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1 1021

Cited 0 times in

장염비브리오균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TDH) 단백질의 숙주세포사멸에 있어서의 역할

Other Titles
 (The) effects of Vibrio parahaemolyticus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on the host cell death 
Authors
 이종웅 
Issue Date
2011
Description
의과학과/석사
Abstract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은 호염성 그람 음성균으로 해수나 해산물에 서식하며, 인체감염이 일어난 경우 급성 식중독 및 장염을 일으킨다. 장염비브리오균은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TDH)라는 독력인자를 생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TDH는 혈액배지에서 hemolysis를 일으키며, 이는 카나가와 현상(Kanagawa phenomenon; KP)이라고 불리우고 있다. 완벽하게 밝혀진 장염비브리오균 RIMD2210633 종에 대한 유전체 염기 서열조사 결과, TDH는 두 개의 tdh 유전자인 tdhA와 tdhS에 의해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본 연구에서는 TDH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tdhA와 tdhS 유전자가 제거된 돌연변이 장염비브리오균을 제작하였다. 야생종 장염비브리오균과 tdhAtdhS 돌연변이 장염비브리오균을 이용하여 비교실험한 결과, tdhAtdhS 돌연변이 장염비브리오균의 hemolytic 활성도가 대부분 사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Hep-2 세포에 장염비브리오균을 처리하여 시간의존적으로 관찰하였을 때 tdhAtdhS 돌연변이 장염비브리오균은 야생종 장염비브리오균에 비해 전체적인 시간대에서 현저히 낮은 세포독성능을 나타냈다. 추가적으로 장염비브리오균이 세포독성을 일으키는 이 과정에 있어서 caspase가 관여되어있지 않음을 pan-caspase inhibitor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나아가 장염비브리오균 의해 유도되는 HEp-2 세포 사멸과정은 apoptosis 방식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annexin V staining을 이용하여 볼 수 있었으며, 이 중 tdhAtdhS 돌연변이 장염비브리오균을 처리한 경우 야생종 장염비브리오균에 비해 30%정도 낮아진 수준의 apoptosis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마우스 모델을 통해 장염비브리오균의 병원성을 살펴보았을 때 야생종 장염비브리오균은 15시간 이내에 100%의 치사율을 보인 반면, tdhAtdhS 돌연변이 장염비브리오균은 25시간이 지난 후에도 25%의 치사율만을 보였다. 앞선 실험과정에서 tdhAtdhS 돌연변이 장염비브리오균 뿐만 아니라 tdhA 돌연변이 및 tdhS 돌연변이 장염비브리오균도 야생종 장염비브리오균에 비해 세포독성이 상당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장염비브리오균의 두 tdh 유전자 promoter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TDH는 주로 tdhA 유전자의 발현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로 장염비브리오균 TDH는 세포독성에 관련한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도를 나타내며, 장염비브리오균이 질병을 일으키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병원성 인자라고 여겨진다.
Files in This Item:
T01231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07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