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1465

Cited 0 times in

십이지장 팽대부 주위암의 임상적 고찰

Other Titles
 Periampullary Cancer : A Clinical Study of 60 patients 
Authors
 양원석 
Department
 Dept. of Anatomy (해부학교실) 
Issue Date
198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근래 십이지장 팽대부 주위암의 수술후 생존율이 좋아지고 수술에 따른 사망율은 감소

하였으나 많은 환자들이 수술을 받을 당시 암세포가 주요 혈관에 침윤되는등 이미 진행된

상태로 발견되어 절제율이 낮기 때문에 전체적인 수술의 성공율은 아직도 만족스럽지 못

하다. 십이지장 팽대부 주위암의 수술후 예후를 좋게 하려면 조기진단에 따튼 조기수술이

바람직한테 근래 이 부위의 진단에 많은 발전이 있어 경피간내 담도 조형술및 내시경적

역행성 취담도 조영술의 경우에는 거의 100%의 확진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임상적으

로 폐쇄성 황달이 의심되는 환자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검사 이외에 가능한 한 상기의 특

수검사를 동원하여 조기진단과 함께 조기수술을 시행해야 할것이다. 저자는 1976년 1월부

터 1980년 12월까지만 5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세브란스 병원 외과에서 수술로 확

진된 60예의 십이지장 팽대부 주위암 환자를 임상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십이지장 팽대부 주위암으로 진단된 114예중 60예에서 수술을 시행하였고 그중 27예

에서 취십이지장 절제술을 시행하여 45%의 절제율은 보였다. 근치수술이 불가능한 33예에

서는 보존적 담즙배액술로 담낭공장문합술 11예, T-tube 삽관술 8예등을 시행하였고 이중

14예에서 십이지장 폐쇄의 우려로 위공장문합술을 시행하였다.

2. 전체적으로 췌장두부암이 36예(60%)로 가장 많았고 Vater씨 팽대부암이 11예(18.3%)

, 말단총수담관암이 8예(13.3%) 하행십이지장암 5예(8.4%)이었으며, 절제율은 Vater씨 팽

대부암이 90.9% 말단총수담관암이 75%, 하행십이지장암이 60%, 췌장두부암이 22.2%이었다

.

3. 진달방법중 경피간내 담도 조영술은 15예에서 시행하여 100% 진단율을 보였고, 내시

경적 역행성 취담도 조영술은 33예에서 시행하여 92.8%의 높은 진단율을 보였다.

4. 암의 원발부위를 고려하지 않은 근치수술후 5년생존율은 11.1%, 평균 생존기간이 21

.7개월이었고, 보존적 담즙배액술만 시행한 경우는 1년생존율이 20.9%, 평균 생존기간이

6.9개월이었다.

5. Vater씨 팽대부암의 5년생존율은 20%, 평균 생존기간이 31.7개월로 가장 양호하였고

췌장두부암이 5년생존율 12.5 %, 평균 생존기간 11.9개월로 가장 불량하였다. 췌장두부

암 환자중 보존적 담즙배액술만 시행한 환자의 평균 생존기간은 6.3개월로 근치수술을 시

행한 경우의 생존기간이 월등히 길었다.

6. 근치술을 시행한 27예중 임파절에 전이가 없었던 15예의 5년생존율은 13.3%평균 생

존기간이 24.6개월이었고, 임파절에 전이가 있었던 12예의 5년생존율은 8.3%, 평균 생존

기간이 12.3개월이었다.

7. 수술전 간기능의 상태는 수술후 생존율에 큰 영향을 주는 인자는 아니나 대체로 정

상인 환자들의 평균 생존기간이 길었다.

8. 근치수술을 받은 환자의 33.3%, 보존적 담즉배액술을 시행한 환자의 24.2%에서 합병

증이 있었으며 창상감염(8.3%), 출혈(8.3%), 폐혈증(6.7%)등의 순서이었다.

9. 근치수술의 수술 사망율은 11.1%, 담즙 배액술의 수술 사망율은 21.2%이었고, 사망

원인은 폐혈증, 간기능부전및 신부전증, 위장관출혈등 이었다.





Periampullary Cancer: A clinical study of 60 patients



Won Suck Yang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Byong Ro Kim, M.D.)



Recently, the survival rates of treated periampullary cancer has improved and the

mortality rates was decreased considerably, but its results of operation is still

remains very poor.

A total 60 cases af surgically proven Periampullary Cancer who underwent whipples

operation or biliary by pass surgery during 5 years from 1975 to 1980 In Yonsei

Medical Center, Yonsei University, were studied and 83.3% were followed by review

of admission record, OPD chart aud by return of mail then the survival rates, mean

survival time were calculated by means of Cohort Life Tab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Periampullary cancer occured most frequently in 5th decade.

2. Most common clinical symptomes and signes were right upper quadrant and

epigastric pain, jaundice, indigestion, hepatomegaly in order.

3. Diagnostic accuracy of PTC was 100% while that of ERCP was 92.8%.

4. We carried out currative operation in 21 cases and palliative operation in 33

cases with 45% resectability and 14 cases among palliative operations, were

underwent gastrojejunostomy for preventing passage disturvance.

5. The complications occured 33.3% in patient who underwant Whipples operation

and that for palliative surgery was 24.2%.

6. The operative mortality rates after Whipples operation was 11.1% and that for

palliative surgery was 21.2%.

7. Overall 5 year survival rates of Whipples operation was 11.1% and mean

survival time was 21.7 month.

8. Overall 1 year survival rates of palliative surgery was 20.9% with 6.9% month

mean survival time.

9. The 5 year survival raters of ampulla of Vater cancer was 20% with mean

survival time of 37.7 month while that for pancreatic head cancer were 12.5% and

11.9 month. And mean survival time of pancreatic head cancer that were carried out

palliative surgery was 6.3 month.

10. In the cases of definite surgery, the mean survival time of 12 cases with

regional lymphnode metastasis was 12.3 month while that of 15 cases without

regional lymphnode metastasis was 24.6 month.

11. The early postoperative prognosis seemed to be related to the preoperative

serum albumin level and white cell count but not related to the preoperative serum

bilirubin level.

To improve the prognosis of periampullary cancer, there is no way except early

diagnosis and early surgery.

We should try more aggressive diagnostic apporoach for the patient with

obstructive jaundice and achieve currative surgery according to strictly definite

indication of surgical treatment.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609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Anatomy (해부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Yang, Won Suk(양원석)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33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