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471

Cited 0 times in

Etofylline nicotinate(Hesotanol)이 백서의 피부판 생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etofylline nicotinate( Hesotanol®) on the survival of skin flaps in rats 
Authors
 고양실 
Issue Date
1983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피부관의 괴사예방과 생존범위를 중대시키려는 방법으로 지연형성술이 사용되어 왔으며

그 기전에 대하여 많은 연구보고가 있었다. 외과적 지현형성술과 함께 약물적 지연형성

술 및 전기적 지연형성술이 있으며, 약물적 지연현성은 피부관 원위부의 괴사가 에피네프

린에 의한다고 보고된 후(Myers와 Cherry,1968) α-수용체 차단제를 사용하여 피부관의

생존을 증대시켰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탈신경지배에의해 동정맥문합 (arteriovenous an

astomose)이 닫혀 미세혈류순환이 증대되어 피부관 생존이 증대된다는 주장도 있었다(Rei

nisch 1974). Finaeth등(1978)은 핍혈 (ischemia), 탈교감실경지배(Sympathectomy), 염증

반응 (inflammatory reaction)등에 의한지속적인 혈관확장으로 지연형성이 일어난다는 혈

관확장설을 주장하였고,그 후 여러 종류의 혈관확장제를 사용하여 생존을 증대시킬수 있

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혈관확장설을 근거로, nicotinic acid와 theophylline의 에스테르 결합체인

etofylline nicotinate(Hesotanol )가 말초혈관확장 작용이 있음을 알고 백서의 임의형

피부판과 신경맥관 도서형 피부관에 약골을 전처치와 후처치하여 약물의 지연형성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그 연구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임의형 피부관에서 평균 생존면적은 대조군에서 약 6㎤이며 후처치군에서는 약 10㎤

로 후처치군에서 약물적 지연형성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05).

2 . 신경맥관 도서형 피부판에서 대조군의 평균 생존면적은 약 23㎠이며, 후처치군에서

는 약 31㎠로 역시 지연형성효과가 있었다( P< 0.05).

3. 임의형 피부판과 신경매관 도서형 피부판 모두 전처치군에서는 생존면적이 각각 약

5.4㎠, 약 16㎠로 감소되었다. 이는 혈관확장 상태에서 수술로 인한 외과적 외상과 출혈

경창이 있는 약물적 특성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나 더 연구해 볼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

된다.





The effects of etofylline nicotinate (Hesotanol ) on the survival of skin flaps in

rats



Yang-Shil Koh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Jse-Duk Lew, M.D.)



Delay procedure has been used in reconstructive surgery for the prevention of

flap necrosis and augmentation of flap survival. Concerning the delay mechanism,

numerous experiments have suggested various hypotheses. Recently, Finseth proposed

a new vasodilatation hypothesis, based on the effect of prolonged vascular smooth

muscle relaxation in the precapillary arterioles to which several factors

contribute such as sympathectomy, tissue ischemia and inflammatory reaction. Since

then, many authors attempted to improve flap survival with pharmacological

treatment which was based on the former hypothesi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effects of etofylline nicotinate which is

a vasodilator of the cerebral, coronalry and peripheral vessels and has little

toxic effect on the survival of randon pattern and neurovascular island flaps in

experimental ra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random pattern flaps, the mean area of flap survival was 6㎠ for the

control, 10㎠ for the flap treated postoperatively with drug and 5.4㎠ for the flap

treated pre- and postoperatively with drug.

2. In neurovascular island flaps, the mean area of flap survival was 23㎠ for the

control, 31㎠ for the flap treated postoperatively with drug and 16㎠ for the flap

pre & postoperatively treated with drug.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611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12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