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1 629

Cited 0 times in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웹 사이트 평가기준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 health information Web site evaluation tool for diabetes mellitus 
Authors
 강세원 
Issue Date
2004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당뇨병은 만성질환으로서 정보에 대한 개별적 요구가 높고, 자가 관리에 치료의 방향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정보원으로서 인터넷의 웹 사이트 활용 시 정보의 적절성 여부는 건강증진과 관련하여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검증된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웹 사이트의 개발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웹 사이트 평가기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외 건강정보 웹 사이트 평가기준과 문헌 고찰을 통해 평가항목에 대한 예비내용을 웹 사이트 속성(attributes) 평가항목과 당뇨병 정보내용 평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예비내용의 평가항목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와 임상적용가능성을 검증 한 후 최종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웹 사이트의 평가기준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평가기준을 위한 예비내용을 국내외 웹 사이트 평가 기준과 문헌 고찰을 통해 웹 사이트 속성(attributes) 평가 9영역, 37항목과 당뇨병 정보내용 평가 7영역, 43항목을 선정하였다.



2. 예비내용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를 검증 결과 CVI(Index of content validity) 80%이상의 전문가 집단에서 합의를 이룬 항목과 전문가 집단에서 나온 의견들을 수렴하여 예비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전문가 타당도 검증 후 웹 사이트 속성(attributes) 평가 8영역, 28항목, 당뇨병 정보내용 평가 7영역, 42항목으로 정리되었다.



3. 타당도 검증 후 수정된 평가기준의 임상적용가능성 검증을 현재 제공되고 있는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웹 사이트 15개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임상적용 가능성 검증 후, 웹 사이트 속성(attributes) 평가 1항목, 당뇨병 정보내용 평가 4항목을 수정 또는 삭제하였다. 또한, 당뇨병 정보내용 평가는 항목별 ''내용의 구성요소 평가''와 영역별 ''정확성'', ''유해성'', ''이해가능성''에 대한 평가로 평가 기준이 수정되었으며, 평가내용의 구체적인 기준이 추가되었다.



4. 타당도와 임상적용가능성 검증을 통해 작성된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웹 사이트 평가기준은 웹 사이트 속성(attributes) 평가기준으로 ''목적성'', ''신뢰성'', ''상호 작용성'', ''최신성'', ''사용의 용이성'', ''기능성'', ''디자인'', ''비밀보장성''의 8영역, 28항목이 개발되었으며, 당뇨병 정보내용 평가기준으로는 ''당뇨병의 기본지식'', ''당뇨병의 치료'', ''당뇨병의 급성합병증'', ''당뇨병의 만성합병증'', ''당뇨병의 자가 관리'', ''특수상황의 당뇨병'', ''기타 당뇨병 관련정보''의 7영역, 40항목을 ''내용의 구성요소 평가''와 ''영역별 내용 평가''를 할 수 있게 개발되었으며, ''영역별 내용 평가''는 ''정확성'' 4문항, ''유해성'' 6문항, ''이해가능성'' 3문항의 평가기준들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제공에 있어 가이드 가인을 제시하여, 건강정보제공자 스스로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근법으로써,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웹 사이트를 평가하여 검증된 양질의 건강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또한 향후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웹 사이트의 개발방향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Recently, there has been a continuous increase in diabetes mellitus as a chronic disease, and the direction of treatment has focused on self care. The patients need individualized information, but the appropriateness of information on Internet Web site source, is an important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 information Web site

evaluation tool for diabetes mellitus in order to offer verified health information,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web sites.

A preliminary tool was developed using domestic and foreign web site evaluation standards for health information and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tool was composed of ''evaluation for web site attributes'' and ''evaluation for content information on diabetes mellitus''. Through expert validity tests and a feasibility test of the preliminary tool, the health information Web site evaluation tool for diabetes mellitus was final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 preliminary tool was developed using domestic and foreign web site evaluation standards for health information and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tool was composed of ''evaluation for web site attributes'' and ''evaluation for content information on diabetes mellitus''. For the ''evaluation for web site attributes'' 9 categories with 37 items were developed, and for the ''evaluation for content information on diabetes mellitus'' 7 categories with 43 items were developed.



2. After expert validity test, the preliminary tool was mod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items received expert validity of over 80% agreement and according to expert opinions. The ''evaluation for web site attributes'' was reduced to 8 categories with 28 items, and the ''evaluation for content information on diabetes mellitus'' was kept at 7 categories but with only 42 items.



3. As a feasibility test, 15 current sites for diabetes mellitus information were evaluated. After the feasibility test, 1 item for ''evaluation for web site attributes'', and 4 items for ''evaluation for content information on diabetes mellitus'' were deleted or modified. To the ''evaluation for content information on diabetes mellitus'' evaluation items on ''content component evaluation'', ''accuracy'', ''harmfulness'', and ''readability'' including concrete standards were added.



4. After the expert validity test and feasibility test, the health information Web site evaluation tool for diabetes mellitus was finalized. This evaluation tool included ''evaluation for web site attributes'' and ''evaluation for content information on diabetes mellitus''. ''Evaluation for web site attributes included ''purposefulness'', ''trustworthiness'', ''interactivity'', ''currency'', ''ease of use'', ''functionality'', ''design'', and ''privacy'' in 8 categories with 28 items. The ''evaluation for content information on diabetes mellitus'' included ''basic knowledge of diabetes mellitus,'' ''treatment'', ''acute complications'', ''chronic complications'', ''self care'', ''special circumstances in diabetes mellitus'', ''others diabetes mellitus information'' in 7 categories with 40 items. ''Evaluation component for content'' and ''evaluation of category content'' included 4 items on ''accuracy'', 6 on ''harmfulness'' and 3 on ''readability''.



From this study guidelines are propose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for diabetes mellitus, so that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will be able to offer consumers verified good quality health information themselves. This tool will be effective for consumers to verify health information. It also provides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web sites.
Files in This Item:
T00798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Yonsei Authors
Kang, Se Won(강세원)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79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