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8 530

Cited 0 times in

상용 금속 브라켓의 물리, 화학적 및 생물학적 평가

Other Titles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commercial metal brackets 
Authors
 김주형 
Issue Date
2011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최근 해외에서 제작되고 검증되지 않은 브라켓이 수입되고 있으나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브라켓에 대한 표준이 정해져 있지 않은 실정이며 국제 표준에도 브라켓 관련용어에 대해서만 규정할 뿐 구체적인 성질에 대한 고려는 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유통되는 다양한 교정용 금속 브라켓에 대하여 과학적인 평가 방법을 통해 물리, 화학적 및 생물학적 성질을 평가하였다. Archist(한국), Victory(미국), Kosaka(일본), Confidence(중국) 등 총 4개 종류의 브라켓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브라켓에 대하여 제조사에서 제시한 기준치에 맞는지를 알아보는 치수 정밀도 측정, 인체에의 유해성을 알아보는 세포독성 평가, 각 브라켓 재료의 성분분석, 인공타액 내에서 브라켓의 금속성분이 용출되는 양을 알아보는 용출시험, 전류를 이용하여 금속 브라켓의 부식저항성을 평가하는 부식시험을 시행하였다. Angulation의 제조 오차는 각 제품 간의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torque의 제조 오차는 Confidence에서 통계학적인 유의차를 보였다. 한천중층법을 통한 세포독성 시험에서는 모든 제품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성분 용출 시험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금속성분의 용출량은 일정한 양상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최종 누적 용출량은 증가하였다. 금속성분의 최종 누적 용출량에서 Archist는 Cr이 많이 용출되었고, Confidence는 Ni의 과다용출로 인해 전체 금속성분 용출량도 가장 많았다. 동전위분극 부식 시험에서는 Confidence에서 부식 저항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금속 브라켓의 여러가지 성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금속 브라켓의 물리, 화학적 및 생물학적 성질에 대한 표준을 정립하고 상용되는 브라켓의 평가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Files in This Item:
T01219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95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