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5 846

Cited 0 times in

하악 비대칭과 전후방 골격관계에 따른 악관절 내장증의 발현 빈도

Other Titles
 (The) prevalence of temporomandibular joint internal derangement according to mandibular asymmetry and anteroposterior jaw relationship 
Authors
 류다정 
Issue Date
2014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성장기에 나타나는 편측성 또는 양측성의 측두하악장애는 하악과두 및 하악지, 하악체의 성장 억제, 보상성 상악골의 변화 등을 야기시켜, 상하악 복합체의 좌우, 전후방적 부조화로 인한 안면 비대칭이나 하악 후퇴증 등의 악안면 기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 반대로 다른 원인들로 인하여 발생한 악안면 기형이 좌우 악관절의 역학적 안정성에 영향을 주어 악관절 내장증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렇듯 그 인과 관계는 불분명 하나 악안면 기형과 측두하악장애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며, 이는 이전의 여러 연구들에서도 많이 밝혀져 왔다.본 연구는 하악 비대칭 및 전후방 골격 관계로 대변되는 정모, 측모 상의 다양한 안면골 외형에 따라 개인별, 관절별로 나타나는 악관절 내장증의 발현 양상 및 빈도를 알아보기 위한 조사로서, 2007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골격성 부정교합이나 안면 비대칭, 또는 측두하악장애를 주소로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 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 내원한 자 중, 진단을 위하여 후전방,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 검사 및 자기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 받은 1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전방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정중 시상면에 대한 경조직 이부 중심 편위의 정도에 따라 비대칭군과 대칭군으로 분류하였고,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상하악의 전후방적 골격 관계에 따라 골격성 I급, II급, III급 군의 3가지 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에 속한 자들의 자기공명영상에서의 양측 악관절 내장증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 비대칭군에서
하악골의 편위 방향에 따른 각 관절의 악관절 내장증의 심도를 비교하고,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각 관절에서 악관절 내장증의 심도에 있어 전후방 골격 관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Chi-square test 또는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군 간 차이의 유의성을 확인하였고, 오즈비(OR)를 군 별로 계산하여 악관절 내장증이 발생할 상대적 위험비를 조사하였다. 하악 비대칭에 따른 악관절 내장증의 발현 빈도 조사에서, 비대칭군은 대칭군에서보다 편측성 악관절 내장증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01, OR=4.018). 전후방 골격 관계에 따른 조사에서는, 대칭군의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군에서 골격성 I급, III급 군에 비하여 편측성, 양측성 비복위성 악관절 내장증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심한 악관절 내장증의 높은 빈도를 보였다(OR=7.217, 25,941). 비대칭군에서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각 관절을 비교하였을 때, 편위측은 비편위측보다 심도의 악관절 내장증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01, OR=9.303).본 연구는 다양한 양상의 악안면 기형 환자에서 비대칭의 유무 및 편위 방향, 그리고 측모에서의 전후방 골격 관계에 따른 악관절 내장증의 발현 양상 및 빈도를 개인별, 각 관절별로 조사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고, 이는 임상적으로 골격성 기형 환자의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에 있어 악관절 내장증 발현에 대한 예측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01321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97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