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2 1273

Cited 0 times in

소음과 수면양상에 관한 연구 : 중환자실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Noise and Sleep Pattern in Intensive Care Units 
Authors
 손연정 
Issue Date
2000
Description
간호학교육전공/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일반병동에 비해 중환자실 환경은 여러 형태의 소음에 의해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평상

시 수면양상에 변화를 일으켜 환자들의 건강상태를 더욱 악화시키게 되므로 소음과 수면

양상과의 관계를 밝혀 그 중재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질병회복에 크게 기여하게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중환자실의 소음과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수면양상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1999년 9월 28일부터 10월 31일까지 경기도 수원소재일 종합병

원의 내과계·외과계·심혈관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34명의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음은 객관적인 측면의 소음수준과 주관적인 측면의 소음 인지정도를 의

미하는데 소음수준와 소음 인지정도는 각각 소음계(A·Weighted Sound Level Meter)와 본

연구자가 기존의 도구와 문헌고찰·직접관찰을 통해 수정·보완한 소음인지정도 측정도

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수면양상은 수면양과 수면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면양

과 수면질은 각각 개방형 질문과 오진주, 송미순, 김신미(1998)의 "수면측정 도구 A"를

중환자실 입원환자에게 적용가능하도록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수면질 측정도구를 이

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었으며 소음과 수면양상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고, 소음과 수면양상과의 관계를 보기위해서는 Pearson product mome

nt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여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음

과 수면양상은 t-test와 일원변량분석(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1. 중환자실의 야간 시간대(10pm-6am) 소음수준은 세 곳의 중환자실 전체 평균이 56.2d

B이었고 중환자실별로는 외과계 중환자실이 58.7dB, 내과계 중환자실이58.6dB로 유사하였

고 심혈관계 중환자실은 48.3dB로 내·외과계 중환자실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대상자의

소음 인지정도는 최대 가능한 점수 76점에 대해 평균 42.8이었고 문항별로 살펴본 소음

인지정도는 평점 4점에 대해 "간호사·의사의 말하는 소리"가 3.2점으로 가장 높았고, "

라디오 소리"가 1.2점으로 가장 낮았다.

2.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밤수면양은 평균 4.9시간이었고, 수면질은 최대 가능한 점수 4

0점에 대해 평균 21.0이었다.

3. 중환자실 입원환자외 소음 인지정도와 수면양상과의 관계를 분석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대상자의 소음 인지정도가 높을수륵 밤수면양과 수

면질은 각각 r=-.41 (p<.05), r=-.47 (p<.01)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음원의 유형별 인지정도와 수면양상과의 관계를 분석했을 때 "의료진에 의한 소

음"과 "의료진이외의 다른 사람들에 의한 소음"이 수면양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실제 데시벨로 측정되는 객관적 소음수준보다는 개인의 주관

적인 소음 인지정도에 따라 밤수면양상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중환자실 입원환자돌의 수면장애를 애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해 중환자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개인의 인지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간호중재방안

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The Relationship between Noise and Sleep Pattern in Intensive Care Units



Son, Youn-jung

Department of Nursing Education Graduate School at Yonsei University



The environment in the ICU leads to changes in a patient's usual sleep pattern

and so it contributes to worsening the patient's health condition as compared to

patients in general ward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an important nursing

interventions would be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noise and sleep pattern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for illness recover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noise in

the ICU and the sleep pattern of patients admitted to the ICU. A descriptive

correlation design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Thirty-four subiects were

recruited from a Medical ICU(MICU), Surgical ICU(SICU) and Coronary Care Unit(CCU)

at a large university hospital in Suwon.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8 to

October 31 in 1999.

In the present study, noise was categorized into noise level and patients′

perception of noise. The objective noise level was measured using the A-Weighted

Sound Level Meter. The patients' preception of noise was measur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the researcher. Sleep pattern in this

study includes both quantity of sleep and quality of sleep. These were measured

using the open ended questionnaires and the 'Korean Sleep Scale A' developed by Oh,

Song, Kim.(1998).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WIN.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performed. Ancillary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demographic variables to determine their relation to the main study

variables. For the ancillar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total mean of objective noise level(10pm-6am) was 56.2dB. The means for

night time noise level in individual ICUs were for the SICU, MICU and CCU, 58.7dB,

58.6dB and 48.3dB, respectively.

The total mean for patient noise perception was 42.8 out of maximum possible

scare of 76. for item means of noise perception, the one ranked highest was

"conversations between doctors and nurses"(3.2). The one ranked lowest was "noise

from the radio"(1.2). Concerning the degree of perception for each type noise

source, the ranked one highest was "equipment noise"(2.6), the second was

"conversation between medical staff"(2.4), the third was "conversation between

patients, caregivers and visitors"(2.3), the one ranked lowest was "environment

noise"(1.8).

2. Looking at sleep quantity of ICU patients, the mean nocturnal sleep time was

found to be 4.9 hours. The total mean of sleep quality for ICU patients was 21.0

out of maximum possible score of 40.

3.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noise and quantity of slee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41, p<.05).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noise and quality of sleep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r=-.47, p<.01).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personal perception of noise is related to

sleep patter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nursing interventions be developed to reduce the

degree of personal perception to noise and thus, decrease sleep pattaern

disturbances in patients in the ICU.
Files in This Item:
TA0021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31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