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6 583

Cited 0 times in

품사 산출 양상에 따른 노년층의 발화 특성

Other Titles
 Utterance characteristics in normal elderly via analysis of patterns of word class production 
Authors
 김지영 
Issue Date
2014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자발화 과제에서 품사 산출 양상을 통해 노년층의 발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일반 노년층 35명과 청년층 35명의 자발화를 품사 분류의 세 가지 기준인 형식, 기능, 의미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때, 각 품사가 실제로 사용된 빈도수인 토큰(token)과 개별 품사 유형의 출현 빈도인 타입(type), 그리고 어휘다양도(type-token ratio: TTR)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 형식적 분류의 품사에서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가변어에서는 토큰과 타입 모두 더 적게, 불변어에서는 토큰과 타입 모두 더 많이 사용하였다. 이때 가변어의 어휘다양도는 노년층이 더 낮게 나타났다. 기능적 분류에서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체언에서는 토큰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나, 용언에서는 토큰과 타입 모두 적게 사용하였다. 이때 용언의 어휘다양도는 노년층이 더 낮았다. 수식언에서는 토큰을 더 적게, 독립언에서는 토큰을 더 많이 산출하였다. 의미적 분류에서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대명사에서는 토큰과 타입 모두 더 많이 산출하였고, 동사에서는 토큰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이때 동사의 어휘다양도는 노년층이 더 낮게 나타났다. 형용사에서는 토큰과 타입 모두 청년층보다 더 적게, 부사도 토큰과 타입 모두 더 적게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감탄사에서는 노년층이 더 많은 타입을 산출하였다. 추가 실험으로, 노년층에서 산출이 적었던 용언과 가변어에 대해서 구체적인 사용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관형적 용법, 서술적 용법으로 나누어 각 집단에서 용법 사용의 비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관형적용법보다 서술적 용법의 사용 비율이 더 높았다. 본 연구에서 노년층의 용언 사용에서 토큰과 타입이 모두 줄어든 것은 가변어인 용언 활용에서 어려움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동사는 노년층이 토큰을 더 많이 산출함에도 타입에는 차이가 없었고, 어휘다양도도 낮았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동사가 아닌 같은 단어를 반복하여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용언에서 동사의 사용이 늘어났음에도 형용사의 사용이 줄어든 폭이 훨씬 컸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용언은 줄어들게 되었다. 이를 통해 형용사의 사용 비율이 전체 용언의 비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형용사의 특징이 주로 상태를 서술하고 주관적인 가치 판단을 내포하며 표현을 풍부하고 세밀하게 해준다는 것을 고려할 때, 노년층의 발화에서 위와 같은 점이 부족한 경향성을 볼 수 있다. 또한 노년층은 용언의 사용에서 관형적 용법이 적고 서술적 용법이 많은 점을 보아, 용언을 사용할 때 체언을 수식하고 한정하는 용법의 사용이 힘들고, 서술하는 용법의 사용을 더 수월하게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품사 산출 양상이 달라진다는 것을 밝히며, 품사의 세 가지 분류방법을 통해 여러 측면에서 그 특징을 분석한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품사 산출의 토큰, 타입, 어휘다양도를 측정하여 양적 측면뿐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도 발화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품사 산출 양상에 대해 연령뿐 아니라 교육년수, 성별의 영향을 반영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더 나아가 발화단위에
따른 용언의 사용 분석을 통한 문장구성 능력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01320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95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