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2 3448

Cited 0 times in

수술 전 환자의 불안간호를 위한 표준화환자 시나리오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standardized patient scenario on pre-operative patients' anxiety reduction for nursing students 
Authors
 김두리 
Issue Date
2011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수술실실습 운영의 제고를 위하여 수술 전 환자의 불안간호를 위한 표준화환자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적용 후 평가를 목표로 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시나리오 개발과정은 NANDA(The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 NIC(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 NOC(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의 ‘불안’에 대한 간호과정을 근거로 작성 한 후, 이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를 거쳤고, 개발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표준화환자 훈련을 시행하였으며, 훈련된 표준화환자를 활용하여 간호대학생의 간호과정 수행능력, 치료적 의사소통, 학습만족도에 대한 평가를 통해 개발된 시나리오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는 단계를 거쳤다. 본 연구의 시나리오 개발 및 평가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본 연구의 시나리오 주제는 KORN(Korea Association of Operating Room Nurses)과 AORN(Association of Perioperative Registered Nurses)의 수술 전 간호사의 역할 지침과 서울소재 3개 간호대학의 간호대학생을 위한 수술실 실습지침서를 통해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중 환자에 대한 불안간호 부재에 대해 인식하고 ‘불안간호’로 주제를 선정하였다. 주제에 따른 구체적 사례선정은 국민건강보험 보도자료, 통계청자료, 국제 암연구소 자료, 서울소재 Y대학병원의 일반외과 주요 수술 자료를 통해 다빈도 질환 및 수술 건수를 고려하여 위암으로 선정하였다. 2.시나리오 모범답안에 대한 내용타당도는 CVI 0.91를 나타냈고, 각 항목별 CVI는 0.83에서 1.00으로 모든 항목이 전문가의 합의를 이루었다. 전체 시나리오에 대한 적용가능성에 대한 타당도는 Waxman(2010)의 표준화환자 시나리오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각 문항별 평균 점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전체시나리오 적용가능성에 대한 타당도는 전체 평균 4점 만점 척도에서 3.5(±.1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3.표준화환자는 경력 8년차인 58세 여자로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훈련경험과 학생들에게 피드백 경험이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표준화환자에게 연구자가 2시간씩 3회 훈련을 시행하였다. 4.간호대학생 4학년 6명에게 표준화환자 시나리오를 적용한 결과 간호과정 수행능력은 100점 만점 중 전체평균이 84.8(±4.4)점, 치료적 의사소통에 대한 수행률은 전체 80%, 학습만족도는 4점 만점 척도에서 3.5(±1.2)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술 전 불안간호에 대한 시나리오는 간호대학생의 수술실실습에 있어 수술 전 환자의 불안간호와 같은 정서적지지 간호지침을 제공하여 간호학생들의 간호과정 수행능력, 치료적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킬 것이다. 추후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술 전 불안간호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대단위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연구 설계를 통해 시나리오 적용 전·후의 교육효과를 확인하기위한 연구를 제언한다.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11381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92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