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788

Cited 0 times in

한국인 당뇨병환자에서의 관상동맥 협착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Clinical and Coronary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in Korean Diabetics with 
Authors
 안광진 
Issue Date
1990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당뇨병환자에서의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및 말초혈관질환등의 대혈관병증의 증가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이나, 최근 당뇨병환자에서 이러한 대혈관병증, 특히 관상동맥질

환에 의한 사망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고, 삶의 질적 측면에서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에서도 관상동맥질환이 증가추세에 있으며, 아울러 당뇨병의 유병율도 점진적인 증

가를 보이고 있는 바, 한국인 당뇨병환자에서의 관상동맥 질환의 증가가 예상되나 아직까

지 당뇨병환자에서의 관상동맥 협착증의 특성과 그 발병 및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를 파악하려는 시도는 매우 미약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1980년 1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세브란스

병원에서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관상동맥 협착증으로 진단된, 당뇨병환자 109예와

비당뇨병환자 632예 총 741예를 대상으로 그 임상적 특성과 관상동맥조영소견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당뇨병군과 비당뇨병군에서 평균연령, 남녀비, 고혈압, 흡연력 및 관상동맥협착에

의한 협심증, 급성 심근경색증과 과거력상의 심근경색증의 분포는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

지 않았으며, 당뇨병군에서 비만증이 28.4%로 비당뇨병군에서의 16.6%보다 유의하게 많았

다(p<0.05).

2. 양군간에 혈청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당뇨병군

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치는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한편 당뇨병군에서 비만의 정도와 혈청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치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

계를 보였다 (p<0.05).

3. 관상동맥협착의 양상은 당뇨병군에서 세혈관질환이 38.5%로 비당뇨병군의 22.6%보다

유의하게 많았으며 (p<0.01), 다혈관질환을 가지면서 한 혈관내에 다발성 혹은 산재성

병변을 갖는 경우도 당뇨병군에서 10.3%로 비당뇨병군의 3.5%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

었다 (p<0.05).

4. 환자의 연령을 40-54세, 55-64세, 65세 이상의 세군으로 나누어보면, 비당뇨병군에

서는 40-54세군에 단일혈관질환이 전체의 57.2%로 더 많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다혈관질환의 빈도가 높았으나 (p<0.005), 당병군에서는 40-54세군에서도 다

혈관질환이 더 많았고 (57.1%), 비당뇨병군에서와 같이 연령증가에 따른 다혈관질환의 증

가가 현저하지 않았다.

5. 비당뇨병군에서는 정상혈압군에 단일혈관질환이 56.1%로 더 많고, 고혈압군에서 다

혈관질환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고(56.3%, p<0.005), 당뇨병군에서는 정상혈압군에서도

다혈관질환이 더 많으며 (56.9%), 고혈압군에서는 더욱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70.4%) 통

계적인 의의는 보이지 않았다.

6. 양군에서 혈관내 병변의 위치는 근위부에 더 많았으나, 당뇨병군에서는 원위부병변

이 전체의 23.9%로 비당뇨병군의 18.2%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p<0.05).

7. 당뇨병환자에서 공복시혈당, Hemoglobin Alc, 혈청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및 고밀

도지단백-콜레스테롤치와 관상동맥협착증의 중증도 사이에 상호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

다.

8. 당뇨병환자에서 남성보다 여성에서, 당뇨병의 이환기간이 길수록, 비만형 당뇨병에

서, 그리고 경구용 혈당강하제나 인슐린을 단독사용하거나, 병합하여 사용한 군에서, 아

무 치료를 하지않거나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으로 치료한 군에서보다 세혈관질환의 빈도가

증가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한국인에서 당뇨병은 관상동맥협착증의 발생빈도와 중증도에 영향을 미

치는 인자로 생각되며, 특히 당뇨병환자에서 성별, 당뇨병의 병형, 당뇨병의 이환기간과

치료방법등의 여러 인자들이 일반적인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들과 독립적 혹은 상승적

으로 작용하여 관상동맥질환의 중중도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당뇨병환자에서 관상동맥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관상동맥질환의 위

험요소들 중 교육과 치료를 통하여 수정이 가능한 것들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하여야

하며, 특히 적절한 식사와 운동요법으로 비만증을 줄이고 혈당조절뿐만 아니라 인슐린 저

항성의 개선,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등을 고려한 치료방법의 선택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아울러 당뇨병에서 관상동맥질환의 발병과 중증도에 관여하는 각각의 요인들이 어

떠한 기전으로 작용하는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Clinical and Coronary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in Korean Diabetics with

Coronary Artery Stenosis



Kwang Jin Ahn, M.D.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ap Bum Huh, M.D.



It is generally well-known that the incidence of macroangiopathy such as coronary

artery disease(CAD), cerebrovascular and peripheral vascular disease is very high

in diabetics. Recently, the CAD in diabetics markedly increased and affects their

quality of life to a great extent and seems to be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diabetics. In Korea, the tendency is not so different from that of many

western countries, but unfortunately, little efforts to characterize the CAD and

the contributing factors in the pathogenesis and the severity of CAD in Korean

diabetics, have been made.

So I retrospectively reviewed clinical and coronary angiographic findings in 109

diabetics and 632 non-diabetics, all of whom were diagnosed at the Severance

Hospital between January, 1980 and December, 1988, to have stenotic coronary

arterial lesion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male to female ratio, history of smoking,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were not different between diabetics and non-diabetics.

Also the distribution of angina pectoris, acute and old myocardial infarction was

similar. But the incidence of obe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iabetics(28.4%)

than that of non-diabetics(16.0%, p<0.05).

2. The level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but the mean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somewhat higher in diabetics.

3. The triple vessel disease was more common in diabetics(38.5%) compared to

non-diabetics(22.6%, p<0.01) and the multi-vessel disease with multi-stenotic or

diffuse lesions in one of the affected vessels was more frequent in diabetics(10.3%

vs 3.5% in non-diabetics, p<0.05).

4. Dividing into three age groups(40-54, 55-64, 65-), non-diabetics showed

significantly incresing incidence of multi-vessel disease(MVD) according to age,

but in diabetics, MVD was more frequent even in the younger age groups but the

increase of MVD according to 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5. Hypertension increased the incidence of MVD significantly in non-diabetics but

in diabetics, even though they are normotensive, the incidence of MVD was much

higher and hypertension further increased MVD.

6. In both groups, proximal lesions were more frequent than distal lessions but

diabetics showed distal lesions in 23.9% of all affected vessels while that of

non-diabetics were 18.2% (p<0.05).

7. Among coronary risk factors, old age, hypertension and hypercholesterolemi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cidence of MVD in non-diabetics whereas no

significant influence was noted in diabetics.

8. Among diabetics, fasting blood glucose, hemoglobin Alc,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evels were not related to the severity of CAD.

9. Among diabetics, female gender, obesity, longer duration of diabetes and oral

hypoglycemic agent or insulin therapy seem to increase the triple vessel disease.

In conclusion, diabetes mellitus seems to be one of the risk factors of CAD and

is related to the severity of the CAD. Among diabetics, female gender, obesity,

duration of diabetes and treatment modality seem to act together with other

generally known coronary risk factors and increase multi-vessel involvement and

more diffuse lesions.

And while managing diabetic patients, we have to consider that improvement of

insulin resistance by weight reduction through adequate diet and exercise, good

metabolic control as well as glycemic control might be essential to prevent CAD and

to reduce its severity. Also further studies should be done to investigate the

principal role of the factors in the pathogenesis of CAD in diabetic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8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33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