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5 1073

Cited 0 times in

뇌성마비 유아를 위한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명남-
dc.date.accessioned2015-12-24T09:07:43Z-
dc.date.available2015-12-24T09:07:43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022-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기 뇌성마비 아동과 뇌성마비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에게 적절한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모아상호작용, 어머니의 양육자신감 및 뇌성마비 아동의 독립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Barnard`s의 모델을 바탕으로 체계적 교수 설계 모형인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ntervention, Evaluation)단계를 거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단계는 재활병원에 외래 방문하는 유아기(만 1~3세) 뇌성마비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와 아동에게 문헌고찰,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을 개발한 방법론적 연구이며, 2단계는 이를 적용하여 모아 상호작용, 어머니의 양육자신감, 아동의 독립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연구로 설계되었다.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은 사전평가 및 도입 3회기, 중재 7회기, 사후평가 및 종결 2회기의 총 12회기로 교육 기간은 2014년 4월 7일 ~ 6월 9일이었다. 각 주차 별 내용은 도입에는 10분간 대상자와 아동과 인사하고 이전의 프로그램 적용 정도를 점검하도록 하고, 활동 기간에는 25분간 목표와 중재전략에 따른 중재에 대한 상호작용 방법 및 설명을 시행하였다. 종결 기간에는 5분간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 다음 주차까지 지속적으로 시행해 볼 수 있도록 과제를 제시하였다.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 시행 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신체적, 정신적 건강 수준과 교육 수준, 대처 정도를 측정하였고, 뇌성마비 유아의 경우 일반적 특성, 아동의 기질을 측정하였고, 양육 환경은 Infant/Toddler HOME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남편지지 및 주위사람 지지의 사회적 지지 정도도 측정하였다.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 시행 전, 후에 모아상호작용은 일상 중에 상호작용하는 장면을 10분간 비디오로 촬영하였으며,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 시행 전, 후에는 어머니의 양육자신감, WeeFIM을 측정하였다. 뇌성마비 아동의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의 평가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및 Chi-square, Fisher`s exact, REPEATED MEASURES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아동주도의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부모교육프로그램 중 관계중심중재 방법을 이용하였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를 위한 연구가설 검증 결과, 뇌성마비 유아를 돌보는 어머니를 위한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의 효과는 K-MBRS에서 반응성 행동 요인, 지시성 행동 요인에서는 그룹(F=12.89, p=.001, F=5.71, p=.002), 시간에 따라 효과가 있었으며(F=69.86, p=<.001, F=13.32, p=.001), 시간과 그룹에 대한 교호작용에서도 효과가 있었으며(F=62.10, p=<.001, F=18.36, p=<.001), 효율성 행동 요인은 시간(F=12.14, p=.002), 시간과 그룹의 교호작용에 효과가 있었고(F=10.12, p=.004), K-CBRS에서 활동적 행동 요인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F=36.978, p<.001), 시간과 그룹에 대한 교호작용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36.98, p<.001), 사회적 행동요인은 시간에 따른 효과만 있었다(F=20.93, p=.587). 어머니의 양육자신감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그룹(F=7.27, p=.012), 시간(F=151,70, p=<.001), 시간과 그룹의 교호작용(F=25.43, p=<.001) 모두에서 효과가 있었으며, 유아의 독립적 기능은 시간에만 효과가 있었다(F=151,70, 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뇌성마비 유아를 돌보는 어머니를 위한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은 모아상호작용을 부분적으로 증진시켰으며 어머니의 양육자신감을 향상시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유아기 뇌성마비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와 그 아동에게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 Barnard(1986)의 이론을 바탕으로 아동주도의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관계중심 프로그램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뇌성마비 유아를 위한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c.title.alternativeEffect and Development of Mother-Child Interaction Program for Toddlers with Cerebral Palsy-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Myung Nam-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