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652

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사회불안장애에서 내재 기능적 연결성 분석을 통한 인지적 편향의 뇌 기반 규명

Other Titles
 Neural correlates of cognitive bias revealed by intrinsic functional connectivity in social anxiety disorder 
Authors
 김진성 
Issue Date
2014
Description
의과학과/석사
Abstract
사회불안장애에서 인지적 특성의 내재적 측면에 대한 신경 이상의 이해는 깊지 않다. 다른 기능 뇌 영상 연구들을 통해 편도와 대상피질의 중요성이 제기되었으나, 사회인지적 정보 처리의 내재적 편향에 초점을 둔 연구는 없었다. 19명의 사회불안장애 환자와 20명의 정상인으로부터 얻은 휴지상태 기능자기공명 영상으로 편도 하위영역(기저외측부, 중앙내측부, 천측부) 및 무릎주위전측대상피질 중심의 기능적 연결성을 측정하여 집단간의 차이를 살펴보았고, 두 집단간의 차등적인 편도 하위영역 중심의 연결망은 뇌 전반에 걸쳐 나타났다. 특히 편도-대상피질 경로는 편도 천측부에서만 편향이 관찰되었으며, 편도 천측부와 무릎주위대상피질 간의 기능적 연결성은 리보이쯔 사회불안 척도의 하위척도와 상관을 보였다. 또한 무릎주위대상피질 중심의 기능적 연결구조에서도, 사회불안장애의 자기초점화 주의 양상과 관련이 있는, 비정상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불안장애의 내재적 인지 편향 모델의 이해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편도 천측부-전측대상피질 연결과 무릎전측대상피질의 연결 구조의 이상은 사회불안장애에서 사회적인 의미가 있는(socially-relevant) 정보의 인지적 처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96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