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5 1485

Cited 0 times in

일부 초등학교 교실 내 공기청정기 사용에 따른 실내오염물질 저감효과 분석

Other Titles
 Implement of indoor air quality according to using air cleaner in classroom 
Authors
 박은우 
Issue Date
2012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실내공기오염으로부터 민감한 어린이들의 건강보호 차원에서 체류시간이 긴 교실을 대상으로 건강 위해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는 개선조치가 필요하며, 교사 내 적합한 공기정화장치를 구축하여 학교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해물질과 외부환경으로부터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선행 연구 결과를 통해 현 초등학교 실내공기질 수준 및 어린이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평가하고, 실내공기질 개선 도구인 공기청정기 사용에 따른 학교 실내공기질 저감 및 어린이 건강 영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 분석을 통해 공기청정기 사용이 초등학교 실내공기질 개선 도구로 적합한지에 대해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첫째, 실내공기질 개선 도구인 공기청정기 가동 전·후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는 각각 87ug/m3, 80ug/m3, 폼알데하이드 농도는 각각 26ug/m3, 24ug/m3로 교육인적자원부 학교보건법 환경기준치(100ug/m3)보다 모두 낮은 수준이었다. 공기청정기 가동 전·후 물질별 농도 차이는 미세먼지 7ug/m3, 폼알데하이드 2ug/m3로 공기청정기 가동에 따른 실내오염물질 농도 감소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지만(p<0.05), 이는 통계적 수치에 의한 것으로 절대적 수치에 의한 분석시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둘째, 학교보건법 환경기준치와 비교하여 각 물질별 공기청정기 가동 전에 측정된 농도를 참고기준치 초과그룹과 미만그룹으로 나누어 평가한 결과, 물질 모두 참고기준치를 초과하는 그룹에서 공기청정기 가동 전·후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는 각각 170ug/m3, 141ug/m3, 폼알데하이드 농도는 각각 126ug/m3, 81ug/m3으로 오염 제거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p<0.05). 하지만, 미세먼지의 경우 기기 가동 후에도 여전히 참고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준으로 조사되어 교실 내 공기청정기 사용이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저감시키는 도구로 적절하다고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셋째, 공기청정기 사용을 통한 실내오염물질 저감율과 실내공기질 개선에 대한 인식도 간의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이는 주관적인 의견이 내포되는 설문조사의 한계와 체류자들의 기기 가동에 대해 무관심 또는 실내 쾌적성을 체감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졌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공기청정기 가동 전·후에 따른 실내오염물질의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절대치 수치에 의한 분석시 저감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학교 내 공기청정기의 적용이 실내공기질 개선 및 관리의 적절한 도구로 평가할 수는 없었다.따라서 향후 중량분석을 통한 실내·외 공기의 동시측정을 기반으로 다양한 실내공기질 개선 도구간의 효과 분석을 통해 어린이가 체류하는 초등학교에 적절한 실내공기질 개선 도구에 대한 제안이 요구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Files in This Item:
T01200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76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