlated with the nasality which is perceptually rated by a trained speech pathologist. However, as the nasalance score varies with speech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 of speech material characteristics on the nasalance sc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1) the effect of the phonetic context and stimulus length on the nasalance score, 2) the phonetic context and stimulus length in which nasalance scores do not fluctuate, 3)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asalance score between male and female adults.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used 40 normal adults as subjects

(male:female=1:1) and analyzed nasalance scores in 17 different phonetic contexts and 6 different lengt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highest nasalance score was found in sentences with nasal consonants.

2. The nasalance score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s of vowel. The nasalance score was higher in sentences with /i/ vowel than in those with /a/ or /u/ vowel.

3. The nasalance score was influenced by the manner of articulation in oral consonants, but not by the place of articulation. The nasalance score was higher in sentences with back consonants than in those with labial or frontal consonants.

4. The nasalance score was influenced by the stimulus length. As the stimulus length increased, the nasalance score decreased.

5. The test-retest reliability differed under different phonetic contexts. It was higher in the contexts of /i/ vowel, nasal consonants and back consonants than in other contexts. The test-retest reliability increased as the stimulus length increased.

6. The nasalance scores were higher for female subjects. However,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only in the sentence including nasal consonants.



These results may indicate that in addition to the percentage of nasal consonants, the characteristics of vowel, the percentage of back consonants and the effect of stimulus lengt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nasalance score and in the development of stimulus.
Files in This Item:
TA0054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60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