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503

Cited 0 times in

내장신경반복차단예에 대한 임상적 연구

Other Titles
 A Clinical Evaluation of Repeated Splanchinic Nerve Block 
Authors
 성낙순 
Issue Date
1990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암성 격통으로 고통받는 말기암 환자에 대한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통증제거 방법의 하

나로서 내장신경차단이 추천되어왔다. 상복부 및 요배부의 통중시에 내장신경차단이 유효

함은 잘 알려진 사실이나 일부 환자에서는 만족스런 제통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

본 연구는 통증 완화를 목적으로 1985년 1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내장신경 차단을 시

행한 264 예중 1회의 신경차단으로 만족스런 효과를 얻지 못하여 2 또는 3회의 신경차단

을 받았던 42예를 대상으로 환자특성, 원인 질환의 종류와 통증부위, 복수동반 및 전이상

태, 병용 치료 요법의 종류, 신경차단 약물의 농도 및 용량, 차단간 간격, 차단침 끝의

위치와 조영제를 주입한 후의 퍼짐양상 등을 조사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내장신경 반복차단을 받은 환자는 연령별로 50대와 40대가 많았고 남녀비는 2.5:1로

남성에 많았다

2) 반복차단 시행 환자의 원인질환은 위암(42.9%), 취장암(33.3%), 간암(7.1%)순이었다

.

3) 차단전 통증부위는 상복부, 명치부, 복부 전체가 주였고 재차단후 통증 부위는 다소

변화하였다.

4) 반복차단 예에서 복수동반(30.6%) 및 암성전이(81.0%)가 많았다.

5) 신경차단전 수술, 방사선 요법, 화학요법등 항암 치료를 시행받은 경우가 1회 차단

예(54.2%) 보다 2회(86.2%), 3회(100.0%) 차단예에서 더욱 많았다.

6) 1회 차단 환자 264 예중 111 예(42.0%), 2회 차단 환자 42 예중 27 예(64.3%), 3회

차단 환자 6 예중 4 예(66.7%)가 아편계 진통제를 투여받았었다.

7) 2회 반복차단율은 무수·50% 알코올 군(16.0%)과 75% 알코올 군(15.6%)사이에 뚜렷

한 차이가 없었으나 3회 반복차단율은 무수·50% 알코올 군(1.6%)이 75% 알코올 군(3.9%)

보다 낮았다. 2주를 기준으로한 반복차단율은 두 군이 9.6% 및 11.7%로 무수·50% 알코올

군의 차단효과가 좀 더 우수하였다.

8) 무수·50% 알코올 사용 군과 75%알코올 사용 군간에 용량에 따른 제통 효과의 차이

는 없었다.

9) 반복차단 예에서 차단침 끝의 위치와 차단 약물의 퍼짐양상은 비 반복차단 예와 비

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암의 전이, 심한 복수 및 선행 항암 요법등이 차단 효과

를 감퇴시키는 요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내장신경차단은 상복부암 환자에서 조기 적용

함으로써 그 효과는 더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Lidocaine에 의한 시험 차

단 20분 후 알코올에 의한 신경파괴 차단을 시행할 때 무수·50% 알코올이 75% 알코올에

비하여 차단효과가 좀 더 우수한것으로 보였다.





A Clinical Evaluation of Repeated Splanchnic Nerve Block



Nak Soon Sung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Hung Kun Oh, M.D.)



Splanchnic nerve block(SNB) is performed to relieve intractable upper abdominal

pain caused by carcinoma of the upper G-1 tract. But, not all patients arhieve

satisfactory pain relief, and therefore, a second or third nerve block trial may

need to be performed.

In the present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possible factors which

might affect the result of repeated SNB in 42 patients among 264 patients who

received SNB at Severance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85 to December

1989.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mong the 42 patients, including 30 males and 12 females, the fifties and

forties were the major age groups.

2) Among the underlying diseases, stomach cancer was the most common(18 cases)

and pancreatic cancer was next (14 cases).

3) The main locations of pain were the upper abdomen, epigastrium and entire

abdomen in decreasing order.

4) Among the thirty nine cases of first SNB combined with ascites, 13 cases

received a repeat block, of which 81.0% had metastatic lesion.

5) There were 54.2% who had single or combined treatment, operation,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before SNB.

6) There were twenty seven cases(64.3%) had received opioid medications for pain

control.

7) In the 75% alcohol group, 11.7% of patients required a second block and in the

pure and 50% alcohol group, 9.6% of patients required a second block within two

weeks of the first block. Three cases in both of these repeated block groups

required a third block; representing 3.9% of 75% alcohol group and 1.6% of the pure

and 50% alcohol group.

8) The volume of alcohol used was more than 16ml bilaterally in both cases

9) The points of the inserted needle were positioned in the upper and

anterolateral part of the Ll vertebra on both sides on the antereposterior

roentgenogram. The contrast media was spread upward along the anterior margin of

the vertebral body and posteriorly in repeat block.

The frequency of repeat block was higher in cases with ascites or metastasis The

instance of repeat block within 2 weeks of the first block was lower in the pure

and 50% alcohol group than in the 75% alcohol group.

Thus, alcohol concentration and patient status may be considered factors which

influence the result of repeated SNB. We suggest early application of SNB in upper

abdominal cancer patient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7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30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