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33 1504

Cited 0 times in

응급실 도착전 사망(death on arrival [DOA]) 환자 가족의 경험과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 조사

Other Titles
 Family experiences and unmet needs with DOA(death on arrival) in emergency department 
Authors
 임지혜 
Issue Date
2014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DOA(death on arrival [DOA])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DOA 환자 가족의 경험과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응급실 실무에 적용하여 의료진들의 DOA 환자 가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DOA환자 가족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본 연구는 조사연구로서 DOA 환자 가족 6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문항을 선택하여 전문가 12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은 설문지로 DOA 환자 가족의 신체적 경험, 정신적 경험, 사회적 경험과 의료진에 대한 정보요구, 정서적 요구, 참여요구를 측정하였다. 2013년 8월 5일부터 2013년 12월 7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PASW SPSS 18.0을 이용하여 DOA 환자 가족의 일반적 특성, DOA 환자 가족의 경험,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 일반적 특성에 대한 DOA환자 가족의 경험과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방법으로 일반적 특성은 평균과 실수를 이용하여 구했으며 DOA 환자 가족의 경험과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DOA 환자 가족의 경험과 요구도는 t-test와 ANOVA, Scheffe 사후검정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1. DOA 환자 가족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결혼상태, 종교, 고인과의 관계, 응급실 체류시간, 고인의 사망을 알게 된 경위, 고인의 사망원인, 고인에 대한 사망예측 여부, 고인의 사망에 대한 준비상태를 조사하였다. 결혼상태는 미혼, 기혼, 사별로 나누어 보았으며 고인과의 관계는 촌수를 중심으로 무촌, 1촌, 2촌이상으로 나누었다. 고인의 사망을 알게 된 경위로는 직접적으로
고인과 함께 온 경우와, 간접적으로 고인의 사망 소식을 의료진으로부터 접한 경우와 가족 및 지인으로부터 사망소식을 접한 경우로 나누어 보았다. 고인의 사망원인으로는 사고와 질병이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 자연사와 만성질환은 제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말하는 질병은 사망 후 의사로부터 사망선고를 받은 진단명을 말한다.2. DOA 환자 가족의 전반적인 응급실 경험은 4점 만점에 평균 2.70점이었으며 그렇다 3점에 가까운 평균점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DOA 환자 가족은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경험의 정도가 없는 것 보다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각 항목별 평균점수는 4점 만점에 정신적 경험 2.89점 신체적 경험 2.63점, 사회적 경험 2.61점이었으며 DOA 환자 가족은 정신적 경험의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경험의 정도가 가장 낮았다.3. DOA 환자 가족의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는 4점만점에 평균 3.09점이었으며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 사이의 점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정보요구, 참여요구, 정서적요구의 정도가 전반적으로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각 영역의 평균점수는 4점만점에 정보요구 3.33점, 참여요구 3.05점, 정서적 요구 2.80점이었으며 정보요구의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정서적 요구의 정도가 가장 낮았다.4. 일반적 특성에 따른 DOA 환자 가족의 경험에서 결혼상태(F=7.206), 고인과의 관계(F=3.797), 고인의 사망원인(t=-2.375), 고인의 사망 예측여부 항목(F=7.527)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성별, 연령, 종교, 응급실 체류시간, 고인의 사망을 알게 된 경위, 고인의 사망에 대한 준비상태, 고인의 사망 후
경과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5. 일반적 특성에 따른 DOA 환자 가족의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에서 성별(t=-2.091), 결혼상태(F=5.270), 고인과의 관계(F=3.299)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연령, 종교, 응급실 체류시간, 고인의 사망을 알게 된 경위, 고인의 사망원인, 고인의 사망 예측여부, 고인의 사망에 대한 준비상태, 고인의 사망 후 경과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이상의 연구결과로 DOA 환자의 가족은 경험에서 정서적 경험의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에서 정보요구의 정도가 가장 높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DOA 환자 가족의 경험에서 결혼상태, 고인과의 관계, 고인의 사망원인, 고인의 사망예측여부 항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에서는 성별, 결혼상태, 고인과의 관계 항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DOA 환자 가족의 경험과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추후 이들을 돕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Files in This Item:
T01311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87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