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001

Cited 0 times in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 측정도구 개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수진-
dc.date.accessioned2015-12-24T09:08:27Z-
dc.date.available2015-12-24T09:08:27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050-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 측정도구 개발최근 의학기술의 발달로 소아암의 치료율이 높아지게 되면서 소아암 생존자 수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아암 생존자의 필수적인 건강 관련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의 측정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를 확인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로 개발단계와 검증단계로 진행하였다. 개발 단계에서 광범위한 문헌 고찰과 소아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의 영역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한 요구의 영역을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작성하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소아암 생존자 371명을 대상으로 HTML에 기반한 자료수집 방법을 사용하여 요구를 측정하였다. 문항 분석, 주축요인법과 사각회전법을 사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다속성-다문항 매트릭스를 분석하여 수렴 및 판별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삶의 질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준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s α을 확인하여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였고 검사-재검사 방법을 시행하여 확인한 급내 상관관계 계수와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하여 도구의 안정성을 검증하였다.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최종 도구는 신체적 요구 영역 5문항, 정보 및 의료 시스템 요구 영역 11문항, 심리적 요구 영역 5문항, 사회적 요구 영역 4문항, 암 관련 심리사회적 지지 요구 영역 6문항, 재정적 지지 요구 영역 4문항, 긍정적 자기변화에 대한 요구 영역 6문항으로 최종 7개 영역의 4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문항에 대한 응답은 전혀 필요하지 않다(1점), 필요했었지만 지금은 해결이 되었다(2점), 조금 필요하다(3점), 필요하다(4점), 매우 많이 필요하다(5점) 중 선택 하도록 구성된 5점 척도의 자가보고식 도구이며, 요구도는 역 문항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응답 점수를 합하여 산출하였다. 점수의 범위는 41점에서 205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도구는 국내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를 측정하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유일한 도구로 이를 사용하여 측정한 소아암 생존자의 다양한 요구가 반영된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소아암 생존자의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 측정도구 개발-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of health-related need scale for childhood cancer survivors-
dc.typeThesis-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