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424

Cited 0 times in

내장신경차단에 관한 임상적 연구

Other Titles
 A Clinical Evaluation of Splanchnic Nerve Block 
Authors
 김수연 
Issue Date
1986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1919년 Kappis에 의해 내장신경 차단시 후방접근법이 소개되었고, Moore(1961)는 복강

신경총에 alcohol을 주입하여 상복부통증과 혈관경련을 소실시킬 수 있음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차단은 위, 간, 체장, 십이지낭, 담낭, 담관, 상 및 횡행대장 또는 부신의

악성종양을 가진 환자의 상복부통증 제거에 적용된다.

저자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통증치료실에서 1968년 11월부터 1986년 1월

까지 시행한 내장신경차단 환자 208예를 차단방법에 따라 3군으로 나누어 분석, 검토하였

다.

즉, 제1군은 1968년 11월부터 1977년 3월까지에 시술된 12예, 제2군은 1977년 4월부터

1979년 4월까지의 26예, 제3군은 1979년 5월부터 1986년 1월까지의 170예를 대상으로 하

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도별 시행 환자수는 1977년이후 대체로 증가하였다.

2. 성별분포는 각군간에 유사하였고, 전체적으로는 남성이 133예(63.9%), 여성이 75예(

36.1%)였다. 연령별로는 50대가 33.7%로 가장 많았고, 60대, 40대의 순이었다.

3. 질환별로는 위암(43.3%) 췌장암(33.2%)의 순으로 가장 많았다.

4. 차단전 치료로는 57.7 %의 증예에서 수술을 받았으며, 3.7%에서 항암제요법이 단독

또는 겸용되었다.

5 .피부천자부위는 제3군에서 촬영 보관된 X선 사진상 대부분 제 2요추의 상 2/4 (좌 :

33.1%, 우: 33.3%), 하 2/4 (좌 :25.2 %, 우: 23.7 %) 부위에서 좌우로 연장된 선상이

가장 많았다.

재2 및 3군에서 실축된 중앙선부터 자 및 우측 천자부위까지의 평균거리는 제2군에서 6

.60 ± 0.61 및 6.60 ± 0.83 cm, 제3군에서 5.46 ± 0.76 및 5.49 ± 0.69 cm으로서 제

2군에 비해 제3군에서 좀 짧아진 경향은 있었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제 1요추의 양측 전측방에 이르는 좌 및 우측 천자침의 평균피하길이는 제 2군이 8.60

± 0.52 및 8.74 ± 0.60 cm, 제3군이 8.90 ± 0.63 및 9.18 ± 0.57 cm이었으며 제3군에

서 조사된 천자부위에 따른 천자침 피하길이 와의 상관관계는 업었다.

5. 천자침끝의 위치는 제3군의 X선 좌우상에서 제 1요추 상1/4전연부위의 좌 및 우측이

51.8 및 54.4 %로서 가장 많았으며, 전후상에서 제 1요추 상의측 1/4부위의 좌 및 우측

이 68.5 및 60.5 %로 가장 많았다.

7. 조영제소견은 제3군중 3예에서 시험차단시 Conray 400(meglumine iothalamate USP 6

0) 4㎖와 2% lidocaine 4 ㎖를 양측에 주입한 후 투시 및 X선 사진을 찍어본 결과, 조영

제가 추체전연을 따라 윗쪽으로 퍼진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8. 차단시 사용한 약제의 농도와 평균용량은 제 1군에서 시험차단시 0.5∼ 1 % lidocai

ne 또는 0.25 % bupivacaine 39.17 ±6.69㎖, 반영구차단으로 50 % alcohol 40.00 ± 4.2

6 ㎖가 주입되었다. 제 2군은 시험차단시 1 % lidocaine 13.75 ± 4.88 ㎖, 반영구차단시

50 % alcohol 46.17 ± 4.37 ㎖가 주입되었다. 제 3군은 시험차단시 1 % lidocaine 15.6

3±1.19 ㎖, 반명구차단 목적으로 무수 alcohol 15.62 ± 1.20 ㎖와 50% alcohol 16.05

± 2.58 ㎖가 주입되었다.

9. 차단효과는 시험차단시 전예에서 유효하였으au, alcohol 차단의 직후효과는 우수하

였 다.

그러나, 1회차단으로 2주이상의 만족스런 제통효과를 본 예는 제 1, 2 및 3군에서 각각

83.3, 73.1 및 91,8% 이었으며, 2주이내에 반복차단한 예는 제2 및 3군에서 7 및 14예 (

26.9 및 8.2 % )이며, 제2군에서는 전예, 재3군에서는 11예에서 통증이 소실하였다. 2번

째 차단후 계속 통증을 호소했던 제3군의 3예도 각각 10, 14 및 8일후에 3번째 차단을 시

행하여 통증이 소실되었다.

10. 합병증으로 혈압하강이 가장 않았으며, 제 1 , 2 및 3군에서 각각 33.3, 38.5 및 2

2.9%로서 제3군에서 가장 적었다. 그의에 alcohol에 의한 안멸홍조, 구역 및 구토등이 있

었다.

11. 내장실경차단 전 및 후에 각종차단요법이 접용되었는테 그 중 제2 및 3군에서 지속

적 경막외 차단법이 내장신경 차단후에 11.5 및 9.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특히 제

3군 에서는 내장신경차단전에 30.6 %의 환자에서 시험차단 및 우선적 통증제거 목적으로

이용되었다.

12. 차단후 퇴훤할때 까지의 기간은 5∼8일 사이가 61예(31.1%)로 가장 많았으며, 차

단 1∼2일 후 퇴원한 sruddn도 48예(24.5 %)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내장실신 차단시 영상증강장치를 이용하여 시험차단후 효

과를 평가하고, 즉시 고농도의 alcohol 로 차단함으로서 반명구차단의 거부 또는 재차단

율을 감소시짇 수 있었다.

재차단예중에는 2 및 3개월후에 시행받은 환자도 있으며 7년만에 다시 시행받은 예도

있었다. 이와같은 사실은 본 통증치료실에서 시행한 내장신경차단법이 상복부 암성격통의

제거방법으로서 대단히 유효하고 안전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앞으로 이런 환자에게 더옥

이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려된다.





A Clinical Evaluation of Splanchnic Nerve Block



Soo Yeoun Kim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 Hung Kun Oh, H. D.)



Intractable pain from advanced carcinoma of the upper abdomen is difficult to

manacle. One method used to control pain associated with these malignancies is to

block off the splanchnic nerve. In 1919 Kappis described a technique by which the

splanchnic nerve of the upper abdomen could be anesthetized, using a percutaneous

injection. This method has been used for the relief of upper abdominal pain due to

hepatoma and cancer of the pancreas, stomach, gall bladder? bile duct, and colon.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1968 7o January 1986, this method was used in 208

cases of malignancy at Severance Hospital and clinically evaluated. Patients were

retroactively grouped according to the stage of development of technique used.

Twelve patients who received the treatment in the period from November1968 t? March

1977 were designated as group 1, 26 patients from April 1977 to April 1979 as group

2, and 170 from May 1979 to January 1986 as group 3.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number of patients receiving splanchnic nerve block has been increasing

since 1977.

2. A total of 208 patients, including 133 males and 75 females, ranging in age

from 18 to 84 and averaging 51.The causes of pain were stomach cancer 90,

pancreatic cancer69 ? and miscellaneous cancer 49 cases respectively.

4. There were 57.7% who had had surgery, and 3.7% of whom had chemotherapy before

the splanchnic nerve block was done.

5. In group 3, L2 was divided into four quarters for injection purposes and all

quarters on both sides were injected in this study. The common levels for the

insertion of the needle were the upper 2/4 of L2 and the lower 2/4 part level of 72

on both sides.

The average distance from the midline was 7.60 ± 0.61cm on the left side and

6.60 ± 0.83cm on the right side in group 2, and 5.46 ± 0.76cm on the left side

and 5.49 ± 0.69cm on the right side in group 3. The average depth to which the

needle was inserted was 8.60 ± 0.52cm on the lefe side and 8.74 ± 0.60cm on the

right side in group 2, and 8.96 ± 0.63cm on the left side and 9.18 ± 0.57cm on

the right side in group 3.

6. The points of the inserted needles were positioned in the upper quarter

anteriorly (51.8%) on the left side and (54.4%) on the right side of the Ll

vertebra by Lateral roent-genogram in group 3.

The inserted needle points were Located in the upper quarter laterally (68.5%) on

the Left side and (60.6%) on the right side of the Ll vertebra on the

anteroposterior roent-genogram in group 3.

7. In group 3, contrast media was injected to test the spread upward before the

splanchnic nerve block was done.

8. The concentration and the average amount of drug used in each group baa as

follows :

In group 1, 39,17 ± 6.69 ml of 0.5 % -1% lidocaine or 0.25% bupivacaine were

injected for the test block and one to three days after the test block 40.00 ±

4.26 ml of 50% alcohol was injected for the semipermanent block.

In group 2, 13.75 ± 4.88 ml of 1% lidocaine were used as the test block arid

followed by 46.17 ± 4.37 ml of 50% alcohol was injected as the semipermanent

block.

In group 3, 15.63 ±1.19 ml of 1% lidocaine for test block followed by 15.62 ±

1.20 ml of pure alcohol and 16.05 ± 2. 58 ml of 50% alcohol for semipermanent

block were injected.

9. The result of the test block was satisfactory in all cases.

However the semipermanent block was 83.3 percent of the patients in group 1 who

received relief from pain for at least 2 weeks after the block, 73.1% in group 2,

and 91.8% in group 3.

In these unsuccessful cases, 2 cases in group 1 were controlld by narcotics but 7

cases in group 2 and 14 cases in group 3 received the same splanchnic nerve block 1

or 2 times again within 2 weeks .

But, in some cases it was 3 to 5 month before the 2nd block and in 1 case even 7

years.

10.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of splanchnic nerve block were hypotension

(25.5%) occasional flushing of the face, nausea, vomiting 1 and chests discomfort.

11. For the patients in group 3, the supplemental block most commonly used was a

continuous epidural block ; it was used as a diagnostic block and to afford relief

from pain before the splanchnic nerve block was done.

12. The interval between the receiving of the alcohol block and discharge was

from 5 to 8 days in 61 cases (31.1%) and from 1 to 2 days in 48 cases (24.5%).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planschnic none block dome

in the prone position with pure and 50% alcohol immediately after an effective test

block with 1% lidocaine under C-arm fluoroscopic control is satisfactory and

riliable.

how tO mininize the repeat block is still a problem to be solve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603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17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