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931

Cited 0 times in

Theophylline의 투여방법에 따른 혈중농도의 변화

Other Titles
 A Study on the Blood Level of Theophylline by Routes and Methods of Administration 
Authors
 김명진 
Issue Date
198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Theophylline은 교감신경자극제가 흔히 쓰이고 있는 현재에도 가장 대표적이고 기본이

되는 기관지확장제로서 천식 및 여러 호흡기질환의 치료에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용

법 및 용량에 따라 혈중농도에 개인차가 많을뿐만 아니라 유효혈중농도와 중독혈중농도의

사이가 협소하기 때문에 부작용없이 약을 올바로 투여하려면 때때로 혈중농도를 측정해

야만 된다.

이에 저자는

1) Theophylline을 정맥투여할때 초회량을 먼저 투여하고 나서 유지량을 투여하는 방법

과 처음부터 1일량을 점적투여(点滴投與) 하는 방법과는 어느 쪽에서 더 유효한 혈중농도

를 얻을수 있는가? 또한 약용량은 어느 정도로 투여하는 것이 좋은가?

2) 경구투여시의 약용량은 어느 정도로 투여하는 것이 유효한 혈중농도를 유지할수 있

는가? 를 알아내어 실제 임상에 도움이 되고자 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환아는 다음의 3군으로 나누어 ;

제1군 : 15예의 환아에게 Aminophylline을 체중 매 ㎏당 6㎎을 초회량으로하여 수액에

섞어 15분이상에 걸쳐 서서히 정주한뒤 체중 매 ㎏당 10㎎을 1일량으로하여 수액에 섞어

점적투여하였다. 채혈은 처음 투여한후 1, 3, 5 및 8시간뒤에 실시하여 혈중농도를 측정

하였다.

제2군 : 8예의 환아에계 Aminophylline을 체중 매 ㎏당 12㎎을, 다른 7예의 환아에게는

체중 매㎏당 18㎎을 1일량으로하여 수액에 섞어 점적투여하였으며 채혈 및 혈중농도의

측정은 제1군과 동일하게 하였다.

제3군 : 경구투여군으로 8예의 환아에게 Aminophylline을 체중 매 ㎏당 15㎎을, 나머지

7예에게는 체중 매 ㎏당 20㎎을 1일량으로 하여 6시간 간격으로 경구투여한뒤 투약후 24

시간 및 48시간에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위와 같은 실험결과

1) 제1군에서의 1, 3, 5 및 8시간후의 Theophylline의 혈중농도는 각각 11.4㎍/㎖, 9.3

㎍/㎖, 8.1㎍/㎖ 및 6.1㎍/㎖였다.

2 ) 제2군에서 체중 매㎏당 15㎎의 Aminophylline을 점적투여했을때의 1, 3, 5 및 8시

간후의 Theophylline의 혈중농도는 각각 3.1㎍/㎖, 3.7㎍/㎖, 4.2㎍/㎖ 및 5.1㎍/㎖였고,

체중 매㎏당 18㎎의 Aminophylline을 투여한 경우의 1, 3, 5 및 8시간후의 혈중농도는 5

.7㎍/㎖, 8.8㎍/㎖, 9.3㎍/㎖ 및 12.8㎍/㎖였다.

3) 제3군에서 체중 매㎏당 15㎎의 Aminophylline을 일일량으로해서 경구로 6시간마다

분복시켰을 때의 24시간 및 48시간 후의 Theophylline의 혈중농도는 7.4㎍/㎖ 및 9.7㎍/

㎖였고, 체중 매㎏당 20㎎의 Aminophylline을 일일랑으로 해서 경구로 6시간마다 분복시

켰을때의 24 및 48시간후의 Theophylline의 혈중농도는 10.9 ㎍/㎖ 및 11.5 ㎍/㎖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초회량을 먼저 투여하고 나서 나머지 유지량을 점적투여하는 방법

이 처음부터 점적투여하는 방법보다 유효한 혈중농도를 빠른 시간내에 유지시킬수가 있었

고, 경구투여시에는 약용량을 체중 매㎏당 2㎎을 투여할 때에 더 유효한 혈중농도를 유지

할수 있었다.





A Study on the Blood Level of Theophylline by Routes and Methods of Administration



Myung Jin, Kim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 Young, Lee, M.D.)



Theophylline is most commonly used as bronchodilator for the treatment of

bronchial asthma. Measurement of blood theophylline level must be carried out in

order to avoid toxicity and to maintain proper blood level of the drug.

There are no report on theophylline blood levels, especially in pediatric

patients in Korea.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which method is best to

maintain proper blood level of theophylline.

Blood theophylline levels were measured in 45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after administration by various routes and methods, who were admitted or visited to

out patient pediatric allergy clinic of Severance Hospital from March, 1981 to

August, 1983.

Study cases were grouped as following:

Group Ⅰ : Administration of initial loading dose of aminophylline, 6 ㎎/㎏ by

intravenous route for 15 minutes followed by 10 ㎎/㎏/day dripping via intravenous

route.

Group Ⅱa : Administration of aminophylline, 12 ㎎/㎏/day dripping via Ⅳ route.

Group Ⅱb : Administration of aminophylline, 18 ㎎/㎏/day dripping via Ⅳ route.

Group Ⅲa : Administration of aminophylline, 15 ㎎/㎏/day P.0.

Group Ⅲb : Administration of aminophylline, 20 ㎎/㎏/day P.0.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1. In group Ⅰ, blood theophylline levels were 11.4 ㎍/㎖, 9.3 ㎍/㎖, 8.1 ㎍/㎖

and 6.1 ㎍/㎖ at 1, 3, 5 and 8 hrs. after start of therapy respectively.

2. In group Ⅱa, blood theophylline levels were 3.1 ㎍/㎖, 3.7 ㎍/㎖, 4.2 ㎍/㎖

and 5.1 ㎍/㎖ at 1, 3, 5 and 8 hrs. after start of therapy respectively.

3. In group Ⅱb, blood theophylline levels were 5.7 ㎍/㎖, 7.8 ㎍/㎖, 9.3 ㎍/㎖

and 12.8 ㎍/㎖ at 1, 3, 5 and 8 hrs. after start of therapy respectively.

4. In group Ⅲa, blood theophylline levels were 7.4 ㎍/㎖ and 9.7 ㎍/㎖ at 24 and

48 hrs. after start of therapy respectively.

5. In group Ⅲb, blood theophylline levels were 10.9 ㎍/㎖ and ll.5 ㎍/㎖ at 24

and 48 hrs. after start of therapy respectively.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administration of initial loading dose, 6 ㎎/㎏ of

aminophylline followed by dripping is favorable method for maintenance of proper

blood throphylline level, and for oral therapy, administration of 20 ㎎/㎏/day of

aminophylline i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15 ㎎/㎏/da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607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16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