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614

Cited 0 times in

Graves씨병의 수술전 처치에 대한 분석 및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Analysis in preoperative preparation of Graves' disease 
Authors
 소의영 
Issue Date
1986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현재 Graves씨병의 수술전 처치로는 iodine, 향갑상선제 및 교감신경 차단제인 propera

nolol 등을 사용하며 각각의 약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기도 하나, 그 장단점을 서로 보완하

기 위하여 두가지 이상의 약제를 병합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많다.

이중 가장 최근에 개발된 propranolol은 종래의 고식적인 방법에 비해 빠른 시일내에

수술전 처치를 할 수 있고 출혈량도 감소 시킬 수 있는 등의 잇점이 있어 현재 많이 사용

되고 있다. 그러나 Graves씨병의 안전한 수술을 위한 수술전 처치로 propranolol만을사용

하여도 적절한지 아니면 항갑상선제 또는 iodine제를 병합 사용하는 것이 안전한지 혹은

이 세가지 약제를 모두 사용하는 3가지 병합요법이 더 안전한지는 아직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있다. 이에 저자는 Graves씨병의 술전처치시 약물 선택에 있어 그 안전성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980년 3월부터 1984년 10월까지 만 4년 7개월간 연세의료원에서 Graves

씨병으로 수술한 255예를 propranolol 단독요법군 22예(1군), propranolol 과 propylthio

uracil(PTU) 병합요법군 123예(2군), propranolol, PTU, Lugol용액 병합요법군 110예(3군

)로 나누어서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술전 처치 기간은 각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2. Propranolol의 용량은 1군이 다른 군보다 많은 양이 소요되었다.

3. 각 군간에 절제도니 갑상선의 무게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수술시 출혈량은 3군이 가

장 적었다.

4 .수술중과 수술직후 빈맥의 빈도와 갑상선 중독증의 출현빈도는 1군이 제일 많고, 다

음이 2군, 3군순으로 적게 나타났다.

5. 수술전과 수술후 1년까지 측정한 T^^3, T^^4 Free T^^4 및 TSH의 변화는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수술직후 측정한 T^^3, T^^4치는 3군, 2군, 1군순으로 안정된

수치를 보였다.

6. 수술직후 1군에서 1예가 사망하였고, 기타 수술 합병증은 1군이 제일 많고, 다음이

2군, 3군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Graves씨병의 수술전 처치로는 propranolol 단독요법보다는 P

TU를 포함한 2가지 병합이, 또 이 두가지 병합보다는 propranolol, PTU 및 Lugol용액을

사용한 3가지 병합요법이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A Comparative Analysis in preoperative preparation of Graves' disease



Euy Young Soh, M.D.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oon Kyu Kim, M.D.)



There have been valious methods adopted for preparing the patient with Graves'

disease for surgery. The aims of using any of them, of course, are to restore as

nearly as possible euthyroidism for the patients, to bring about involution of

thyroid tissue, and to alleviate sympathetic cardiovascular overactivity.

They can be divided into three basically different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cation selected: iodine, antithyroid drugs, and propranolol. At times, two

or three agents are used in combination. However, there is a lot of controvery

surrounding medicaiton used.

At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between March 1980 and October 1984, to

determine most effective use of the method available propranolol alone was used for

22 patients (Group 1) a combination of propranolol and propylthrouracil (PTU) for

123 (Group 2), and a combination of propranolol PTU, and Lugol's sulution for 110

(Group 3),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s follows :

1.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groups in the length of time needed for

preparation of the patient for surgery, however, larger doses of propranolol were

used in Group 1.

2. Blood loss in sugery was least in Group 3.

3. The incidence of perioperative tachycardia & thyrotoxicosis was greatest in

Group 1 and least in Group 3.

4. Between the time immediately preceding surgery and one year after surger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vel of T^^3, T^^4, Free T^^4 and TSH

among the 3 groups.

The levels of T^^3 and T^^4 on the day of operation were close to normal values

in Group 3 than Group 2 and Group 1.

5. There was one fatality in Group 1,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greatest in Group 1 and least in group 3.

The above findings are very suggestive that propranolol, propylthrouracil and

Lugol's solution combination is the most effective of the thre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604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30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