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 431

Cited 0 times in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시 3차원 연조직 안모 예측을 위한 경조직 계측점 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of hard tissue landmarks for three-dimensional prediction of soft tissue profile following class III orthognathic surgery 
Authors
 노연주 
Issue Date
2014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악교정 수술 환자의 경우 수술은 경조직 상에서 행해지지만, 실제 변화는 연조직 상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수술 전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연조직 변화량을 정확히 예측하여 수술계획을 세워야 한다. 이번 연구는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후 3차원 연조직 형태 변화 예측을 위한 기준점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CBCT를 이용하여 정중시상 영역(midsagittal area)뿐 아니라 방시상 영역(parasagittal area)도 포함하여 주요 연조직 계측점 이동을 결정짓는 경조직 계측점을 찾고, 그 경조직 계측점 이동에 대한 연조직 계측점의 삼차원적 이동률을 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30명(남 18명, 여 12명)으로 평균나이는 21.4세(남 21.8세, 여 20.9세)이며 한 사람의 외과의사가 상악골은 LeFort I osteotomy, 하악골은 Bilateral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B-IVRO)를 시행하였다. 수술 1 주일 전(T1)과 수술 후 4주~8주(T2) 사이에 CBCT를 촬영하고 OnDemand software (CyberMed Inc., Seoul, Korea)를 이용하여 3D images로 재구성 한 뒤 수술 전후 영상을 중첩 하고 경조직 계측점과 연조직 계측점을 지정 및 측정,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상악의 경조직 계측점들은 상순 및 주위 연조직 계측점과 연관성이 낮았다. 반면 하악의 경조직과 연조직 계측점들은 연관성이 높았다. 2.입술관련 연조직 계측점인 Ls, Stms 는 M U1과 Z축(P<0.05)으로 연관성이 있었고, Cheilion은 L3 (하악 견치)와 연관성(P<0.01)을 보였으나, U3 (상악 견치)와는 연관성이 없었다. 3.정중 시상 영역에서 Sn는 ANS, A’는 A, Ls와 Stms는 M U1, Li와 Stmi는 M L1, B’는 B, Pog’은 Pog과 연관성이 높았다. 4.방시상
영역에서 Alar base는 U3-A, Ch은 L3, Ch-B는 L3-B, Ex-Ch은 L3와 연관성이 높았다. 5.경조직 이동에 대한 연조직 이동률은 안면의 중앙부위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6.시상 및 방시상 영역의 연조직 이동률은 악교정 수술의 치료계획 수립 및 삼차원적인 결과 예측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01321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96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