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176

Cited 0 times in

유즙생리 단계별 유방간호가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A Study of the Effect of Breast Care on the Breast Feeding Practice in Various Stage of Lactation 
Authors
 이혜우 
Issue Date
1999
Description
간호교육학전공/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제왕절개 산모의 유즙생리 단계별 유방간호는 일반적인 유방간호보다 모유수유 실천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탁월한 모유수유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모유수유율은 극히 저조한 상태이다.

따라서 각 병원이나 단체에서는 모유수유 실천을 높이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모유수유율은 현저하게 증가되지는 않았다. 우리나라의 모유수유와 관련된 연구로

는 모유수유의 우수성, 실태조사, 모유수유에 대한 산모의 태도조사, 지식과의 관련성,

모유수유에 영향을 주는 요인등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있으며 그 중재방법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유수유에 대한 신념을 갖고 모유수유를 실천

하려고 계획했던 산모를 대상으로, 모유수유의 실패 이유로 가장 많이 제기되는 젖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유즙생리 단계별 유방간호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설계는 유즙생리 단계별 유방간호가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

한 유사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시차 사후 설계를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시내 Y대학 부속병원에서 1999년 1월 1일부터 4월 29일사이에 제왕

절개로 분만을 한 산모로서 대상자는 총 91명이며 실험군은 31명, 대조군은 60명이다. 연

구 실험 및 자료 수집을 위해 소요된 기간은 1999년 4뭘 10일에서 5월 30일까지이다.

연구 절차는 제왕절개로 분만을 한 산모로 모유수유 계획이 있는 자로써 첫번째 모유수

유경험을 가진 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조군의 일반적인 문항과 분만 후 4주 시점에서의 모

유수유 실천유무를 조사한 뒤 실험군의 자료 수집을 하고 난 후 유즙생리 단계별 유방간

호를 적용하였다. 모유수유 실천여부는 분만 후 4주 시점에서 전화를 이용한 설문으로 응

답되었다.

연구 도구로는 일반적인 문항을 묻는 설문지와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유즙생리 단계별

유방간호 프로그램을 사용했고 모유수유에 관한 교육자료를 이용했다.

자료 분석은 SPSS-PC를 사용하여 백분율, X**2-test,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

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실험군의 모유수유 실천이 93.5%로 대조군 56.7% 보다 높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유즙생리 단계별 유방간호는 모유수유 실천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어(p=.000), "유즙

생리 단계별 유방간호를 받은 실험군은 일반적인 유방관리를 받은 대조군보다 모유수유

실천이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2) 기존 연구에서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제 변수들과 모유수유 실천과의 관계를 Logisti

c regression 으로 분석한 결과 직업의 유무만이 모유수유 실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

타나(odds ratio=.1767, 95% 신뢰도=.0341∼.9168, p=.0391) 직업이 없는 군이 있는 군에

비해서 5.66배정도 모유수유 실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모유수유 실천에 실패한 이유로는 두 집단 모두에서 젖부족이 가장 많은 이유였으며

인공수유를 시작한 시기는 실험군의 경우 2명의 인공수유자중 생후 1∼2주, 2∼3주가 각

각 1명이었으며, 대조군은 생후 처음부터 인공수유한 경우가 26명중 15명으로 가장 많은

시기를 차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유즙생리 단계별 유방간호는 모유수유 실천에 영향을 주어 모유수유 실천을 높게 해주

었다. 따라서

1) 각 병원이나 단체에서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산전, 산후교실에서 유즙생리 단계별

유방간호에 중점을 둔 유방관리교육을 포함시켜, 산후 젖부족을 이유로 한 모유수유 실

패요인이 발생되지 않도록 교육시킬 것을 제언한다.

2) 모유수유 실천을 도모할 수 있는 더 적극적인 산전, 산후를 포함하는 체계적인 간호

중재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A Study of the Effect of Breast Care on the Breast Feeding Practice in Various

Stage of Lactation



Lee, Hye Woo

Department of Nursing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ang, Soon Bok, R.N., Ph.D.)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in vatious stages of lactation, breast care

for a mother having a caesarean section operation has more of an effect on breast

feeding practice than on geneial breast feeding. Even though breast feeding has a

merit, the rate of its practice in Korea is too low, so hospitals, and related

groups, are trying to increase the breast feeding.

In Korea, studies related to breast feeding are for the most part on the

superiority of this method of feeding with surveys of its current state,

examinating the mother's attitudes,, relatedness to knowledge, and factors having

an effect on breast feeding. Actually, a study of nursing intervention is rare. So,

this study aims to at determining the effect of breast care, and by applying breast

feeding pratice in stages of lactation physiology and by doing solve the problum of

deficiency of breast milk, which is known as one of the most frequent causes of

breast feeding problums.

This study then made such a difference in time plan after the fact given by a

comparison group not in the same rank, following a simulation test, that in stages

of lactation physiology, breast care can have an effect on the breast feeding

practices.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were mothers delivering babies by a caesarean

section from January 1, 1999 to April 29, 1999 at university medical centers in

Seoul. There were 91 subjects, of whom 31 belonged in a test group with 60 in a

comparison group. The research experiment period including material collection, was

from April 10, 1999 to May 30, 1999. The research proceeded with mothers who had a

plan for breast feeding after caesarean section and were experiencing breast

feeding to the first time. Survey questions about the existence of the subjects'

breasting feeding practices were answered by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fourth

postpartum week.

Following the survey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testing group. The breast

feeding practice survey was done by phone based survey conducted during the fourth

week after delivery. The testing tool included a survey with genered questions,

breast feeding education, and breast feeding program in stages of lactation

physiology which resulted from research.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X**2-tested. And logistic were used through

SPSS-PC.

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ate of breast feeding practice in the test group was 93.5%.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mparison group, the rate of 56.7%. This said that

breast care in states of lactation physiology proved effective (p=.000). So, the

hypothesis seemed supported that the rate of breast feeding practice in the test

group having breast care in stages of lactation physiology would be higher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having general breast care.

2) Of the demographic factors, which were believed to be significant factors in

previous studies, were examined by logistic regression, only occupation appeared to

effect breast feeding practice (odds ratio=.1767, 95% CI=.0341∼.9168).

3)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tributing to failure in breast feeding practice,

was deficiency of breast milk. Specially, one- two subjects chose milk feeding for

the first 1-2 weeks: one subject chose weeks 2-3: but 15 of the total 26 subject in

the comparison group chose milk feeding immediately after delivery.

B. Suggestions

1) It is suggested that the class curretly offered in various setting before and

after childbirth, include management education cocentrating or breast care in

various stages of lactation in order that breast feeding practice not fail due to

deficiency of breast milk after childbirth.

2) In order to encourage breast feeding practice, there is need for a strategy

development of systematic nursing intervention, including more active care before

and after childbirth.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1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44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