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332

Cited 0 times in

한국인 청소년의 검열형태에 관한 관찰

Other Titles
 The Palpebral Fissure of the Korean Youth 
Authors
 노세현 
Issue Date
1981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동양인의 안검형태의 특징은 몽고추벽, 내안각췌피, 내안각에 비해서 외안각이 상방으

로 편위되어었다는 점등으로 알려져왔으며 동양인과 서양인과의 해부학적이나 인종학적인

차임점의 하나로 생각되어져왔다.

Gifford는 동양인의 사진을 수집검토한 결과 동양인과 서양인사이에는 내안각에 비해서

외안각의 수직편위의 정도에 별 차이가 없었다고 주장하였다.

한국인의 안검열에 관하여는 김이 일제시대에 보고한 이후로 이를 뒷받침하거나 비교할

만한 연구가 없기에 저자는 1980년 11월 1일부터 1981년 2월 28일까지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소재 국민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 재학생 중 정상인 1,032명을 임의 선정하여

한국인의 검열의 길이, 높이, 외안각의 위치 및 내안각췌피의 유무등에 관하여 조사한 결

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창녕군에서 검열의 외안각의 위치는 개안시 우안이 평균 3.73mm, 좌안이 평균 3.71m

m 상방으로 편위되었으며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상방으로 편위되어 있었다.

2. 폐안시 외안각으 위치는 우안이 편균 1.73mm, 좌안이 평균 1.72mm 상방으로 편위되

었으나 통계적으로 의의가 있는 차이는 아니었다.

3. 외안각의 위치는 폐안에서 개안의 위치로 되면서 우안이 상방으로 평균 1.99mm, 좌

안이 평균 1.98mm 편위되었다.

4. 안검열의 길이는 우안이 평균 24.95mm, 좌안이 평균 24.92mm였고 남자가 여자보다

긴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학적 검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5. 검열의 높이는 여자에서 남자보다 더 큰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학적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좌우안의 검열높이는 평균 5.83mm로 같았다.

6. 검열의 높이와 길이는 대체로 검열이 길어지면 높이도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들

간의 상관성은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7. 내안각췌피는 양측성으로 나타나고 남자에서 여자보다 많이 나타났다.

8. 쌍꺼풀은 양측성으로 나타나고 개안시와 폐안시 나타나는 빈도에 약간의 차이가 있

었다.

9. 쌍꺼풀과 내안각췌피의 과년성은 통계적 검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0. 검열의 길이는 10세 전후에서 성인검열길이에 도달하며 검열의 높이는 6세전에 이

미 형성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The Palpebral fissure of the Korean Youth



Sae Heun Rho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Ouk Choi, M.D.)



Narrowness of palpebral fissure, epicanthus and Mongolian fold are characteristic

features of Mongolian reces. An upward obliquity of palpebral fissure is usually

said and believed to be a hallmark of Mongolian race. Gifford(1928), who made a

large number of photographic measurement, concluded that this conception was a

largely myth because he found this obliquity in only 10% of 840 Chinese and

Japanese. But Kim(1940), who measured palpebral fissures of 2064 Koreans, found

that all palpebral fissures were upturned to about 7-8 degrees in the lateral side.

Since then no other detailed survery of palpebral fissure has been done in Korea.

Measurements of palpebral fissure of schoolboys and girls were taken in

Chang-Neung Gun, Gyung-sang-Nam Province,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verage was the lateral canthus 3.73mm higher than the medial canthus in

right eye and 3.71mm in left eye when the eye was in primary straight ahead

position. The lateral canthus of male was more higher than that of female in both

eyes.

2. When the eye was colssed, the lateral canthus was 1.73%mm higher than the

medial canthus in right eye and 1.72mm in the left.

3. The lateral canthus ws higher in the primary straight ahead position than when

the eye was closed. This discrepancy was 1.99mm in the right eye and 1.98mm in the

left.

4. The leight of palpebral fissure of both eyes was 5.83mm. The height of

palpebral fissure had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6. Ingeneral, the longer the palperal fissure was, the higher it tended to be.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ur survery.

7. The epicanthus was bilateral and more frequently noted in male.

8. The double fold was bilateral. The double fold was hidden at primary straight

ahead position in some person.

9. The most of the growth in palpebral fissure length was attained under 10 year

old and the height under 6 years of ag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616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24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