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 696

Cited 0 times in

신장이식환자의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삶의 질과의 관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Stress, Self-Efficacy, and the Quality of Life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Authors
 이지수 
Issue Date
1997
Description
간호학교육전공/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본 연구는 신장이식환자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삶의 질의 관계를 조사

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로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삶의 질의 정도

와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므로써 신장이식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한 간호중재안

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C대학부속병원에서 신장이식을 받고 입원중이거나, 통원치료중

인 환자를 모집단으로 하여 선정기준에 의해 유의 표출한 196명이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Weiner

t(1988)의 PRQ-2(Personal Resounrce Questionnaire-2)를 연구자가 신장이식환자에게 맞

게 조정한 21문항 4점 척도로 사용하였다.(α=,87) 자기효능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S

herer와 Maddux(1982)의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7문항과 븐인이 개발한 신장이식환자의

치료지시이행에 관한 구체적 자기효능감 측정도구 4문항홀 포항한 총 11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사용하였다.(α=.72)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연구자가 Baldree등(1982)

의 스트레스 척도와 박 정숙(1989)의 스트레스원 척도, 문헌고찰을 통해 개발한 총 16문

항으로 구성된 4점 척도를 사용하였다.(α=.88)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방활란(1991)

이 개발한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하여 37문항으로 구성된 4점척도를 사용하였다.(α=.87)

자료수집기간은 1997년 4월 1일 부터 5월 3일까지 총 8일간 이었으며, 자료수집 방법으로

는 질문지법흘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를 위해 일반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삶의 질의 관

계는 t-test, ANOVA, 피어슨적률상관분석을 사용하였고 삶의 질의 예측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itiple regression)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정도는 평균이 66점, 평균평점이 3.14였으며 범위는 38점에서

84점이었으며, 자기효능감정도는 평균이 16점, 평근평점이 3.06이었으며 범위는 16점에서

43점이었다. 스트레스정도는 평균이 36점, 평근평점이 2.28이었으며 범위는 16점에서 62

점이었으며, 삶의 질정도는 평균이 132점, 평균평점이 3.57이었으며 범위는 98점에서 146

점이었다.

2) 가설 검정결과

신장이식환자의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그리고 삶의 질과의 관계를 확인하

기 위한 가설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가설 "신장이식환자의 사회적 지지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정도는 높을것이다"는 지

지되었다. (r=0.60, p=0.0001)

제2가설 "신장이식환자의 사회적 지지정도가 높을수륵 자기효능감이 높을 것이다"는 지

지되었다. (r=0.40, p=0.0001)

제3가설 "신장이식환자의 사회적 지지정도가 높을수륵 스트레스정도는 낮을것이다"는

지지되었다. (r=-0.23, p=0.031)

제4가설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륵 스트레스정도는 낮을 것이다"는 기각

되었다. (r=-0.09, p=0.369)

제5가설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륵 삶의 질정도는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

었다. (r=0.27, p=0.002)

제6가설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정도가 높을수측 삶의 질은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

다. (r=-0.55, p=0.000)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에서 사회적 지지와 관련된 변수는 종교 유무(t=-3.63, D<.0

5), 직업 유무(t=3.30, p<.05), 경제상태(t=-3.27, p<.05)였다.

대상자의 자기효능감과 관련있는 변수는 종교로 종교를 가진 사람이 종교를 가지지 않

은 사람보다 자기효능감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3.66, P<.05)

대상자의 스트레스정도와 관련있는 변수는 경제 상태(t=-3.52, p<.05), 거부반응 유무(

t=2.43, p<.05)로 경제 상태가 높은 대상자와 거부반응을 경험하지 않은 대상자의 스트레

스정도가 낮았다.

대상자의 삶의 질정도와 관련있는 변수는 배우자 유무(t=-2.79, p<.05), 경제상태(t=-3

.23, p<.05), 종교 유무(t=-2.79, p<.05)였다.

4) 대상자의 삶의 질에 대한 예측변인을 파악하고자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한 결과 삶의 질에 대해서 스트레스가 43%, 사회적 지지가 13%, 종교 유무가 6%의 설

명력을 지녔으며,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종교 유무가 삶의 질을 62% 설명하였다.

결른적으로 사회적 지지정도,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과는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스트레

스정도와 삶의 질과는 부적 관계가 있었다. 삶의 질에 가장 영향력있는 변수는 스트레스

정도로 신장이식환자의 삶의질 증진을 위해서는 스트레스요인을 파악하여 스트레스정도를

정감시키는 사회적 지지와 같은 간호중재안을 개발할것을 제언한다.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Stress, Self-Efficacy, and the

Quality of Life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Lee, Ji-Soo

Dept. of Nursing The Gra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stress, and the quality of life, and to reveal the relationship

among the four variable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quality of life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This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patients being hospitalized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and treated at the outpatient department. Total 195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April 3 to May 1, 1997. After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at medicine OPD, medical features were confirmed by

examining the chat.

The research instrument was in the form of structured questionnnaire.

As research instrument to measure social support, self effiacy, and the level of

stress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the questionnaire modified by the author

was used after testing content valdity and reliability,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an instrumnt developed by Bang(1991) was used after the process of pretest

for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and reorganizing the items.

In analyzing data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tiliz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stress, and the quality of life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were revealed by t-test, and ANOVA,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the quality of lif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The outoome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the participants' social was 66, average soom 3.14, the

range from 38 to 84, which was higher than midd1e point. The meam score of

self-efscacy was 34, average score 3.O6, range from 16 to 43, which was higher than

midddle point. The mean score of stress was 36, average score 2,28, range from

16-62. The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was 132, average scorn 3.57, range from 98

to 145, which was higher than middle point.

2. The first hypothesis, "the higher the scor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s,

the better the quality of life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will be" was

accepted ( r=O.60, p=.0001) - sigfficant level is .05.

The second hypothesis, "the higher the scor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s, the

more the self-efficacy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will be" was accepted.

(r=0.40, p=.0001) - significant level is, 05.

The third hypothesis, "the higher the scor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s, the

leas the quality of life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will be" was

accepted(r=-0.23, p=.369) - significant level is .05.

The fourth hypothesis, "the higher the score of self-efficacy is, the less the

stress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will be" was rejected. (r=-0.09, p=0.369)

- significant level is .05.

The fifth hypothesis, "the higher the score of self-efficacy is, the more the

quality of life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will be" was accepted. (r=0.267,

p=.OOO2) - sigfficant level is .05.

The sixthh hypothesis, "the higher the score of stress is, the less the qua]ity

of life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will be" was accepted. (r=-0.55, p=.000)

- significant level is .05.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among three

different periode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such as less than 12 months, more

than 13 months and less than 60 months, and more than 61 months.

4. Social support was influenced by whether the subjects had religion(t=-3.63,

p<.05), occupation(t=3.30, p<,0509, and income level(t:=-3.27, p<.05)

5. Religion had influence on self-efficacy(t=-3.60, p<.05).

6. The level of stress was affected by income(t=2.43, p<.05), reject

reaction(t=2.43, p<.05).

7. The quality of life was influenced by marrital status (t=-2.79, p<.05),

religion(t=-2.79, P<.05), income(t=-3.23, p<.05)

To examine the level of infuence over the quality of life, regarding six factor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stress, religion, marrital status, and income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method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hrough

this statistical method, the quality of life explained stress(43%), social

support(13%), and religion(6%). Reversely, stress, social support, and religion

explained the quality of life(62%).

Finally, as the variable most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s the degree of

stress, for the adv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finding the stressor, I suggest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reducing

the degree of stres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2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43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