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 947

Cited 0 times in

가정간호대상자 가족의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Other Titles
 Social support and stress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under home care nursing 
Authors
 서준영 
Issue Date
2012
Description
가정간호전공/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가정간호대상자 가족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가정간호대상자를 돌보는 가족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서울시 소재 3개 대학병원의 가정간호 사업기관에 등록된 가정간호대상자의 가족 111명을 대상으로 가정전문간호사가 가정 방문을 통해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011년 4월 20일부터 10월 14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로 가족 및 친구의 지지는 Brandt와 Weinert(1981)이 개발한 개인자원 질문지를 서미혜와 오가실(1993)이 번역하고 김은경(2003)이 수정·보완한 도구로, 가정전문간호사 지지는 김옥수(1993)가 개발한 도구 중 김경희(1996)가 수정·보완한 도구에서 의료인 지지 8문항을 간호대학 교수에게 의뢰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가족스트레스는 최은숙(1993)의 뇌졸중환자 보호자의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전문가 타당도의 검증을 거친 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가족기능은 Smilkstein(1979)이 고안한 가족기능 지수(Family APGAR)를 윤방부와 곽기우(1985)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정간호대상자 가족의 사회적 지지 정도는 최소 79점에서 최대 180점으로 분포하였고 평균 130.36(±17.83)점이었다. 가정간호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의식상태(F=7.87, p=.001), 가정간호 방문 횟수(t=2.60, p=.011)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정간호 방문 횟수가 주1회 이상인 그룹이 2주 1회 이하인 그룹보다 사회적 지지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의식상태가 명료한 가정간호대상자를 돌보는 가족의 사회적 지지 정도가 혼돈, 혼

미 또는 반혼수 상태의 대상자를 돌보는 가족의 사회적 지지 정도보다 높았다. 주1회 이상 가정간호 방문하는 그룹이 2주 1회 이하 방문하는 그룹보다 가족지지 정도(t=2.42, p=.017)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정간호대상자 가족의 특성과 사회적 지지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경제상태(t=-2.05, p=.043)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월수입 200만원 이상인 가족이 200만원 미만인 가족보다 사회적 지지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2. 가정간호대상자 가족의 스트레스 정도는 최소 41점에서 최대 128점으로 분포하였고 평균 80.25(±17.33)점이었다. 가정간호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가정간호 기간(F=4.62, p=.01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1-3년 미만인 그룹이 1년 미만인 그룹이나 3년 이상인 그룹보다 높게 나타났다.

3. 주요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정도의 관계(r=-.219, p<.05), 가족기능 수준과 스트레스 정도와의 관계(r=-.205 p<.05)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고 사회적 지지 정도와 가족기능 수준의 관계(r=.481, p<.01)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회적 지지 정도와 가정간호 방문횟수와의 관계(r=-.244, p<.05)는 부적인 상관관계, 가족기능 수준과 발병기간과의 관계(r=-.275,p<.01)와 가족기능 수준과 가정간호 기간과의 관계(r=-.255, p<.01)도 부적인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정간호대상자 가족의 스트레스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와 가족기능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수적임을 알수 있다. 치료 환경이 병원에서 가정으로 변화함에 따라 가정간호대상자 뿐 아니라 가족 또한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며 가정간호대상자를 포함한 가족을 하나의 대상자로 하는 다양한 간호중재 방안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11866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78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