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8 834

Cited 0 times in

고등학교 보건교육 현황과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atus and the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Authors
 이명숙 
Issue Date
1999
Description
간호교육 전공/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보건교육의 중요성이 고등학교교육 목표에도 명시된 바 학생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해주며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에까지 건강을 유지, 증진시킬 수 있는 기

초를 보건교육을 통해 마련해 주어야 한다. 보건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부분 산발

적으로 여러 보건관련 과목에 분산되어진 교육내용이 독립된 교과에서 교육되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보건교육 현황과 보건교육 내용을 파악하

여 효율적인 보건교육을 실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한 조사연구이다.

서울·경기지역 일반계 고등학생 450명과 보건 관련 과목 교사인 체육, 교련, 가정, 생

물, 양호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1999년 4월 25일부터 5월

13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여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생의 건강행위 실천 정도 평균은 59.55점으로 건강행위 실천 정도가 보통이었으며

,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건강행위 실천 정도가 높았다. (t=-1.846 P<0.1)

2. 보건지식 습득 경로는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TV나 보건에 대한 서적을 통해서, 여

학생은 학교 수업시간을 통해 보건지식을 습득한 경우가 많았다. (χ**2=19.273, p<.01)

3. 학생은 건강문제 해결 방법으로 부모님과 상의한다가 59.3%로 가장 높았다.

4. 보건관련 교사의 35%이상은 교과서에 포함된 보건교육 내용에 비중을 적게 두거나,

가볍게 다루거나 생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물교사와 체육교사가 다른 교사에 비

해 보건교육 내용에 대한 수업비중을 다른 단원보다 적게 두었다.(χ**2 = 23.189 P<.01)

5. 보건관련 교사의 보건교육 수업시 어려움으로 교재나 시청각 자료가 미비한 것, 보

건교육에 대한 보수교육의 기회가 없는 것, 보건관련 과목을 이수하지 못한 것 등으로 제

시하였다.

6. 학생의 68.8%가 교련교사나 양호교사에게 보건교육을 받았다.

7. 보건교육이 정규교과목으로 독립하려는 것에 대해 학생은 45.2% 교사는 72%가 필요

하다고 하였으며 학생보다 교사가 보건교육이 교과목으로 독립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χ**2 =33.506 P<.01)

8. 학생들이 보건교육을 많이 받았다고 하는 내용은 발육발달 영역, 성과 건강 영역,

약물과 건강 영역에서 많았다.

9. 학생들이 보건교육을 많이 받지 못한 영역으로는 신체구조별 건강 관리 영역, 일상

생활과 건강 관리 영역, 정신건강 영역, 질병예방과 관리 영역, 지역사회와 건강 영역에

서 많이 나타났다.

10. 교육을 실시했다는 교사에 비해 교육을 받았다는 학생이 적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

P<.05)가 있는 총 10개 영역의 86개 내용 중 5개 영역의 18개 내용은 자기건강관리 영77

에서 건강의 개념과 자기 건강관리, 생리적 항상성 기능, 신체 항상성조절자와 그 기능,

심리적 항상성 조절자와 그 기능, 신체구조별 건강 관리 영역에서 위염, 위궤양 원인과

예방법, 변비원인과 예방법, 피부의 구조 및 기능·피부의 위생적 관리, 일상 생활과 건

강 영역에서 식이 습관, 식이 결함, 식이와 운동·건강과의 관계, 이상적인 체중과 체격,

성과 건강 영역에서 인공임신 중절의 피해, 피임방법, 성욕구와 조절 방법, 성병의 종류

와 예방법, 에이즈 예방법, 질병예방과 관리 영역에서 전염병의 원인과 예방법, 비전염병

원인과 예방법이었다.

11. 학생은 성과 건강, 안전과 응급처치 영역에 대한 보건교육 내용을 많이 필요로 하

였다. 학생의 50%이상이 필요로 하는 보건교육 내용은 발육 발달을 제외한 9개 영역의 39

개 내용으로 나타났다.

12. 교사는 성과 건강, 약물과 건강 영역에 대한 보건교육 내용을 많이 필요로 하였다.

교사의 50%이상에서 필요로 하는 보건교육 내용은 질병예방과 관리 영역을 제외한 9개

영역의 50개 내용으로 나타났다.

13. 교사와 학생간 필요한 보건교육 내용에 유의한 차이(P<.05)가 있는 9개 영역의 43

개 내용 중 교사보다 학생에서 보건교육 내용으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난5개 영역의 12개

내용은 신체구조별 건강 관리 영역에서 충치 및 치주질환 원인과 예방법 및 적합한 구강

위생 용품 선택, 눈과 귀의 구조 및 기능·시력·청력을 보호하기 위한 행위, 피부와 구

조 및 기능·피부의 위생적 관리, 기억력과 창의성 기전, 일상생활과 건강 영역에서 적합

한 운동과 선택, 스트레스 완화법 및 관리법, 적절한 수면시간과 방법 선택, 약물과 건강

영역에서 원만한 대인관계 유지기술, 질병예방과 관리 영역에서 일반적인 증상의 자가간

호, 신체적 불구와 불능 및 재활, 지역사회와 건강 영역에서 자신에게 맞는 의료기관 선

택, 병원 이용 절차이었다.

14. 남학생과 여학생간 필요로 하는 보건교육 내용에 유의한 차이(P<.05)가 있는8개 영

역의 22개 내용 중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필요성이 높게 나타난 보건교육내용은 인간의 출

생·발달·노화·사망의 과정을 제외한 모든 내용이었다.

특히, 남학생에 비해 필요성이 상당히 높게(P<.01) 나타난 내용은 위염·위궤양 원인과

예방법, 변비 원인과 예방법, 식이 결함, 임신 및 분만과정과 증상, 인공임신 중절의 퍼

해, 피임의 방법, 성폭력 발생 원인이었다.

15. 학년간 필요로 하는 보건교육 내용에서 유의한 차이(P<.05)가 있는 9개 영역의 41

개 내용 중 특히 학년이 올라 갈수록 필요성이 높게 나타난 8개 영역의 25개 보건교육 내

용은 자기 건강관리 영역에서 건강의 개념과 자기 건강관리, 신체구조별 건강 관리 영역

에서 충치·치주질환 원인과 예방법 및 적합한 구강위생 용품 선택, 위염·위궤양 원인과

예방법, 변비원인과 예방법, 소변의 이상상태 구별, 일상생활과 건강 영역에서 건강한

식이 계획, 식이와 운동·건강과의 관계, 적절한 수면시간과 방법 선택, 성과 건강 영역

에서 임신 및 분만 과정과 증상, 성욕구 조절방법, 성과 관련된 위해 환경, 성병의 종류

및 예방법, 약물과 건강 영역에서 음주 문제, 금주의 실천 방법, 자신의 감정을 합리적으

로 조절하는 방법, 원만한 대인 관계 유지, 안전과 응급처치 영역에서 근골격계 외상시

응급처치법, 인공호흡 방법, 질병예방자 관리 영역에서 일반적인 증상의 자가간호, 전염

병의 원인과 예방법, 비전염병 원인과 예방, 신체적 불구와 불능 및 재활, 지역사회와 건

강 영역에서 결혼과 부모의 준비, 우리나라 보건의료체재, 자신에게 맞는 의료기관 선택

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현재 보건관련 교사들은 학생이 필요로 하는 보건교육 내용을 많이 실

시하지 않고 있었다. 또한 학생과 교사가 필요로 하는 보건교육 내용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학생의 경우 건강실천 행위에 대한 보건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한 반면 교사의 경우

신체에 대한 구조와 기능, 건강 문제의 원인 등에 대한 보건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고등학교에서의 보건교육이 필요로 하는 내용에 우선 순위로 두고, 또한 학생의

성별, 학년별 차이를 고려하여 내용이 조직되어야 할 것이다.

보건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보건교육 내용에 학생 요구를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독립된 과목에서 뚜렷한 목표 아래 체계적이고 일정한 순서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A STUDY ON THE STATUS AND THE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Lee Myung-Sook

Dept. of Nursing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o Il-Sun, R.N., Ph.D)



As importance of health education is specified in the educational purpose of high

school curriculum, it should let students develop selfcare behavior and arrange

them competence to maintain and improve their health in the future. In order that

purpose of health education should be accomplished, health education contents

partially and sporadically scattered into various course subjects should be

educated at an independent and regular course. Therefore, this survey study was

attempted to converge the health education contents required by users and to

provide a basic data far efficient health education.

From April 22 to May 13, 1997, data was collected for 450 persons of highschool

students and 150 persons of the teachers related with health education such as home

economics, military training, biology, gymnasts and nursing teachers in the area of

Seoul and Kyong-Ki province.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utilizing SPSS for percentage, frequency, mean,

χ**2-test, t -test, ANOVA.

The result of this survey study was as follows ;

1. The students' selfcare behavior scored 59.55 on the average and was at the

mediocre level. The girl students had higher selfcare behavior than the boy

students.(t**2=-1.846 P<0.1)

2. As channels for acquiring health knowledge, the boy students used T.V or

health magazines and the girl students through health education in the class(χ2

=19.273 P<.01)

3. As various methods for solving their health problems, their parents' help &

support was top priority - 59.3%

4. The teachers more than 35% neglected or omitted the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in the textbooks. And the teachers of biology and the gymnasts rather

than the others relatively put less importance on the class about health education

contents. (χ**2= 23.189 P<.01)

5. The teachers related with health education had some difficulties in their

class due to the reasons such as destitution of teaching or audiovisual materials,

lack of opportunity for additional & complemental learning and non-completion of

the subjects related with health education.

6. 68.8% of the students had an health education from the teachers of military

training or the nursing teachers.

7. Regarding the issue that health education may become an independent and

regular course, 45.2% of the students and 72% of the teachers thought it necessary

and, the teachers rather than the students thought it more necessary. χ**2= 33.506

P<.01 )

8. The health education contents which the students were comparatively much

educated, they thought, were the areas of growth & development, sex & health and

drags & health.

9. The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with which the students were less educated,

they thought, were the areas of healthcare for body structure, daily life $

healthcare, mental health, disease prevention & healthcare and community & health.

10.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 felt they were educated was lower than that of

the teachers who executed the education, the detailed contents which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could be divided into some following

areas : in area of selfcare health, concept of health & selfcare, function of

physiological homeostasis, controller of physical homeostasis & function,

controller of psychological homeostasis & function; in area of healthcare for body

structure, etiology of gastritis/gastric ulcer & prevention, etiology of

constipation & prevention, skin structure & function, skin cleanliness cue: in area

of daily life & health care, diet habits, abnormal diets, diet & exercise, relation

between diets & health, standard body weight & physique; in area of sex & health,

harm from artificial abortion, contraception, sexual desire & method of control,

kinds of venereal diseases & prevention, AIDS prevention; in area of disease

prevention & health care, etiology of communicable diseases & prevention, etiology

of adults diseases & prevention.

11. The health education contents which the students greatly needed were 39 in

the 9 areas except the area of growth & development and, they mostly needed the

contents in the area of sex & health and safety & emergency care.

12. The health education contents which the teachers greatly needed were 50 in

the 9 areas except the area of disease prevention & healthcare md, they mostly

needed the contents in the areas of sex & health and drugs & health.

13. Between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needs for health education contents

was foun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and the number of the

contents was 43 in the 9 areas. At 12 contents in the 5 areas, the students had

more needs for health education than the teachers. They include : in area of

healthcare for body structure, etiology of dental carires, periodontitis &

prevention, choice of suitable articles to dental hygiene, the structure & function

of eyes and ears, activity for protecting vision & hearing, skin structure &

function, skin cleanliness care, mechanism for memory & creativity, in area of

daily life & health care, suitable exercise & choice, stress relaxation &

management, proper sleeping hours & choice of the way : in area of drugs & health,

technique to maintain smooth personal relations , in area of disease prevention &

health care, selfcare of general symptoms, physical deformity, disability &

rehabilitation ; in area of community & health, choice of medical facilities

suitable to themselves, procedure to visit hospitals.

14. Between the boy students and the girl students, needs for health education

contents was foun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and the number of

the contents was 22 in the 8 areas. Among them, the girl students particularly had

more needs for health education than the boy students about the following contents,

etiology of gastritis/gastric ulcer & prevention, etiology of constipation &

prevention, abnormal diets, pregnancy, delivery process, signs& symptoms, harm from

artificial abortion, contraception, cause of sexual violence & prevention.(P<.01)

15. Between the grades, needs for health education contents was foun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and the number of the contents was41 in

the 9 areas. At 25 contents in the 8 areas, the higher grade particularly had more

needs for health education contents than the lower grade. They include, in selfcare

health area, concept of health and selfcare, in area of health care for body

structure, etiology of dental caries, periodontitis & Prevention, choice of

suitable articles to dental hygiene, etiology of gastritis/gastric ulcer &

prevention, how to discriminate whether urine is normal or abnormal ; in area of

daily life & health care, healthy diet plan, relation between diet & exercise,

relation between diet & health, proper sleeping hours & choice of the way ; in area

of sex & health, pregnancy, delivery process, signs & symptoms, method of

controlling sexual desire, injurious environment related with sex, kinds of

venereal diseases & prevention; in area of drugs & health, matter of drinking,

method to practice abstinence, how to control emotion, technique to maintain smooth

personal relations ; in area of safety & emergency care, emergency care at the time

of musculoskeletal min, method of artificial respiration ; in area of disease

prevention & healthcare, selfcare of general symptoms, etiology of communicable

diseases & prevention, etiology of adults diseases & prevention, physical

deformity, disability & rehabilitation ; in area of community & health, preparation

for marriage & parents' role, our country's healthcare system, choice of healthcare

facilities suitable to themselves.

The teachers did not frequently teach the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needed by

the students. And there was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health education

contents needed by the students & the teachers. Namely, whereas the students

presented needs for health education about behavior for health promotion, the

teachers raised needs far health education about structure & function of the body

and etiology of health problems. Therefore, giving priority to the health education

contents required by the users and considering difference by sex & grade of the

students, the contents should be organized into high school curriculum.

Health education should be an independent and regular course and the highest need

area of students should be preferentially reflected in high school curriculum.
Files in This Item:
TA0029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38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