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0 1615

Cited 0 times in

신체적, 정신적 장애유형과 정도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우울감의 관련성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depending on types and degree of physical disability and psychological disorder 
Authors
 권이영 
Issue Date
2014
Description
건강증진교육전공/석사
Abstract
연구배경: 장애로 인한 신체적 기능저하로 독립적인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저하되면 다른 사람의 도움 및 사회적, 환경적 지원이 필요로 하게 되며 심리적박탈감, 좌절감을 경험하면서 우울증상 여부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장애인의 특정유형만을 대상으로 하여 일상생활수행능력과우울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나, 이 연구는 등록장애인을 대상으로 신체적, 정신적 장애유형과 정도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양상을 파악하고 우울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제 6차 한국복지패널조사완료를 기준으로 한 총14,696명에서 만 18세 미만과 비장애인 및 보훈처 등록장애인을 포함한 시 군구청에 등록되지 않은 장애인을 제외한 1,189명을 대상으로 장애유형에 따라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구분하고 장애정도에 따라 중증, 경증을 나누어 신체적 중증 장애인 395명, 신체적 경증 장애인 684명, 정신적 중증 장애인 11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우울감으로 우울척도 CES-D scale를 사용하였고 독립변수로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기본적, 수단적으로 나누어 도움정도에 따라 독립 수행, 부분 도움, 완전 도움으로 구분하였다. 인구사회학적요인, 생활습관 및 실태 만족도, 장애관련 요인을 조사하였다.결과: 신체적 중증 장애인은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 도움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우울감이 높아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신체적 경증 장애인에- viii -서는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 모두 도움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우울감이 높아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신적 중증장애인은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 도움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우울감이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신체적, 정신적 장애유형과 정도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우울감의 관련성 관련 변수에서 배우자 유무, 주거환경 만족도, 가족관계 만족도가 유의한변수로 나타났다. 배우자가 있는 군은 기본적 일상생활수행에서는 우울증을가지고 있을 위험이 76% 낮았으며(OR=0.24, 95% 신뢰구간, 0.09-0.65),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에서는 우울증을 가지고 있을 위험이 77% 낮았다(OR=0.23,95% 신뢰구간, 0.08-0.93). 주거환경 불만족인 경우 기본적 일상생활수행에서우울증을 가지고 있을 위험이 3.63배 높았고(OR=3.63, 95% 신뢰구간,1.09-5.10), 수단적 일상생활에서 우울증을 가지고 있을 위험은 4.04배였다(OR=4.04, 95% 신뢰구간, 3.20-5.57). 가족관계 불만족인 경우 기본적 일상생활에서 우울증을 가지고 있을 위험이 7.22배였고(OR=7.22, 95% 신뢰구간,5.90-9.38), 수단적 일상생활에서 우울증을 가지고 있을 위험은 6.69배였다(OR=6.69, 95% 신뢰구간, 4.79-8.95).결론: 신체적, 정신적 장애유형과 장애 정도의 장애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이고접근성이 있는 재활계획 및 중재방안을 세움으로써 지역사회통합을 실현하여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01316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92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