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1 921

Cited 0 times in

응급구조과 학생들의 외상환자 평가 및 처치 시뮬레이션 교육에 따른 학습효과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learning effect according to trauma patient assessment and treatment simulation education on EMT students 
Authors
 서혜진 
Issue Date
2014
Description
건강증진교육전공/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외상환자 평가 및 처치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응급구조과의 학생들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설계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의 응급구조과 92명 중에서 실험군 33명 대조군 3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14년 3월 3일부터 3월 28일까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환자의 평가와 처치와 관련된 시나리오 2종을 개발하여 SimMan 시뮬레이터에 적용하여 외상환자 평가 및 처치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 활용하였다. 교육 대상자들에게 교육 전 외상환자 평가와 처치에 관련된 지식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편성 후 실험군에게는 1주차에는 이론 강의를 2주차와 3주차에는 개발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SimMan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외상환자 평가 및 처치 교육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1주차에는 이론 강의를 2주차와 3주차에는 개발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외상환자 평가 및 처치 이론 교육을 제공하여 3주차 교육이 끝난 후 바로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외상환자 평가 및 처치 지식 측정도구와 교육 만족도 조사도구는 연구의 틀에 맞도록 본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4.0 통계 패키지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 집단별 평균분석, Levene 동질성 검증, t-test, chronbach’s α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제1가설 : ‘SimMan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방법으로 외상환자 평가와 처치에 대한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강사 주도의 이론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외상환자 평가와 처치에 대한 지식점수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에 대하여는 사후 지식측정에서 지식 점수가 실험군 14.45±2.68점, 대조군 12.73±2.80점으로 측정되어 실험군의 지식 점수가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아 가설 1은 채택되었다(p<0.05).2) 제2가설 : ‘SimMan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방법으로 외상환자 평가와 처치에 대한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강사 주도의 이론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교육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에 대하여는 교육 만족도 점수가 실험군 41.27±3.91점, 대조군 37.00±8.51점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외상환자 평가 및 처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강사 주도의 이론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교육 만족도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아 가설 2는 채택되었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SimMan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외상환자 평가 및 처치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받은 군이 기존의 강사 주도의 이론 교육 방법을 받은 군보다 외상환자의 평가와 처치에 대한 지식과 교육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SimMan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외상환자 평가 및 처치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방법이 응급구조과 학생들의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교육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01323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98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