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889

Cited 0 times in

수녀와 기혼여성의 갱년기증상 호소에 관한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Complaints of menopausal Symptom of Nuns and Married Women 
Authors
 유명숙 
Issue Date
1999
Description
간호학교육 전공/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들의 보다 건강하고 질적인 삶을 살도록 돕기 위하여 수녀와 기

혼여성들이 갖는 갱년기중상 호소정도를 비교하여 갱년기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넓히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만40세부터 만59세까지의 수녀와 기혼여성을 대상으

로 하였다. 그 중 대상자 선정기준에 맞는 수녀 116명과 기혼여성 121명으로서 총 237명

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1999년 1월 24일부터2월 6일까지이며

수녀군의 경우 개별방문 흑은 우편을 통하여, 기혼여성군의 경우가정방문과 단체모임 방

문을 통하여 질문지를 배부한 뒤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화 혹은 직접 면담을 통하

여 문항에 관한 의문사항에 대한 응답 완성도를 높였다.

갱년기증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정신심리요인」, 「신체생리요인」, 「

시력요인」, 「비뇨생식요인」 등 4개 영역을 포함한 총 51문항으로서 Janette M. Perz가

제시한 갱년기증상을 중심으로 문헌고찰을 통해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갱년기증상

측정도구(Cronbach's Alpha=0.96)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PC+를 이용하여 수녀군과 기혼여성군의 일반적·생리적 특성과 유

사성 검정을 위해 빈도, 평균치 및 표준편차, χ**2 검정을 실시하였고, 수녀군과 기혼여

성군의 갱년기중상 정도의 차이 검정을 위해 t검정과 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녀군과 기혼여성군의·일반적·생리적 특성은 교육정도, 종교, 직업, 여가활동,

결혼(수도생활)만족도, 홀몬대치요법 경험유무, 수술명, 월경상담 유무 등은 유의한 차이

가 있었으나 그 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수녀군과 기혼여성군의 갱년기중상 정도는 최대 평점 4점에 대하여 갱년기증상 정도

가 높은 순위로 나타난 중상으로서 수녀군에서는 '쉽게 피로하고 기운이 없다' 1.71점, '

시야가 흐려지거나 침침해진다' 1.69점, '잘 잊어먹는다' 1.57점이며 기혼여성군에서는 '

잘 잊어먹는다' 1.87점, '시야가 흐려지거나 침침해진다' 1.83점, '쉽게 피로하고 기운이

없다' 1.76점 순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갱년기증상 점수가 낮은 순위로 나타난 증상으로

서 수녀군에서는 '질이 건조하거나 염증이 있다' 0.26점, '운동을 하지 않았는데도 땀이

난다' 0.38점, '이유 없이 울고 싶어지거나 울음을 터뜨린다' 0.41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혼여성군에서는 '설사를 한다' 0.64점, '밤에 잠을 자면서 식은땀을 흘린다' 0.64점,

'운동을 하지 않았는데도 땀을 흘린다' 0.72점 순으로 나타났다.

3. 총 갱년기증상 점수는 가능점수의 범위 0-196점 중에서 수녀군이 평균 43.03점, 기

혼여성군이 평균 57.92점으로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t=-3.9807, p<.0001). 즉 수녀군의 갱년기증상 호소점수가 기혼여성군에 비해 훨씬

낮았다.

각 요인별로 비교 분석한 평균점수 결과에서도 수녀군과 기혼여성군의 「정신심리요인

」은 12.99±9.02, 19.20±12.20 (t=-4.4674, p=0.0001), 「신체생리요인」은 19.23±11.

67, 24.53±14.15 (t=-3.1483, p=0.0019), 「시력요인」은 7.85±5.52, 10.14±7.06(t=-2

.7851, p=0.0058), 「비뇨생식요인」은 2.95±2.39,4.05±3.27 (t=-2.9677, p=0,007)점으

로서 4개요인 모두 수녀군이 기혼여성군에 비해 갱년기증상 정도가 낮았다. 또한 각 요인

별 평균평점을 보면 수녀군의 경우 「시력요인」0.98점, 「신체생리요인」0.91점, 「정신

심리요인」0.81정, 「비뇨생식요인」0.74점의 순으로 나타났고, 기혼여성군의경우 「시력

요인」1.27점, 「정신심리요인」1.20점, 「신체생리요인」1.17점, 「비뇨생식요인」1.01

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시력요인의 호소정도가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신체생

리요인, 정신심리요인, 비뇨생식요인 순이었다.

수녀군과 기혼여성군의 월경양상별 갱년기증상 정도의 차이에 있어서는 규칙적 월경군

의 평균점수는 39.79±21.61, 45.12±26.23점(t=-1.1613, p=0.2481), 불규칙적 월경군의

평균점수는 50.06±30.57, 58.08±28.88점(t=-0.8477, p=0.4018)으로서 두 군간에 통계적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월경이 없는 군의 평균점수는 44.81±26.07, 72.33±35.

29점(t=-4,1132, p=0.0001)으로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녀군이 기

혼여성군에 비해 갱년기증상 정도가 훨씬 낮았다.

4. 수녀군과 기혼여성군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갱년기증상 정도의 차이에서는 모든 항

목에서 수녀군이 기혼여성군에 비해 갱년기증상 정도가 낮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인 항목중에 연령은 50-54세(t=-3.5767, p=0.0008)에서 차이가 있었다. 교육은 고졸

이하(t=-2.5214, p=0.0129)와 대졸이상(t=-2466, p=0.0290)에서 차이가 있었다. 직업은

의료에 종사하는 집단(t=-2.3775, p=0.0261)에서 차이가 있었고, 현재 치료질병이 있는

집단(t=-3.4754, p=0.0010)과 없는 집단(t=-2.8160, p=0.0054) 모두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치료받고 있는 질병 중에서 근골격계 질환(t=-2.7024, p=0.0171)이 차이가 있었고, 홀몬

대치요법 경험이 없는 집단(t=-3.3649, p=0.0009)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수술경험은 있

는 집단(t=-3.0183, p=0.0031)과 없는 집단(t=-2.5170,p=0.0132) 모두에서 차이가 있었는

데, 산부인과계 수술(t=-2.0850, 7=0.0422)이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현재 건강상태가 그

저 그렇다(t=-2.3191, 7=0.0227)와 건강하지 못하다(t=-2.2904, p=0.0295)라고 지각한 집

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그 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녀군과 기혼여성군의 생리적 특성에 따른 갱년기중상 정도의 차이에 있어서도 모든

항목에서 수녀군이 기혼여성군에 비해 갱년기증상 정도가 낮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인 항목으로 초경 연령은 14-16세(t=-3.0727, p=0.0025)와 17-21세(t=-2.3587, p=

0.0025)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월경시 불편감을 호소한 집단(t=-3.8889,p=0.0001)에서 차

이가 있었고 월경시 불편감 중에서는 허리가 아프다(t=-2.6239,p=0.0102)와 신경이 애민

하다(t=-2.3413, p=0.0216) 그리고 어지럽다(t=-71398, p=0.072)에서 차이를 보였다. 현

재 월경이 없는 군(t=-4.1122, p=0.0001)과 월경상담 경험이 없는군(t=-2.8276, p=0.0052

)에서 차이가 있었고, 그 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기혼여성군이 수녀군에 비해 갱년기증상에 대한 호소정도와 특별

히 폐경 이후의 갱년기증상 점수가 매우 높았음은 하나의 새로운 현상으로 확인되었고,

이에 대한 간호전략 구축을 위해서 그 관련요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해 볼 필요가 있

다고 본다.





A Comparative Study on Complaints of Menopausal Symptom of Nuns and Married Women



Yoo, Myung Sook

Major in Nursi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th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menopause by comparing menopausal symptoms of married women and nuns in order to

improve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for women.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nuns by mail or by a personal

visit and to married women by group meetings or household visits,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16 nuns and 121 married women, from forty to fifty nine years old

from January 24, 1999 to February 6, 1999 in Daegu metropolitan city In addition,

this study raised perfectibility of response related to questions by phone or

direct interview.

This study used the measurement of menopausal symptoms (Cronbach's Alpha=0.96)

corrected and complemented by this student with consideration of various literature

centered around menopausal symptoms, suggested by Janette M. Perzas 51 questions

including 4 realms, 「mental psychological factors」, 「physical physiological

factors」,「eyesight factors」, and 「urinary generative factors」 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For data analysis, a t-test and factor analysis of variance were pe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menopausal symptoms between the nuns and the married

women as well as to determine the frequency, the mean value and the standard

deviation, and an χ**2-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gener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nuns and the married women's group by

using SPSS PC+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ducational background, religion,

occupation, leisure time, satisfaction of marriage or ascetic life, existence of

hormonal treatment, name of medical operation, and existence of counselling about

menstruation as gener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uns' group and

the married women's group.

2. The menopausal symptoms of the nuns' group and the married women's group

according to order in which they were presented were;'feeling tired and lacking in

energy(1.71 points)''vision not clear or clouded(1.69 points)', and 'be

forgetful(1.57 points)'in nuns' group.'be forgetful(1.87 Points)','vision not clear

or clouded(1.83 points)'and 'feeling tired and lacking in energy(176 points)'in the

married women's group. The symptoms which showed the highest rank of menopausal

symptoms had a maximum score of 4 points.

3. There was a statistical a significance (t=-3.9807, p<.0001)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showed, on an average, 57.92 points in the married women's group and

43.03 points in the nuns' group from 0 to 196 of the possible points of menopausal

symptoms.

The nuns' group showed less menopausal symptoms than that of the married women's

group in all the 4 factors by showing an average 12.99±9.02 points in the nuns'

group and 19.20± 12.20 points in the married women's group, as the mean points of

「mental psychological factors」 (t=-4.4674, p=0.0001), 19.23±11.67 points in the

nuns' group and 24.53±14.15 points in the married women's group as the mean points

of 「physical physiological factors」 (t=-3.1483, p=0.0019), 7.85±5.52 points in

the nuns' group and 10.14±7.06 points in the married women's group as the mean

points in the married women's group with the mean points of 「eyesight factors」

(t=-2.7851, p=0.0058), and 2.95± 2.39 points in the nuns' group and 4.05±3.27

points in the married women's group as the mean points of 「urinary generative

factors」 (t: -2.9677, p=0.0033) were obtained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factor

analysis.

All participants' complaint of symptoms was in this order of decreasing

frequency, 「eyesight factors」, 「physical physiological factors」, 「mental

psychological factors」, and 「urinary generative factors」.

In difference of menopausal symptoms by menstrual aspect of the nuns' group and

the married women's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howing 39.79± 21.61 score in the nuns' group and

45.12±26.23 score in the married women's group as the mean score of the groups

with a regular menstruation(t=-1.1613, p=0.2481), and 50.06± 30.57score in the

nuns' group and 58.08± 28.88 score in the married women's group as the mean score

of the groups with an irregular menstruation(t=-0.8477,p=0.4018).

4. The differences in menopausal symptoms with respect to the gener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uns' group and the married women's group were

that the nuns' group showed less menopausal symptoms on all the items than that of

the married women's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education, religion,

occupation, the present disease to be treated, hormonal treatment, illegal

experience, subjective condition of the present health, age of the first

menstruation, feeling of inconvenience in menstruation, the present condition of

menstruation, and experience of counselling about menstruation, while there wasn'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items

Finally, in these results, the married women's group showed higher menopausal

symptoms than that of the nuns' group. Especially as the score of menopausal

symptoms since the climacteric was very high it is confirmed to be a new

phenomenon.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to carry out an indepth

study of the factors related to establishing a strategy for nursing servic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1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35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