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977

Cited 0 times in

연하 곤란이 동반된 급성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장관 영양 프로토콜 개발 및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성희-
dc.date.accessioned2015-12-24T08:42:14Z-
dc.date.available2015-12-24T08:42:14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029-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연하 곤란이 동반된 급성 뇌졸중 환자의 효과적인 영양 요법을 위한 근거 기반의 실무 지침을 마련하고 이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도 되었다.연구 방법은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장관 영양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와 이의 효과를 검증하는 유사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장관 영양 프로토콜의 개발은 임상 질문에 대해 기존 장관 영양 가이드라인에서 뇌졸중 환자와 본 임상 현장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는 권고안을 선택하는 수용개작 단계와 이에서 해결되지 않은 임상 질문에 대해 문헌 고찰을 통해 개발하는 단계를 통합하여 예비 장관 영양 프로토콜을 도출하였고, 이에 대해 전문가 타당도와 사용자 및 대상자의 임상 적용 가능성 평가를 통해 최종 장관 영양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최종 43개의 권고안을 포함한 예비 장관 영양 프로토콜을 작성하였고,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일부 수정, 보완하여 전체 S-CVI 가 0.99인 장관 영양 프로토콜을 완성하였다.개발된 프로토콜의 효과 평가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시차 설계를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1주일 동안 목표 영양 요구량 도달률과 영양 장애, 흡인성 폐렴 및 위장관계 합병증 발생에 두 군 (대조군 17명, 실험군 16명)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에서 1주일 동안의 목표 영양 요구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R2=0.238, p=0.001), 영양 장애(χ2=1.59, p=0.30), 흡인성 폐렴(χ2=1.01, p=0.60) 및 위장관계 합병증(χ2=3.69, p=0.084) 발생은 감소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결론적으로 본 연구로부터 연하 곤란이 동반된 급성 뇌졸중 환자를 위해 개발된 장관 영양 프로토콜은 임상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섭취량을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위장관계 합병증 발생 감소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향후 의료진 개인이나 조직 측면에서 이런 근거 기반 가이드라인 적용의 장애 요인은 없는지 평가하고, 이를 개선하여 임상 현장에 잘 정착시키려는 전략과 노력이 환자의 장단기적인 임상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연하 곤란이 동반된 급성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장관 영양 프로토콜 개발 및 효과-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nteral nutrition protocol for acute stroke patients with swallowing difficulty-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11381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u, Sung Hee-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