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6 539

Cited 0 times in

지역사회 거주 노인여성에서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와 신체 기능 지수와의 연관성

Other Titles
 Serum adiponectinlevel is an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physical performance in community dwelling old women 
Authors
 김현미 
Issue Date
2011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연구 배경 및 목적 노인들의 신체기능은 노년의 삶의 질이나 노화 관련질환의 발생과 예후 등에 직결된다. 따라서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해 노인의 신체기능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찾고 관리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디포넥틴은 지방조직에서 가장 많이 분비되는 아디포카인이며, 지질 및 당대사 그리고 인슐린저항에 관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디포넥틴은 항염증, 동맥경화의 경감 작용이 있어 심혈관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근육의 지방산 산화작용을 촉진 시켜 세포내 지질 농도를 감소 시키고 간에서 당 배출을 저하 시켜 신체내 에너지 균형 및 대사에 좋은 영향을 준다. 본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여성에서 신체기능 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특히 아디포넥틴이 신체기능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증, 인지기능, 신체기능 지수에 관련된 인자를 알아 보기 위한 연세노화연구의 일부로 시행되었다. 총 136명의 여성 노인 (평균나이 73.9±7.0)을 대상으로 체지방 분석, 지질 표지자, 공복 혈당, 공복 인슐린 농도, 인슐린양 성장인자-1, 코르티졸, C- 반응 단백, dehydroepiandrosterone-sulfate (DHEA-S), 25-(OH) 비타민 D, 그리고 아디포넥틴을 측정하였다. 또한 건강 생활 습관은 흡연, 음주, 운동에 대해 설문 하였고 우울증은 15문항의 노인우울 척도로 인지기능 장애는 한국어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로 측정하였다. 신체기능 지수는 보행 속도, 의자에서 일어서기 횟수, 그리고 일자 서기 등의 세 항목을 측정하여 사분위수에 따라 각각 4점씩 최고 12점 만점으로 계산하였다. 결과 신체기능지수는 MMSE 점수, 아디포넥틴 농도, 노인우울 척도,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코르티졸, C-반응 단백, 지방량, 제지방량, 체질량지수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신체기능 지수의 4분위수를 기준으로 4군으로 나누었을 때 가장 낮은 군의 아디포넥틴 농도는 다른 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관련인자를 독립변수로 또한 신체기능 지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별 다중 선형 회귀 분석을 한 결과 아디포넥틴 농도, 노인우울 척도 점수, 지방량 등이 혼란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노인 우울 척도, 지방량은 지역사회에 60세이상의 여성 노인에서 신체기능과 독립적인 연관성을 보였으며 이는 이들 인자들이 노인신체기능에 기여 인자일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T01220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96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