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494

Cited 0 times in

간외 담도의 원발성 악성종양

Other Titles
 Primary carcinoma of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Authors
 김종우 
Issue Date
1991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원발성 간외 담도암은 소화기암 중에서 비교적 드물고 진단시 이미 국소적 침윤이나 전

이가 있어 근치적 수슬이 불가능하여 예후가 매우 불량한 암으로 알려져 있다.

진단상 과거에 비하여 근래에는 초음파, 컴퓨터 단층촬영, 경피경간담도 조영술, 역행

성췌담도조영술등 진단법의 개발과 발달로 비교적 조기에 진단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따

라서 근치적 절제술이 가능한 경우가 증가되었고, 또한 감압배액술등의 고식적 치료방법

의 발달로 예후에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법의 발달과 보다 적극적

인 치료방법의 향상에도 여전히 예후는 불량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1982

년 1월 1일부터 1989년 12월 31일까지 만 8년간 신촌및 영동 세브란스 병원에서 수술로서

확진된, Vater씨 팽대부를 제외한 총수담관 말단부터 간담도 좌우분지 하부까지의 간외

담도암 환자 123예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조사하고 추적조사를 시행하여 본 질환의 임

상적 특성과 그 예후 및 생존율에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고, 아울러 1982년 본 교실에서

발표한 1964년부터 1981년까지의 간외 담도암 황자 72예에 대한 연구논문과 비교분석하여

, 향후 본 질환의 진단 및 치료의 성적을 파악하고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얻고자 본 연구

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간외담도암은 2.3:1로 남자에게 많았으며 60대에서 가장 많았고 평균 나이는 60.8세

였다.

2. 주 증상은 황달과 복통이었으며 평균 발병기간은 1.5개월이었다.

3. 혈청 빌리루빈치의 증가는 94.3%에서 나타났으며 담석증은 17.9%에서, 간흡층증은 7

.3%에서 동반되었다.

4. 병변은 근위부암이 23.6%, 중위부암이 23.6%, 원위부암이 41.5%였으며 미만성암은 1

1.4%였다. 인접장기로의 직접 침윤은 췌장이 15.0%로 가장 많았으며 전이는 국소 임파절

이 33.3%로 가장 많았다.

5. 수술은 근치적 절제슬이 34.1%에서 이루어졌으며 이중 담도절제가 52.5%에서, Whipp

le씨 수술이 45.2%에서 각각 이루어졌다.

6. 암의 병기가 진행될수록 환자가 많았으며, 병기 I, II는 100%, III은 33.3%, IV는 1

6.O%가 근치적으로 절제되었다.

7. 간외 담도암의 평균 생존율은 30.86개월이었고 중간 생존율은 12개월이었다. 생존율

에서 남녀의 차이는 없었으며, 수술 형태에 따른 분류에서 근치적 절제시 평균 58.91개월

, 고식적 수술시 평균 13.59개월의 생존율을 보였고, 1년 생존율은 각각 77.5%와 35.0%였

다. 암병기에 따른 평균 생존율은 병기 I에서 IV까지 각각 56.0개월, 58.0개월, 20.6개월

및 16.8개월이었다. 암부위에 따른 평균 생존율은 근위부암이 27.34개월, 중위부암이 23

.73개월, 원위부암이 28.43개월이었으며 미만성인 경우는 7.48개월이었다.

8. Cox Proportional Hazard Method에 의한 생존율에 미치는 요소들의 중요도는 근치적

혹은 고식적 수술에 따른 시술형태가 가장 크게 좌우하였고 그 다음이 암의병기, 성별,

연령 및 암의 위치 순으로 중요도가 있었다.

과거 본교실에서 발표한 논문과 비교해 볼때, 근치적 절제율은 과거 17%에서 34.l%로

증가하였으며, 근치적 절제술에서의 1년 생존율은 과거 54.5%에서 77.5%로 증가하였고 고

식적 수술의 경우도 과거 18.0%에서 35.0%로 증가하였다. 어느정도 암이 진행되었어도 최

근에는 적극적이고 광범위하게 근치적 절제를 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또한 고식적 수술에

서도 향상을 가져와 전반적으로 과거에 비하여 생존율의 향상을 가져왔다.





Primary carcinoma of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Jong Woo Kim, M.D.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Byong Ro Kim, M.D.)



The primary carcinoma of extrahepatic bile duct is relatively rare and it has a

poor prognosis. The curative reaction is uncommon because of local invasion or

distant metastasis.

Nowadays, with the aid of recent improvement of diagnostic modalities such as

ultrasonogram, computerized axial tomographic scan,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graphy and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the

establishment of diagnosis as an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is possible in the

earlier stage of the disease progress. Palliative procedure like biliary

decompression has improved the prognosi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the

primary carcinoma of extrahepatic bile duct. Nevertheless, the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remains in one of the poorest prognostic cancer.

We reviewed 123 patients with exttrahepatic bile duct cancer who were operated on

at the Department of General surgery, Shinchon Severance hospital and Yongdong

Severance Hospital during the eight year period between Jan.1,1982 and Dec.31,1989.

Our definition of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is a tumor located in between the

bifucation of both intrahepatic bile ducts and ampulla of Vater. This series is a

consecutive study of our previous report of 72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s which

was dealt with the period from Jan.1,1964 through Dec.31,1981.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are 86 males and 37 females, The most prevalent age group is seventh

decade and the mean age is 60.8 year.

2. The major subjective sypmtoms are jaundice and abdominal pain. The mean

duration of illness is 1.5 month.

3. The abnormally increased bilirubin level is observed in 94.3%, The

cholelithiasis is presented in 17.9% and the Clonorchis sinensis presented in 7.3%.

4. The cancer lesions are located 23.6% in the proximal bile duct, 23.6% in the

middle bile duct, 41.5% in the distal bile duct and 11.4% in the diffuse lesion.

The pancreas is the most frequent site of direct cancer invasion and the lymph node

is frequently metastasized in 33.3% of the patients.

5. Curative resection was done in 34.1% of the patients.

Bile duct resection was in 52.5% and the Whipple'operation in 45.2%.

6. The palliative surgery was done more frequently than curative surgery in

advanced stage of cancer. The curative resection rate for stage IV cancer is only

16.0%.

7. The mean survival rate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 is 30.86 month and the

median survival rate is 12 month. There are no differences of survival in terms of

sex. The mean survival rates of curative and palliative surgery are 58.91 month and

13.59 month, respectively. The mean survival rates of stage I through IV are 56.0

month, 58.0 month, 20.6 month and 16.8 month, respectively. The mean survivals of

the proximal, middle, distal and diffuse cancer lesion are 27.34 month, 23.73

month, 28.43 month and 7.48 month, respectively.

8. The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are analyzed by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ethod. It was proved that the type of oper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the stage of the cancer, the sex, the age of patient and the location

of the cancer.

The prognosis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has been improved with earlier

diagnosis and curative resection. Even though the cancer is discovered in its late

stage, the radical resection and more intensive treatments offer the patient the

better chance for survival and palliat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5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21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