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819

Cited 0 times in

조음교대운동 수행의 음향음성학적 특징

Other Titles
 Acoustic-phonetic characteristics of diadochokinesis in hypokinetic dysarthria :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를 중심으로 
Authors
 정은영 
Issue Date
2010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마비말장애를 평가하는 방법인 조음교대운동 과제는 입술, 치조, 연인두 등을 포함한 조음기관의 기능과 조음의 정확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조음기관 움직임의 속도 및 규칙성을 알아보는데 적합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군이 정상군에 비해 조음교대운동의 속도 및 규칙성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고, 둘째 말명료도의 중증도에 따라 조음교대운동의 속도 및 규칙성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경도의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 11명, 중도의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 7명을 대상으로 AMR 과제인 /퍼, /터, /커/를 반복하게 한 후 Motor Speech Profile Model 4500으로 분석하였고, SMR 과제인 /퍼터커/를 반복하게 한 후 Window용 Praat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그에 따른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군이 정상군에 비해 AMR 과제에서 느린 속도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파킨슨병 환자들이 보이는 강직(rigidity), 운동 완서(bradykinesia)가 입술, 치조, 연인두 등을 포함한 조음기관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쳐 이들의 조음기관을 활용한 조음교대운동이 느린 속도를 보이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SMR 과제에서는 정상 속도를 보였는데, 이는 파킨슨병 환자들이 조음점을 완전히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조음기관을 빠르게 움직이면서 발음함으로써 조음기관의 움직임 범위가 감소되어 정상적인 속도를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AMR 과제와 SMR 과제 모두에서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군이 정상군에 비해 불규칙적이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파킨슨병 환자들이 말을 산출하는 동안에 스스로 시간을 조절(self-timing)하는 능력이 손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군은 AMR 과제와 SMR 과제 모두에서 중증도에 따른 속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에서 발성부전 (hypophonia)이나 말 뭉침(increasing rate)으로 인한 심한 중도의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 환자군이 제외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중증도에 따른 AMR 규칙성을 살펴본 결과 /커/과제에서 중도의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군이 경도의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군에 비해 불규칙적이었다. 이것은 /커/과제가 중증도에 따른 구별에 가장 민감한 과제임을 예측해 볼 수 있는데, /커/의 경우 긴 voice onset time으로 설배 운동이 느리게 반응하고, 조음동작이 어렵기 때문에 중증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여겨진다. 중증도에 따른 SMR 규칙성에서 경도의 마비말장애군이 정상군에 비해 불규칙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도의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군 중 5명이 치매 환자로 환자의 인지적 능력이 조음교대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증도에 따른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 환자들의 조음교대운동에 대한 속도 및 규칙성을 알아보는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시간적인 매개 변인뿐만 아니라 강도에 대한 매개변인을 통한 분석과 조음교대운동의 정확성 및 일관성이 포함된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7736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33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