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1085

Cited 0 times in

지지간호가 입원환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명자-
dc.date.accessioned2015-12-24T09:21:51Z-
dc.date.available2015-12-24T09:21:51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577-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영문] [한글] 간호전문직의 독특하고 중요한 부분(unique and important identity)인 간호의 본질성 에 대한 모색은 간호의 과학성에 대한 추구 못지않게 중요하므로 이 두가지 요소는 서로 병행되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 간호의 전문화를 추구하는 과정중 과학의 발달로 기인되는 기술위주의 편재된 사고는 간호의 기본정신인 인도주의에 대한 의식을 소홀히 하려는 경향을 초래하여 간호의 본질성 구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간호의 본질성 구현에 대한 가치를 확고히 하기위한 일방안으로서 지지간호를 개발하여 지지간호가 입원환자의 스트레스의 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 확인 하는 임상 유사실험을 시도하였다. 지지간호란 대상자를 향한 간호원의 일방 통행적인 대 화가 아니라 친근거리의 범위에서 경청의 자세로 언어 및 비언어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피 -드 백을 받아 대화를 진행하는 상호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치료적인 대인관계 과정을 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지지간호의 개념을 살펴보았고 입원환자의 불확실성 지 각정도와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지지간호가 입원환자의 불확실성 지각과 스 트레스를 감소시키는테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인지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1984년7년1일부터 9월20일까지 C대학 부속병원 일반병실에 입원한 환자 66 명이었다. 연구방법은 각 병동별로 입원 제1일의 입원환자가 연구대상자 선정범위에 맞는 지를 확인한 다음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을 배정하여 실험군에게만 지지간호를 시행하 였다. 양 집단에게 공통으로 면접과 관찰 및 기록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생리적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서 12시간 소변을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저자가 개발한 행동변화 척도, 사회지지도 척도와 Mishel 의 불확실성 척도, Spielberger들의 상황불안도 척도, Wallston들의 건강통제위 척도 및 소변의 생화학적 분석을 시행했으며,각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정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지지간호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인구학적 특성 및 성격, 사회지지도, 회복에 대한 기대도와의 유사성 검정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가설 검정으로서 지지간호 시행전과 시행후의 불확실성 지각정도와 스트레스 변화는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재확인하였다. 대상자의 불확실성 지각정도와 스트레스 정도 및 제 변수와외 관계는 Pearson의 적률상 관 관계, 분산분석등으로 검정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불확실성 요인을 규명하였다. 또 한 각각의 스트레스가 입원환자의 불확실성 지각정도와 일반적 특성에 의해 어느정도 설 명될 수 있는지는 다단계 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지지간호가 입훤환자의 불확실성 지각정도와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분석 제1가설: " 지지간호를 받은 실험군은 지지간호를 받지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스트레스 정도가 낮을 것이다"는 스트레스 성적인 생리적 반응, 상황불안도, 행동변화의 정도를 paired t-test 로 분석한 바 생리적 반응인 Na.값만이 실험군과 대조군과의 평균값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5.82, d.f.=64, P=.000). 따라서 가설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 었다. 제2가설: "지지간호률 받은 실험군은 지지간호를 받지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불확실성 정도가 낮을 것이다"는 paired t-test로 양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한 바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아 가설2는 기각되었다(t=1.74, d,f.=64, p>.01). 제3가설: "불확실성 지각정도와 스트레스와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는 생리적 반응(r=.2796,p<.01), 상황불안도(r=-.3970,p<.001), 행동변화(r=-2474,p<.05)가 불확실 성 지각정도와 각각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이므로서 가설3은 지지되었다. 2) 불확실성 지각정도와 제 변수와의 관계 불확실성 지각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진단명에 대하여 알고 있는지의 여부(t=.46 3, p=.001)와 회복에 대한 기대도(P=.344, p=.005) 였다. 입원환자의 불확실성 요인은 「모호성 요인」, 「복합성 요인」, 「정보 결핍성 요인」 , 「예측 불허성 요인」의 4개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상 4개 요인으로 부터의 기여도는 81.5%였다. 3) 스트레스와 제 변수와의 관계 대상자의 스트레스 성적중 생리적 반응인 Na.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경제상태였고 (F =4.183, p<.05), 상황불안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별과 결혼상태 및 회복에 대한 기 대도가 각각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t=5,763, p<.05; F=6.073, p<.01; F=6.092, p<.01). 행동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교육정도 (F=5.352, p<.01)와 사회지지도(t=4.203, p <.01)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4) 불확실성 지각정도와 인구학적 특성 및 성격,회복에 대한 기대도, 사회지지도가 입 원환자의 스트레스를 각각 어느 정도로 설명해 줄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다단계 중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이와같은 예측요인들이 생리적 반응과 상황불안도를 각각 42. 5% 설명할 수 있었고 행동변화는 33.0%를 설명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부터 지지간호는 입원환자의 불확실성 지각정도를 낮추는테 효과적 이며, 특히 생리적 반응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입원환자의 스 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이 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간호의 본질성 구현에 대한 가치를 높여 주었으며 전인간호의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또한 입원환자의 불확실성 지각정도와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 관계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입원환자의 간호중재시 진단명과 관련된 정보제공과 회복에 대한 기대도를 높여 주므로서 스트레스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Care on Stress Relief for Hospitalized Patients Kim, Myung-Ja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You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m, Soya-Ja, D.N.Sc.) Since study on the fundamental nature of nursing care which is an essential part of unique and important identity of nursing profession is no less important than study on the scientific knowledge based on the rationale of nursing science, harmonized study must be pursued on the approaches to these two fields. As the remarkabl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sciences has led to the technology-oriented way of thinking and the diversification of nurses' work and the increase of their work-load, it is common that little attention is paid to a possible solution of the problem of stress of hospitalized patients originating from their feeling of uncertainty. Thus there seems to be a tendency to neglect a humanistic attitude which is the essential part of nursing care. In hospitalized patients for whom the degree of health loss can not be controlled by homeostasis mechanism and intensive medical intervention is necessary, the fear of health loss due to the disease progress and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their hospital life serves as a cause of their stress.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rify the degree of the feeling of uncertainty and stress of hospitalized patient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care on stress. The following steps were taken for this study: i) Identifying the degree of uncertainty and stress of hospitalized patients; ii) Verifying the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care; ii) Analyzing and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hich may affect the degree of stress of hospitalized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mprised 66 hospitalized patients selected from the general ward of C.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 1984 to September 20, 1984. As for the method of study, each sample subject was preliminarily examined to see whether the subject fell within the range of selection of study samples and then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by a random sampling metho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Collection of data regarding all the subjects were made by means of interviews, observation, questionnaire and biochemical urinary test while conducting supportive nursing ca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rough study of literature, the author contrived Activity Change Scale. The author also utilized such instruments as Uncertainty Scale by Mishel, State-Anxiety Scale by Spielberger,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by Wallston et al., and analysis of Biochemical Urinary Test. Before the experi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were conducted for an accurate application of these instrum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X**2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paried t-test, t-test, ANOVA, factor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and stress were verified by Pearson correlation and ANOVA. Changes in stress before and after supprotive nursing care were checked by paired t-tes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examin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ANOVA. The fa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tests for hypotheses were as follows; 1) Hypotheses 1 was partially supported.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pported by physiological stress on Na.excretion rate(t =-5.82, d.f.=64, P=.000).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mean difference of -5.091 on state anxiety score as compared with a mean difference of -4.273 by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5 level. The stability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not significant at .05 level. 2) Hypothesis 2 was not supported.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mean difference of -3.697 of uncertainty score as compared with a mean difference of .909 shown by the control group. Thus the decreased amount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the mean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5 level (t=1.74, d.f.=6.4, P>.01). 3) Hypothesis 3 was suppor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certainty level and the stress was positive: (Phy-siologic data at r=.2796, P<.01; state anxiety at r=-3970, P<.001; activity change at r=-.2474, P<.05). Therefor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asured values of the uncertainty level and stres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shows that supportive nursing care greatly contributes to the relief of stress of hospitalized patients, so the basic hypothesis- Supportive Nursing Care will relieve the hospitalized patient's stress level-was supported. 2. The relation between the uncertainty perception and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stress;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d uncertainty perception proved to be the diagnosis(t=.463, P=.001) and the expectation of recovery(F=.344, p=.005).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stress the variable which had correlation with physiological stress measured by Na. excretion rate turned out to be the economic status(F=4.183, P<.05) and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d state anxiety were correlated with sex(t=5.763, P<.05), marrital status(F=6.073, P<.01) and the expectation for recovery(F=6.092, P<.01).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d activity change proved to be related to educational status(F=5.352, P<.01) and social support(t=4.203, P<.01). 3. According to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owever, demographic variables and personality, social support and expectation for recovery interpreted Na. excretion rate and state anxiety level as 42.5% and stability level as 33.0%.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supportive nursing care is an effective way of relieving the stress of hospitalized patients, since it proved to be effective in lowering the uncertainty level and to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physiological change of hospitalized patient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지지간호가 입원환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63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Myung Ja-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