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1022

Cited 0 times in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서 근전도 조절 전기 자극치료와 경두개 직류 전류 자극치료가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 of EMG controlled electrical stimulation an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tDCS) on hemiplegic upper extremity func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13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아급성기 또는 만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마비된 상지에 일정기간 근전도 조절 전기 자극과 경두개 직류 전류 자극을 함께 적용하였을 때 근전도 조절 전기 자극만 시행한 군과 비교하여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환자의 운동 기능 회복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가 있는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7명, 대조군 5명으로 나누어 실험군은 이환측 노쪽손목폄근(Extensor Carpi Radialis(ECR))에 근전도 조절 전기 자극(EMG controlled electrical stimulation)과 함께 경두개 직류 전류(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tDCS))를 시행하였으며 대조군은 근전도 조절 전기 자극만 시행하였다. 실험 전과 4주간의 실험 종료 후 기능적 평가 및 정량적 근전도 검사를 시행하여 실험 전 후의 상지 기능을 평가 하였다. 손가락 폄근에서 시행한 정량적 근전도 결과 근전도 조절 전기 자극과 경두개 직류 전류 자극을 함께 시행한 군에서 onset delay가 0.175±0.090초 감소하였으며 근전도 조절 전기 자극만 시행한 군에서는 0.011±0.079초 감소하여 경두개 직류 전류를 함께 시행한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p=0.004)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근전도 조절 전기 자극과 경두개 직류 전류 자극을 함께 시행한 경우 손가락 폄근에서 자극에 반응하여 수축하는 속도가 의미 있게 빨라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 외 상지 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적 평가와 자극에 반응하는 속도를 측정한 정량적 근전도 검사 대부분에서 근전도 조절 전기 자극과 경두개 직류 전극 자극을 함께 적용하였을 때 근전도 조절 전기 자극만 적용한 군과 비교하여 호전 정도가 큰 결과를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뇌졸중 이후 근전도 조절 전기 자극과 경두개 직류 전류 자극을 함께 적용하였을 때 상지 기능이 회복되는 정도를 임상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정량화되고 표준화된 여러 가지 검사 방법을 통하여 확인 하였으며 특히 전기 생리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근육 조절 능력을 확인한 연구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13929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60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