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981

Cited 0 times in

미세변화 신증후군 환아에서 말초혈액내 T-임파구의 변화

Other Titles
 Role of T-Cell and T-cell Subsets Alteration in Childhood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Authors
 이종균 
Issue Date
1990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지난 수년간 신증후군의 병인론으로 면역학적 요인이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

히 최근에는 미세변화 신증후군 환아에서 T-임파구 및 그 아집단인 보조 T-임파구와 억제

T-임파구를 측정한 연구결과가 많이 발표되고 있지만, 연구자마다 일치된 소견을 나타내

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미세변화 신증후군 환아에서 T-임파구 및 그 아집단을 측정하여, 임

상경과에 따른 T-임파구와 아집단의 변화를 관찰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1987년 1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만 3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 세브란스병원 소

아과에 미세변화 신증후군으로 입원한 52례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활동기 및 관해

기에 immunomicrobead를 사용한 Bio-Rad사의 Quantigen**TM T & B cell assay 및 Quantig

en**TM T^^4 /T^^8 cell surface marker assay를 사용하여 T-임파구 및 아집단을 측정하

였다.

말초 혈액 총 임파구와 T-임파구는 활동기 및 관해기에 대조군과 비교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조 T-임파구와 억제 T-임파구의 수 및 백분율도 대조군과 비교시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보조 T-임파구와 억제 T-임파구의 비율은 활동기에 1.19±0.07로

관해기의 0.99±0.06과 비교시 활동기에 의의있게 증가하였고, 대조군의 1.04±0.15와 비

교시도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다(p<0.05). 스테로이드 반응군(37례)의 경우 보조 T-임파구

와 억제 T-임파구는 활동기 및 관해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보조 T-임파

구와 억제 T-임파구의 비는 활동기에 1.26±0.09로 관해기의 1.01±0.06과 비교시 의의있

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이를 대조군과 비교시에도 활동기에 의의있게 증가되었다.

반면에 저항군(15례)에서는 의의있는 증감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미세변화 신증후군의 발병기전은 T-임파구 아집단의 복합

적인 변화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스테로이드 반응성 여부를 예측하는 데도 보

조 T-임파구 및 억제 T-임파구의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그 예측지표로 이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Role of T-cell and T-cell Subsets Alteration in Childhood Minimal Chenge Nephrotic

Syndrome



Jong Kyun Lee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Pyung-Kil Kim M.D., Ph.D.)



An immunological factor in the pathogenesis of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MCNS) has been suggested for several years.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pathogenic role of lymphocyte subsets in childhood MCNS, we studied 52 children

with MCNS in acute nephrotic phase and 34 children in remission phase who were

admitted at Young-dong Severance Hospital from January, 1987 to December, 1989.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otal lymphocyte count and its

subsets(T-cell and B-cell). When T-cell subsets(helper T-cell and suppressor

T-cell) were teste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cute nephrotic phase and

remission phas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the helper T-cell / suppressor

T-cell ratio was 1.19±0.07 in acute nephrotic phase and 0.99±0.06 in remission

phase, revealing that the ratio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cute nephrotic

phase rather than in remission phase. An interesting result was observed in

steroid-sensitive group which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the helper

T-cell/suppressor T-cell ratio in acute nephrotic phase (1.26±0.09), when compared

with remission phase (1.01±0.06) and control group (1.04±0.15)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teroid-resistant group, which suggested that an

increase in the ratio can predict the responsiveness to steroid in MCNS patients.

From the above results, an immunological factor is thought to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MCNS. However in order to obtain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pathogenic role of T-cell subsets, longitudinal and functional tests should be

performed because of the heterogeneity in immunogenesis of MCN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9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6. Others (기타) > Dept. of Health Promotion (건강의학과) > 2. Thesis
Yonsei Authors
Lee, Jong Kyun(이종균)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43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