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1 828

Cited 0 times in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외래진료의 지속성과 입원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association between continuity of ambulatory case and hopital admission in the patients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uthors
 조경희 
Issue Date
2014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당뇨병은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생활습관의 개선, 약물치료, 합병증에 대한 조기대처를 통해 효과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이다. 이는 지속적인 관리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국내에서 진료의 지속성과 건강결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당뇨병환자에서 진료의 지속성과 입원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둘째, 지속성을 측정하는 여러 지표 중 어느 지표가 우리나라 당뇨병환자의 의료이용행태와 진료의 지속성 수준을 잘 반영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자료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배포한 2009년의 환자표본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주상병이 당뇨병으로 외래를 이용한 만 19세 이상의 성인환자였으며, 1년동안 외래 총 방문횟수가 4회 이상인 환자 1,370,127명이었다. 종속변수는 당뇨병으로 1일이상 입원의료서비스를 이용한 여부로 정의하였다. 진료의 지속성 수준은 UPC(Usual Provider Care), COC(Continuity of Care), SECON(Sequential Continuity of Care), ICOC(Integrated Continuity of Care)의 4가지 지표로 측정하였고, 입원여부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나는지를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지속성 수준을 포함하여 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지표 별 지속성 수준를 기술하고, 지표 별, 지속성 수준 별 입원 위험도를 평가하였으며, 입원위험도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지속성 지표를 파악하였다.입원여부에 따라 모든 변수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고, COC로 측정한 지속성수준을 이분형으로 범주화한 것을 포함하여 모든 변수를 보정한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에서는 입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연령, 성별, 의료보장형태, 질환의 중증도, 혈당강하제의 병용 수, 혈당강하제 유형, 당뇨병과 관련한 외래에서 시행한 검사 수, 외래 주 이용기관유형, 처방일수, 지속성 수준이었으며, 지속성 수준이 안 좋을 때 입원에 대한 위험도는 2.44(2.17-2.75)배 증가하였다.4가지 지표로 측정한 지속성 수준을 1.00, 0.76-0.99, 051-0.75, 0.26-0.50, 0.00-0.25로 5개의 범주로 분류하여 입원위험도를 평가한 결과에서는 4가지 지표 모두에서 지속성 수준이 낮을수록 입원위험도가 증가하는 경향성이 있었고, UPC, COC, SECON, ICOC의 입원에 대한 설명력으로 표현되는 AUC는 각각 0.597, 0.598, 0.593, 0.597로 COC가 가장 컸으나, 지표 간 큰 차이는 없었다.이 연구결과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의원급 만성질환관리제’에 대한 근거로서 제시될 수 있으며, COC가 입원위험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지표로 평가되었으나 지표 별 예측력에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므로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의 지속성 수준을 측정하는데 이 연구에서 제시한 4가지 지표 모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지속성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 별로 강조하는 관점이 다른 만큼, 향후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정부의 정책 변화에 따라 지표를 선정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01312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88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