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463

Cited 0 times in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애착과 가족기능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nfluence of perceived attachment and family functioning on self-regulation of school aged children 
Authors
 신정은 
Issue Date
2014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 또래애착, 가족기능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아동이 올바르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이끄는 자기조절능력의 상관관계 및 그 영향 요인들을 확인하기위해 조사된서술적 탐색연구이다.연구 대상자는 충남 D광역시에 위치한 J 초등학교 1개교의 4,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4월 28일부터∼5월 10일까지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본 연구에 대한 설명문, 동의서, 설문지를 가정통신문과 함께 각 가정으로 37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총251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1.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자기조절능력은 5점 척도의 평균 평점 3.68점, 부모애착 3.93점, 또래애착 3.72점, 가족기능 3.75점이었다. 아동의 개인, 가족의특성과 자기조절능력의 차이에는 학업성적이 못하는 그룹에 비해 ‘매우 잘 한다’, ‘잘 한다’, ‘보통이다’의 그룹과(p=<.001), 건강상태가 ‘매우 좋다’의 그룹이‘보통이다’라고 응답한 그룹에 경우(p=<.001), 자기조절능력의 점수가 높았으며그 차이는 유의하였다. 가족의 특성 중 경제상태가 좋은 그룹(p=<.001), 아버지의 건강상태가 좋지 못한 그룹에 비해 ‘매우 좋다’고 응답한 그룹(p=<.001),어머니의 건강상태가 좋은 그룹(p=<.001), 아버지의 학력수준이 낮은 그룹에비해 높은 그룹에서(p=<.05)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본 연구에서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 또래애착, 가족기능과 자기조절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애착(p=<.001), 또래애착(p=<.001),가족기능(p=<.001)과 자기조절능력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나타냈다.3. 자기조절능력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족기능(p=<.001), 학업성적(p=<.001), 또래애착(p=<.001), 부모애착(p=<.05), 아버지의 학력수준(p=<.05)의 순으로 위의 독립변수들을 포함한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설명력은 57.5%(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학령기 아동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가족기능이 자기조절능력에 주요한 영향요인이며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가 되며, 자기조절능력의 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는 건강문제와 문제행동들에 효과적으로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99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