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1492

Cited 0 times in

난소의 Krukenberg 종양

Other Titles
 Krukenberg Tumor of Ovary 
Authors
 박원일 
Issue Date
1991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Krukenberg 종양으로 병리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51예의 의무 기록을 분석하여 Krukenbe

rg 종양의 임상적 특성 및 원발 병소암, 특별히 위암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Krukenberg종양의 발생 연령은 18세에서 54세까지 다양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37.9세였

다. 증상은 촉지되는 종괴볼 주소로 내원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양측성으로 발생한 경

우는 59%였다. 원발 병소가 확인된 42예 중 39예는 위에서 전이되었으며, 대장에서 전이

된 경우가 2예, 유방에서 전이된 경우가 1예였다. Krukenberg 종양이 진단된 시기는 원발

병소와 동시에 수술로서 진단된 경우가 24예였으며, 15에는 원발 병소 진단 후 6개월 에

서 60개월 이후에 진단 되었다.

51예의 환자에 대해 21예는 수술만 시행하였고, 21에는 수술후 항암 화학 요법을 추가

하였으며, 생검 후 항암 화학 요법만을 시행한 경우가 4예였다. 각각의 치료 방법에 따른

환자의 생존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이 매우 불량하였다. 따라서 Krukenberg

종양에 대한 관심은 진단 후 치료보다는 원발 병소의 암을 치료할 당시 예방이 가능 할

것인가에 모아져야 한다.

Krukenberg종양이 산재성(diffuse) 세포 형태의 위암(인환세포)에서 잘 발생한다는 것

은 이미 알려져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이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Krukenberg 종양으로 진행된 10예중 7예에서 임파절 전이가 있었던 것으로 미루어

, Krukenberg 종양은 위암의 진단 당시 임파절 전이가 있을 경우 잘 발생하는 것으로 생

각된다. 세계적으로 위암 수술시 정상 난소에 대한 예방적 난소 절졔술을 시행한 경우는

보고되어 있지 않으나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때, 위암 수술시 인완 세포 혹은 비 분

화성 선암의 세포 형태를 보이며, 임파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폐경기 이전이라 할 지라

도 양측 난소를 예방적으로 절제하는 것이 Krukenberg종양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사료

된다. 그리고 폐경 전후 또는 그 이후의 연령층에 대해서는 위암 수술시 세포 형태 및 임

파절 전이에 무관하게 양측 난소를 절제하는 것이 역시 바람직하다.





Krukenberg Tumer or 0vary



Won Il Park

Department of Medical Scie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Tchan Kyu Park)



We reviewed 53 patients with Krukenberg tumor to determine clinical features and

risk factors of primary cancer. The patient's ages ranged from 18 to 54 years

(mean:37.9 year). The most frequent symptom was palpable mass. The tumor occurred

bilaterally in 59% of cases.

In 9 patients, we could not find primary cancer. In the other 42 patients, the

tumor was metastased from stomach in 39 patients, from large intestine in 2

patients. and from breast in 1 patient.

The Krukenberg tumors were diagnosed synchronous with primary cancer in 24

patients. 15 patients had been diaguosed 6 to 60 months after the diagnosis of

prlmary cancer.

21 patients underwent surgery, the other 21 patients underwent surgery followed

by chemotherpy. 4 patients were treated wlth chemotherapy after biops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gicant difference in survival among 3 therapeutic modalitles.

The Krrukenberg tumor had been showm had prognosis regardless of treatment

modality. Therefore, we've focused on the possibi1lity of prevention of the tumor

rather than treatment. Krukenberg tumor was related with signet ring cell stomach

cancer(10 of 39 patients), and poorly differentlated adenocarcinoma of stomach(16

of 39 patients).

Lymps nodes had been involved in 7 of 10 stomach cancer patient, who subsequently

developed Krukenberg tumor,

Prophylactic oophorectomy in case of stomach cancer have not been appeared in

literature, in our oppinlon, prophylactic oophorectomy should be considered during

stomach cancer operation, if the cell type of stomach cancer were signet ring cell

type (or poorly differentiated adnooarcinoma) accompanied with lymph node

involvement. in addition, prophylactic oophorectomy should be undergone in

perimenopausal or postmenopausal women with stomach cancer regardless of cell type

or stag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5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28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