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741

Cited 0 times in

응급실 내원환자의 상태불안과 정보선호 대응양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ate Anxiety and Coping patterns Toward Information Preference of Patients in the Hospital Emergency Room 
Authors
 이은숙 
Issue Date
1998
Description
간호학교육전공/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현대사회는 각종사고와 급성 질병으로 응급실 내원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계획하지 않

은 사고나 질병으로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는 대부분의 경우 심한 불안을 경험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양한 증상과 징후를 호소하며 객관적 흑은 주관적으로 판단한 응급상황으

로 인해 여러가지 정서적 어려움과 불확실성으로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는 정보선호에 대

한 요구가 높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의 불안과 정보선호 대응양상을

조사하여 정보제공의 사정요인에 포함시키고 불안파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방

안을 마련하기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연구로서 연구대상은 인천시내 소재 Y대학교 부속병원 응급실에 1997

년 10월 1일부터 1997년 10월 31일 사이에 내원한 성인환자를 근접모집단으로 하여 연구

목적에 동의한 대상자 66명이었다.

연구도구로는 Spielberger의 상태불안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정보선호 대응양상을 조

사하기 위해 Krants의 건강의견조사도구중 정보선호도구를 사용하였다.

응급실 내원환자의 불안요인에 대해서는 풍부하고 완전한 의견을 듣기 위해 개방형으로

불안요인을 나열하게 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상자의 불안요인과 일반적 특성, 질명관련 특성, 상태불안, 정보선호 대

응양상은 빈도와 백분률로 분석하고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상태불안, 정보

선호 대응양상과의 관계는 t-test, ANOVA, 상태불안과 대응양상과의 관계는 Pearson corr

elation로 분석하였고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값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불안요인으로는

첫째, 병에 대한 자세한 설명부족 25%(20명)

둘째, 진료시간의 지연 22.5%(18명)과 병의 합병증과 경과에 대한 자세한 설명 부족 22

.5%(18명)

셋째, 응급실의 생소함과 불결한 환경 20.0%(16명)

넷째, 의료진의 성의없는 태도나 병원의 환경문제 3.8%(3명)

다섯째, 치료시 통증 조절문제 2.5%(2명)

여섯째, 의료진의 신뢰감 부족 1.3%(1명), 경제적인 문제 1.3%(1명), 입원실 부족 1.3%

(1명)로 응답해 주었다.

2. 대상자의 상태불안 평균은 41.15점이었으며 범위는 23점에서 최고 58점이었고 일반

적 특성과 상태불안과는 유의한 변수가 없었으며 질병관련 특성에서도 응급실 체류시간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변수가 없었다. 응급실 체류시간이 짧은 1시간이내 환자의 불안정도

가 더 높았다(p=.03).

3. 대상자의 정보선호 대응얀상은 최고점수 30점에 평균 16.93이었고 평균평점이 2.95

로 낮게 나타났다.

4. 상태불안과 정보선호와는 일반적, 질병관련 특성에서 유의한 변수가 없었다(r=-.002

, p=.98).

응급상황으로 불안한 응급실 내원환자의 상태불안과 정보선호 대응양상과의 관계를 밝

혀 보고자 하였으나 분명한 관계를 밝히지 못하였다. 이는 응급상황에서 불안이 높을 경

우 정보를 처리할 능력이 없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를 확대하고 도구

의 신뢰도를 높여 연구할것을 제언한다. 그리고 응급상황에서는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체계적인 정보제공 보다는 그때의 상황에 따른 즉각적인 정보제공과 정서적 지지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A Study on the State Anxiety and Coping patterns Toward Information Preference of

Patients in the Hospital Emergency Room



Eun Sook Lee

Department of Nursing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In most cases the patients seeking care in the hospital emergency room experience

severe anxiety. This study was done to find out the strate anxiety and coping

patterns toward information preference of patients in the Emergency Room.

For this descritive study a group of 66 adult emergency room patients seeking

care in the period from October 1 to October 31, 1997 at a Y. University related

hospital in Inchon City were selected.

The research tools used were Spielberger's tool to measure state-anxiety,

Krantz's tool to measure the patients' preference for information, and an open

questionnaire to list all of the factors causing anxiety.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Anxiety factors in patients(in order of frequency):

a- No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ourse and complications of disease.(25%; 20

subjects)

b- No detailed explanation of the delay of consulation hours and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disease.(22.5%; 18 subjects)

c- Lack of familiarity with the emergency room facility as well as a lack of a

hygienic environment.(20%; 16 subjects)

d- Insincere attitude of medical staff, and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hospital.(3.8%; 3 subjects)

e- Lack of adequate pain control during the treatment precess.(2.5%; 2 subjects)

f- Lack of credibility of medical staff(1.3%; 1 subject), financial problem(1.3%;

1 subject), lack of sufficient number of patient hospital rooms(1.3%; 1 subject).

2. The mean of state-anxiety was 41.15%. Related to length of stay in the

emergency room,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p=.03)

3. Related to the coping pattern to preference of information, the mean was

16.93.

4. It appear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ble in relation to

state-anxiety and preference of information in term of demographic related to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r=-.002,p=.98)

From this study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state-anxiety level and coping

pattern toward information preference, so these results may mean that information

cannot be precessed if the patient has a high level of state-anxiety. So, in order

to reduce anxiety in emergency room patients, information in combination emotional

support must be give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1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42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