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468

Cited 0 times in

Graves병의 외과적 치료후 갑상선 기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ostoperative Thyroid Functional States in the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uthors
 구철희 
Issue Date
1986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Graves병은 갑상선기능항진을 유발하는 원인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질환으로서

그 발병기전은 아직 확실하지 않으나 일부의 환자에서 갑상선 자가항체가 발견되는 것으

로 보아 면역학적 이상이 관여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Graves병의 치료방법으로는 갑

상선절제술이 비교적 널리 시행되고 있으나 수술 후 갑상선 기능의 변화와 이에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서는 아직도 불분명한 점이 많다.

그러므로 저자는 1977년 1월부터 1084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

병원에서 Graves병으로 진단되어 갑상선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후

갑상선 기능상태와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혈청 항 microsome항체와

항 thyroglobulin항체의 역가, 수술 후 갑상선 잔여량, 갑상선 조직내의 임파구 침윤정도

, germinal center의 형성 및 섬유화의 유무에 따른 갑상선 기능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술 후 6개월 이상 추적이 가능했던 Graves병 환자 총 121예의 평균 연령은 29세이

고 이중 60%가 30세 이하에 속하였으며 남녀비는 1:3.3으로 여자에 많았다.

2) 총 121예중 정상 갑상선 기능을 보인 관해군이 86예(71.1%), 재발군이 23예(19.0%)

그리고 갑상선기능저하군이 12예(9.9%)였다. 수술 후 재발 기간은 3개월부터 99개월까지

였으며(평균 17.6개월), 갑상선기능저하증의 발생기간은 2개월부터 21개월이었다.(평균 7

.6개월).

3) 혈청 항 microsome항체의 역가가 높을수록 절제된 갑상선 조직내에 임파구 침윤정도

와 germinal center의 형성 빈도가 높았다.

4) 혈청항 microsome항체의 역가가 중등도이상인 경우에는 기능저하증의 발생 빈도가

높았으나. 항 thyroglobulin항체의 역가와 수술 후 갑상선기능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5) 갑상선 조직 내에 임파구 침윤이 적을수록 재발율이 높고, 임파구 침윤이 많을수록

갑상선기능저하증의 발생 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6) 갑상선 조직 내에 germinal center형성이 있었던 군에서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의 발생

빈도가 의의있게 높았으나, 조직내에 fibrosis가 있었던 경우도 갑상선기능저하증의 발

생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7) 수술 후 갑상선 잔여량은 갑상선기능저하군, 관해군, 재발군에서 각각 5.2 1.0gm, 5

.8 2.9gm, 6.1 1.4gm으로 갑상선기능저하군과 재발군사이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Graves병은 수술요법으로 71.1%의 관해율을 보였고, 수술 후

갑상선기능저하증의 발생은 대부분 1년 미만(평균 7.6개월)에, 재발은 평균 17.6개월에

초래되어 그 예후를 알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수술

전 갑상선 자가 항체의 측정과 수술 중 조직 검색에 의한 병리소견을 수술 시 갑상선 잔

여량을 결정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 study on postoperative thyroid functional states in the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Chul Hoe Koo, M.D.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ap Bum Huh, M.D.)



In the past, surgical intervention for Graves' disease was seldom recommanded by

physicians due to uncertain results involving recurrence and postoperative

hypothyroidism as well as peri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But lately it

gained increasing acceptance because of its high remission rate and shortcomings of

antithyroid drugs or radioactive iodine.

121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Graves' disease and be

followed for more than 6 months were studied to evaluate the remission rate and

contributing factors affecting postoperative thyroid functional stat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mean age of 121 cases was 29 years and female to male ratio was 3.3 to 1.

2. Remission was achieved in 86 of 121 patients(71.1%) with a recurrence in

23(19.0%) and postoperative hypothyrodism in 12(9.9%). the mean interval from

surgery to recurrence and hypothyroidism was 17.6 months and 7.6 months,

respectively.

3. The higher the titer of serum antimicrosomal antibody, the more lymphocyutic

infiltration and the more germinal center formation in thyroid tissue were

observed(p<0.05).

4. The patients with germinal center in thyroid tissue tend to become hypothyroid

when compared with those without germinal center(p<0.05).

5. I found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postoperative thyroid functional

state and weight of remaining thyroid gland(P<0.05).

In conclusion, surgical intervention is attractive therapeutic modality for

Graves' disease because of its relatively high remission rate. And in deciding the

weight of remaining thyroid gland, surgeon should consider the preoperative titers

of antimicrosomal antibody as well as the pathological findings which can be good

indicators in predicting the prognosis after surger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603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13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