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1381

Cited 0 times in

경관영양 환자의 설사 발생 양상 조사 연구

Authors
 최은미 
Issue Date
1998
Description
간호학교육전공/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경관영양은 경관을 통해 위장관계로 유동식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위장관계의 기능은

정상이나 입으로 적절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없는 환자에게 적합한 방법으로,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적 통합성을 유지하고, 영양소 이용을 증진시키며 안전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으나, 경관영양과 관련되어 오심, 구토, 설사, 위내 배출 지연, 관폐색, 홉인

성 폐렴 등의 여러문제가 발생하는데, 그중 설사 발생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데 그 발생률

은 2.3-63%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설사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관영

양 투여 방법, 항생제, H^^2 수용체 길항제, 혈청 알부민 수준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 여러가지의 다양한 간호중재에도 불구하고 경관영양을 하는 환자의 설사 발생이 계속적

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연구의 목적은 경관영양시 나타나는 설사 발생 현황에 대

해 조사하여 경관영양을 하는 환자의 간호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서을 시내에 위치한 Y대학 병원에 6월 20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입원 기간

중인 환자중에서 경관 시작일로 부터 7일이상 30일까지 중단없이 경관영양을 한 39명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관영양과 관련된 대상자의 특성은 경관영양 기간이 9일 이하가 5명, 10-19일 17명

, 20-29일 6명, 그리고 30일 이상 11명으로 이루어져 있고, 경관영양 방법은 지속적 주입

법 66.7%(26명)으로 많았고, 혈청 알부민 수준은 3.4gm/dl 이상 69.2%(27명), 항셍제를

사용한 군이 92.3%(36명), H^^2 수용체 길항제를 사용한 군이 64.1%(25명)으로 많았다.

또한 경관영양을 지속하는 11명이외에 경관영양 중단이유는 금식 10명, 구강 식이 전환 1

3명, 퇴원 3명, 사망 2명 등이었다.

2. 본 연구의 대상자중 경관영양 기간에 설사를 경험한 대상자는 66.7%(26명)이었고,

조사기간내 대상자의 평균 영양 기간은 18.7일이었으며, 경관영양일에 따른 설사 발생 분

포를 보면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여 특정한양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경관영양 기간 동안

의 설사 경험 횟수는 2회 이상을 반복적으로 경험한 대상자가 65.4%(17명으로 나타났다.

3. 설사 발생 유무에 따라 대상자를 비교해 보면 설사를 경험한 군 66.7%(26명), 경험

하지 않은 군 33.3%(13명)으로 나타났고, 경관영양 기간에 따라 비교해 보면 설사를 경험

한 군은 30일 이상 지속한 군이 10명(39.3%)로 가장 많았고, 경험하지 않은 군에서는 10-

19일 동안 경관영양을 한 군이 9명(69.2%)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경관영양 방법과 항생

제 사용 유무, H^^2수용체 길항제는 설사를 경험한 군과 설사를 경험하지 않은 군에서 x*

*2검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형청 알부민 수준도 3.4gm/dl 이상인 군과

3.3gm/dl인 군간에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경관영양을 중단한 이유는 설사를 경험한 군

에서는 금식이 10명(38.5%)으로 가장 많았고, 설사를 경험하지 않은 군에서는 구강식이

전환이 8명(61.5%)으로 가장 많았다.





Study on the Diarrhea Pattern in Enteral Nutrition Patients



Choi, Eun Mee

Dept. of Nursing Education Graduation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diarrhea pattern in enteral

nutrition pati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9 enteral nutrition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a selected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from June 27,

1997 to November 30, 1997 and receiving continuous enteral feeding for at least

seven day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charts that were filed in the chart record

department during period from October 15, 1997 to November 30, 1997.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perods of enteral feeding were as follows : less than 9 days-5 patients :

from 10 to 19 days-17 patients ; from 20 to 29 days-6 patients, and over 30 days-11

patients. Of the 39 patients, a continuous infusion was 26 patients received and a

bolus infusion 13 patients received. The albumin level differated above 3.4 gm/dl

in 27 patients and showed below 3.3 gm/dl in 12 patients. The medications receiver

were as follow : the 36 patients received antibiotics and the 25 patients used H^^2

receptor blocker. The reason for discontinuance of enteral feedings were fasting,

dietary change to the oral feeding, discharge and death.

2. OF this group 26 patients(66.7%) experienced diarrhea during enteral feeding

period and most of them had more than one diarrhea, but there was no diarrhea

pattern according to the period of enteral feeding.

3. Among the patients experiencing diarrhea, 10 patients received enteral

feedings for more than 30 days, but among the group that didn't experience

diarrhea, 9 patients had enteral feeding from 10 to 19 days. In terms of the

diarrhea related factor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diarrhea group and

non-diarrhea group as to the type of enteral feeding, antibiotics received, albumin

level, and use of H^^2 receptor blocker. The most common reason for discontinuance

of the enteral feeding in the diarrhea group was diarrhea.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2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51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