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 378

Cited 0 times in

The development of Controlled Releasing Drug (CRD) device for root canal disinfection

Other Titles
 약물 제어 방출형 근관 소독재의 개발 
Authors
 복영빈 
Issue Date
2004
Description
Dept. of Dentistry/석사
Abstract
[한글]

치수 치근단 병변의 주요한 원인은 세균이지만, 근관 세정 및 성형 후에도 이러한 세균이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부가적인 근관 소독제의 역할이 필요하다. Enterococcus faecalis는 근관 치료 실패의 주요 원인 균으로, 통상적인 근관 소독제인 calcium hydroxide에도 저항성을 나타내므로 최근 이에 효과적인 chlorhexidine gluconate(CHX)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CHX가 근관 세척제로 사용되어 짧은 시간 동안 dentin 표면에 접촉하게 되면, 그 효과가 줄어들게 되므로, 일정 기간 서서히 방출될 수 있는 제어 방출형 약물 전달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번 실험의 목적은 chitosan,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lactide-co-glycolide(PLGA) 등의 biopolymer 를 이용하여 CHX를 제어 방출하는 근관 소독제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80번 ISO size paper point (Sure-Endo TM, #80, Korea) 에 20% CHX를 loading 한 후 다음과 같이 다섯 군으로 분류하였다. Group A; 아무 것도 coating 하지 않은 대조군, Group B; Chitosan (Texan MedTech, Korea) coating군, Group C; 5% PMMA (Aldrich(r), USA) 3회 coating 군, Group D; 3% PLGA (Sigma(r), USA) 3회 coating 군, Group E; 3% PLGA 5회 Coating 군으로 각 군은 10개의 sample로 이루어져 있으며, CHX 함유되는 양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paper point에 CHX를 loading 한 무게를 측정하여 유사한 무게의 sample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시편은3ml 증류수가 담긴 cuvette에 넣은 후 3, 6, 10, 20, 30, 40, 50 분 마다, 1, 2, 3, 4, 5, 6 시간 마다 각각10㎕씩 채취하고, 1주일 후 다시 10㎕을 채취하여 UV 흡광도를 측정하여 CHX 의 방출 속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표면 관찰을 위하여 100배와 5000배의 SEM 사진을 촬영한 후 얻은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CHX 의 방출 속도는 Group A, Group B, Group D, Group C, Group E 순이었으며 각 군간에는 통계학적인 유의차가 있었다 (p<0.05).

2. Polymer coating을 한 group B, C, D, E 에서는 CHX 방출이 7일간 지속 되었다.

2. SEM 사진에서 PMMA 나 PLGA 를 도포한 CRD의 표면에서는 pore가 관찰되었으며, pore size가 커질수록 방출속도가 빨랐다.

결론적으로 polymer coating 두께에 따라 pore size 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약물의 방출 속도를 제어 할 수 있어 향 후 서방형 근관 소독제의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The aim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develop a slow releasing root canal disinfectant based on chlorhexidine digluconate (CHX) and polymers such as chitosan,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lactide-co-glycolide (PLGA).

Five different prototypes with different formulations were prepared. Group A; paper points, control, loaded with 20% CHX. Group B; as group A, but the points was coated with chitosan. In Groups C, D and E, the paper points were treated in the same way as for group A and then coated three times with 5% PMMA(Group C, Aldrich®, USA), or coated three times with 3% PLGA (Group D, Sigma®, USA), or coated five times with 3% PLGA (Group E). The 10 different prototypes were randomly chosen in groups A, B, C, D, E and soaked with 3㎖ distilled water in cuvette. The concentrations of CHX in distilled water were determined using a UV spectrophotometer. The surfaces characteristics of each prototype were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t magnifications of 100x and 5000x.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s;

1. Release rate of CHX was greatest in the Group A (Non-coated), followed by the group B (Chitosan coating), the group C (3X PMMA coating), the group D (3X PLGA coating), and the group E (5X PLGA coating) (P<0.05).

2. Pores were observed in coated surfaces of the group C, D and E by SEM.

3. When the pore size was smaller, the release rate was lower.



This data indicates that the release rate of CHX may be controlled by the polymer coating.
Files in This Item:
T00785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66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